• 제목/요약/키워드: monitoring plan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9초

Real Time Monitoring of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on Merchant Ships

  • Barro, Ronald Dela Cruz;Kim, Jun-Seong;Lee, Don-Chool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301-308
    • /
    • 2011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proposed the Energy Efficiency Operation Indicator (EEOI) in 2005 and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EEDI) in 2008 so as to address emission concern and regulation. Likewise, 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SEEMP) and Greenhouse Gas (GHG) monitoring and management are also becoming an issue lately. This paper introduces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operation indicator) monitoring system (EDiMS) software can continuously monitor $CO_2$, $NO_x$, $SO_x$, and PM values emitted from ship. The accurate inventory of ships GHG can be obtained from base of emission result during the engine shop test trial and the actual monitoring of shaft power and ship speed. In addition, the ability to store all exhaust emission and engine operation data can be applied as the useful tool of the inventory work of air pollution and ship energy management plan for the mitigation or reduction of ship emissions.

서울시 둔촌동 습지 생태계보전지역 모니터링 및 생태적 복원구상 (The Monitoring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ncept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Dunchon, Seoul)

  • 한봉호;김정호;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2-257
    • /
    • 2003
  • 본 연구는 생태계보전지역인 둔촌동습지의 모니터링을 통한 생태적 복원 및 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모니터링 기준으로는 항목, 방법, 시기, 횟수 등을 설정하였다. 모니터링 기준에 따라 조사한 결과 식물생태분야에서 대상지내 식물종은 총 39과 116종 19변종 1품종으로 총 132종류가 출현하였고 이중 자생종은 85종, 외래종은 47종이었다. 월별(4∼9월) 현존식생 모니터링 결과 습지성 초본식물군락 세력이 증가추세이었고 특히 고마리군락의 세력이 왕성해졌다. 아울러 기존 경작지를 중심으로 천이초기식물과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동물생태분야에서 야생조류는 34종 378개체, 양서류는 4종 5개체, 곤충류는 11목 52과 153종이 조사되었다. 무기환경분야에서는 지하수위. 수질.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이중 지하수위는 0.0∼89.0cm이었고 토양에서는 Ca++의 함량이 2.18∼13.73cmol/kg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대상지 생태적 복원구상을 습지생태계 복원구상. 용출지 복원구상.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으로 구분하여 기본방향과 각 공간별 세부계획을 제시하였다. 습지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기존 습지지역의 보전과 경작지로 활용되던 습지지역의 복원구상을 수립하였으며, 용출지복원구상에서는 용출지 및 진입부의 복원을 수립하였고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건조성 산림 생태계와 습지성산림생태계의 복원 및 주연부지역의 야생조류 서식처 계획을 수립하였다.

농촌중심지 마을만들기를 위한 계획수립과 모니터링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lanning and Monitoring for the Rural Center Village Development Project)

  • 강신길;최영완;김근호;김영주
    • 농촌계획
    • /
    • 제24권3호
    • /
    • pp.117-125
    • /
    • 2018
  • After it was reorganized as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the nature of the project was changed to solve long-time aspired projects of some districts unlike various projects according to the previous project purpo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revitalization project plans and operation monitoring to make rural center villages, establishes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for monitoring. With the necessity of connectivity with centrality analysis for long-term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the analysis on the 8 districts' centrality analysis and the function of the master pl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ut there is not enough interrelation. Regarding the consulting methods for weak districts to activate facility operation after the project is implemented, the field consulting performed by the collaboration of Gyeongsangnam-do government, Gyeongnam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and Gyeongnam branch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hows 87.6% of satisfaction level, which indicates it is the most effectiv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methods on resident demand survey, dimension and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project when preliminary plans are establish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It is also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standards not to change preliminary plans excessively during the master plan establishment process, and to oblig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experts. The joint monitoring and consulting systems of expert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pplied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master plan, so that it can be sustainable rural center village revitalization project.

개발제한구역 모니터링체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Monitoring system)

  • 이세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1호
    • /
    • pp.17-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개발제한구역 단속 및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체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축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개발제한구역은 타 용도지역지구와 달리 최소한의 유지 외 모든 개발행위를 금지하고 지자체에서 엄격히 단속 및 관리해야 하는 구역이다. 그러나 현재의 개발제한구역 관리체계는 지자체별 여건에 따라 분산 운영되고, 설문 결과와 같이 전체 개발제한구역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보다 민원(신고)에 의존하거나 단속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등 데이터 기반의 모니터링체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AI 기반 모니터링체계를 도입하여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정기적 시점(월별·분기별)을 두고 동일한 단속 기준으로 전국 권역별 변화를 탐지한 결과를 지자체에 송부하고 지자체에서는 단속 결과를 입력하면서 신뢰할 수 있는 개발제한구역 관리현황 통계정보가 생산될 수 있는 체계로의 전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론 제안을 위해 첫째, 지자체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 결과 현장 단속과 인허가 관련 행정업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AI 기반 모니터링체계 도입에 대해서는 긍정적 답변이 우세하였다. 둘째, AI 영상분석을 통한 객체 검출 방법론을 실증 지자체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모니터링체계 도입에 따른 단속업무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현(現))개발제한구역관리정보시스템의 고도화를 기반으로 한 개발제한구역 모니터링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였다. 지자체업무 수요에 기반해 드론 촬영 및 분석, 모바일 단속지원체계 등 필요한 서비스들이 지원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모니터링체계는 향후 주기적 단속과 관리가 필요한 토지를 대상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과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기존 필댐 장기간 안전관리를 위한 계측항목 유지보수 우선순위 산정 (Assessment of The Priority Order of Monitoring Devices on Maintenance for The Long-Term Safety of Existing Fill Dam)

