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adsorption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6초

활성탄 흡착, 오존 단독, 그리고 오존/활성탄 혼합공정에서 부식산의 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Degradation of Humic Acid in GAC Adsorption, Ozone Alone, and Ozone/GAC Hybrid Process)

  • 최은혜;김계월;김석구;이동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89-99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 흡착, 오존 단독, 오존/활성탄 혼합공정을 이용하여 부식산을 처리하고 부식산의 처리효율을 $UV_{254}$와 DOC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부식산의 분해특성은 분자량 크기분포의 변화와 활성탄 표면변화를 통해 관찰하였다. 각 공정에서의 DOC 제거효율을 살펴본 결과, 활성탄 흡착공정은 약 19%, 오존 단독공정은 38%이었으나, 오존/활성탄 혼합공정에서는 약 80%로 활성탄 흡착공정과 오존 단독공정의 DOC 처리효율을 합한 것보다 훨씬 높아, 혼합공정을 도입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리고 $UV_{254}$ 감소율 역시 오존/활성탄 혼합공정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오존/활성탄 혼합공정에서 활성탄은 고유의 흡착제 역할뿐만 아니라 흡착된 유기물과 오존의 접촉을 촉진시키는 반응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각 공정에서의 분자량크기분포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활성탄 흡착공정에의 분자량 크기분포는 반응 전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오존 단독공정에서는 30 kDa 이상의 분자량이 반응시간 10분 이후에는 거의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였으나, 0.5 kDa 이하의 저분자량은 초기 4.8%에서 120분 처리시 12.3%로 증가하였다. 한편 오존/활성탄 혼합공정에서는 120분 처리시 30 kDa 이상 분자량이 초기 36.3%에서 3.9%로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0.5 kDa 이하의 저분자량은 초기 4.8%에서 40.1%로 크게 증가하였다.

The Adsorption of BINOL on Ge(100)

  • Park, Seung-Ho;Jung, Soon-Jung;Kim, Se-Hu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7년도 제33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9-159
    • /
    • 2007
  • PDF

Theoretical Study of Thiazole Adsorption on the (6,0) zigzag Single-Walled Boron Nitride Nanotube

  • Moradi, Ali Varasteh;Peyghan, Ali Ahmadi;Hashemian, Saeede;Baei, Mohammad T.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0호
    • /
    • pp.3285-3292
    • /
    • 2012
  • The interaction of thiazole drug with (6,0) zigzag single-walled boron nitride nanotube of finite length in gas and solvent phases was studied by means of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In both phases, the binding energy is negative and presenting characterizes an exothermic process. Also, the binding energy in solvent phase is more than that the gas phase. Binding energy corresponding to adsorption of thiazole on the BNNT model in the gas and solvent phases was calculated to be -0.34 and -0.56 eV, and about 0.04 and 0.06 electrons is transferred from the thiazole to the nanotube in the phases. The significantly changes in binding energies and energy gap values by the thiazole adsorption, shows the high sensitivity of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BNNT towards the adsorption of the thiazole molecule. Frontier molecular orbital theory (FMO) and structural analyses show that the low energy level of LUMO, electron density, and length of the surrounding bonds of adsorbing atoms help to the thiazole adsorption on the nanotube. Decrease in global hardness, energy gap and ionization potential is due to the adsorption of the thiazole, and consequently, in the both phases, stability of the thiazole-attached (6,0) BNNT model is decreased and its reactivity increased. Presence of polar solvent increases the electron donor of the thiazole and the electrophilicity of the complex. This study may provide new insight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ized boron nitride nanotubes as drug delivery systems for virtual applications.

전분의 양성화 개질을 통한 음이온성 $SiO_2$ 표면에서의 흡착 특성 연구 (Studies of Adsorption on the Anionic Surface of $SiO_2$ by Cationic Modified Starches)

  • 한동성;김유미;김한영;지경엽;조인식;김종득
    • 공업화학
    • /
    • 제24권1호
    • /
    • pp.24-30
    • /
    • 2013
  • Quartz crystal microbalance with dissipation monitoring (QCM-D)을 활용하여 양이온성으로 치환된 전분 및 올리고당의 흡착특성을 연구하였다. 전 합성계열의 흡착량은 양이온 계면활성제($C_{12{\sim}16}$ trimethylammonium bromide) 대비 높은 흡착량을 보였으며, 치환비율 및 분자량에 따른 특별한 흡착량의 경향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점탄성(viscoelasticity) 측면에서는 분자량이 증가될수록 흡착층의 강도가 증가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흡착 및 탈착실험에서 단분자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의 차이는 약 4~9배에 수준의 큰 차이가 발생되었으나 양성치환된 전분계열에서는 0~50% 수준의 작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탈착단계 이후 흡착단계에 비해 양이온 계면활성제에서는 흡착층의 강도 (rigidity)가 감소된 반면 양성치환된 전분계열에서는 강도가 증가되는 상반된 경향이 관찰되었다.

Y 제올라이트내에서 $^{129}Xe$ 핵자기 공명의 화학적 이동을 근거로 한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의 Xe 흡착 현상 연구 (Study of Xenon Adsorption on Alkaline-Earth Cation in Y Zeolite Based on Chemical Shift in $^{129}Xe$ NMR Spectrum)

  • 박찬호;유룡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1-359
    • /
    • 1992
  •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Y 제올라이트와 Xe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Xe의 흡착과 $^{129}Xe$ 핵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이용하였다. 고순도의 NaY 제올라이트 시료를 합성하여 여기에 $Ca^{2+}$$Ba^{2+}$를 각각 이온 교환시켜서 CaY와 BaY 제올라이트 시료들을 얻었다. 부피 흡착 실험방법에 따라서 260∼320 K 사이에서 이 시료들의 Xe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으며 296 K에서 $^{129}Xe$ NMR의 화학적 이동을 측정하였다. 이 시료들에 흡착된 Xe 기체가 제올라이트 표면과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로 구성된 흡착자리들 사이를 매우 빠르게 움직인다고 가정하였을 때 Xe의 화학적 이동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이 $Na^+$ 이온이나 제올라이트 골격 표면보다도 Xe을 훨씬 더 강하게 흡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흡착 세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Xe 흡착 등온선을 분석하면 Y 제올라이트 수퍼케이지 속에 존재하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의 갯수를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