  • 이종욱;전제성;임희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67-79
    • /
    • 2009
  • 댐의 경과년수에 따라 고장으로 폐기되는 매설계기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기존 필댐의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시스템의 재정립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필댐의 파괴모드와 계측기의 중요도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없이 과거의 경험과 소수 전문가의 자문의견에만 의존하여 유지관리 계측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Andersen 등, 1999)를 기초로 하여 5개 기존 필댐 계측항목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로서 상세 외관조사와 함께 침투수량계, 표면 침하점, 간극수압계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을 기존 필댐 계측시스템의 재정립 방안으로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일본토목연구소(1984), 일본 대댐회(국토교통성, 1986)의 권고사항과 Bagherzadeh-Khakkahali와 Mirghasemi(2005)의 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근거리사진측량방법을 이용한 전력구조물의 유지관리방안 (Feasibility of Management Plan in Electric Power Structure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 김감래;김명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9-228
    • /
    • 1995
  • 1960년대 이후 건설된 발전시설들이 오늘날에 이르러 노후화 되었고, 급속히 늘어나는 전력 소비량을 충당하기 위해 각종 발전시설들이 확충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시설물에 대한 안전성확보차원의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구조물의 유지관리방안마련에 대한 일환으로 RC시험보를 제작 구성하여 외력작용시 RC시험 보의 변형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과 변형량 산출을 위해 근거리사진측량방법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였고, 이를 토대로 토류벽공사현장에 대한 변형량산출 및 모니터링을 통한 변형상태 파악 및 지하굴착으로 인한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석 하므로서 전력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 PDF

국내 보안관제 체계의 현황 및 분석 (Current Status and Analysis of Domestic Security Monitoring Systems)

  • 박시장;박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61-266
    • /
    • 2014
  • 국내 보안관제센터들의 현황을 검토하였으며, 보안관제 체계의 특징인 패턴기반 보안관제체계와 중앙집중형 보안관제 체계에 대한 분석과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보안관제 체계 발전방안에서는 기존 패턴 기반의 중앙집중형 관제 체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상행위 탐지기반의 허니넷과 다크넷을 분석하여 이를 적용한 발전 방안을 기술하였다.

FMEA에서 주기적인 고장원인 감시 하의 기대손실 모형 (An Expected Loss Model for FMEA under Periodic Monitoring of Failure Causes)

  • 권혁무;홍성훈;이민구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3-148
    • /
    • 2013
  • In FMEA,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are not related to only failure modes itself but also their causes. It is assumed that any failure occurs after at least one cause corresponding to failure occurs in advance. Occurrence of the failure mode is described by occurrence time of its cause and elapsed time to the actual failure. Under the periodic monitoring plan, the monitoring interval is another factor to determine the detectability and occurrence of each failure mode. When a failure cause occurs, the failure does not occur if the cause is identified and remedied before it actually occurs. Under this situation, we construct an economic model for prioritizing failure modes. The loss function is based on the unfulfilled mission period. We also provide an optimal monitoring plan with an illustrative example.

선박 에너지 효율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hip Energy Efficiency Monitoring System)

  • 김용대;윤현규;강남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08-4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선내 수집데이터를 활용하는 선박 및 육상 서비스를 위한 선박용 어플리케이션 시스템과 해상 데이터 통합관리 및 상호교환을 위한 선육 간 통합 시스템을 활용한 선박 에너지효율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선박 에너지효율 모니터링 시스템은 윈도우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으로 file base EDI 통신을 이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주요기능으로 연료소모량 최소화를 위한 항로 계획, 에너지 소모 및 배출가스 배출 모니터링, 선박 에너지 효율 분석 및 분석데이터 분석을 구현하고 실 운항선박에 적용하여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였다.

일개 의과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체제에 대한 연구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ystem in a Medical School)

  • 윤소정;이상엽;임선주
    • 의학교육논단
    • /
    • 제22권2호
    • /
    • pp.131-142
    • /
    • 2020
  •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ystem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essential. Monitoring and evaluation (M&E) are two distinct but complementary processes referred to in an evaluation system that emphasizes formative purpose. Monitoring involves regular data collection for tracking process and results, while evaluation requires periodic judgment for improvement. We have recently complete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evaluation using the M&E concept in a medical school.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two loops, one at the lesson/course level and the other at the phase/graduation level. We conducted evaluation activities in four stages: plann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improvement. In the planning phase, we clarified the purpose of evaluation, formulated a plan to engage stakeholders, determined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and developed an evaluation plan. Next, during the monitoring phase, we developed evaluation instruments and methods and then collected data. In the evaluation phase, we analyzed results and evaluated the criteria of the two loops. Finally, we reviewed the evaluation results with stakeholders to make improvements. We have recognized several problems including excessive burden, lack of expertis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stakeholders' evaluation questions, and inefficient data collection. We need to share the value of evaluation and build a system gradu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