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ortal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1초

무선인터넷 포털서비스의 유형과 유망 컨텐츠 분석 이동전화를 통한 무선인터넷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bile Internet portal service types)

  • 김주성;김태성;고석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9권4호
    • /
    • pp.151-164
    • /
    • 2002
  • This paper predicts how mobile Internet portal services will go ahead and what contents will be needed at the portal site. Mobile Internet interface needs to be concise and compressed because of the size of terminals Thus mobile internal service wants integrated portal service We study the service strategy for mobile internet portal Service according to the product life cycle Many Korean people who have used 'wired and fixed' Internet services and mobile phones want the mobile Internet portal to provide many attractive functions and high quality of service Thus we consider the current Korean mobile Internet service as the maturity phase of its life cycle The maturity phase needs the strategy of diversifying and focusing on, thus we recommend the hub portal model for Korean mobile Internet service, In this paper, we survey contents of mobile Internet portal service as a case study. Wi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present the promising contents as follows: video conference service, financial service, stock trading servic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location map service,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so on.

  • PDF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한 협력적인 모니터링 에이전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Monitoring Agent using Mobile Agent)

  • 김영기;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24-31
    • /
    • 2000
  • 이 논문은 교육용 포탈 사이트의 사라진 사이트(Dead Site) 필터링을 위한 상호 협력적인 모니터링 에이전트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용 포탈 사이트는 선생님이나 개인적인 교육용 홈페이지의 주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홈페이지의 주소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사라진 사이트를 포탈 사이트 관리자가 모두 찾아내는 경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사라진 사이트를 지능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상호 협력적인 모니터링 웹 에이전트를 설계, 구현하였다. 구현한 모니터링 에이전트는 한국형 교육 포탈 사이트인 KEPS에 탑제하여 그 성능을 실험하였으며, 일반 모니터링 시스템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살펴 보았다.

  • PDF

Mobile Enterprise Portal - SKT MOG 서비스를 중심으로 -

  • 양연수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2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353-354
    • /
    • 2002
  • Horizontal Portal ·대중시장을 겨냥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브랜드 강화에 역점 ·Omnitel 2000, Halebop, Genie Internet Vertical Portal ·특정시장을 중심으로 전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Routers, Football365, Clubnation Personal Communication Portal ·개인통신 어플리케이션 즉, e-mail, 추가정보, 통합메시징, PIM 어플리케이션을 집중적으로 제공 ·고객풍성도 제고 및 자연적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Breathe Mobility, Space2 GO Business Portal ·고객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통합과 맞춤 연락페이스를 위한 포맷 ·Extranet 어플리케이션 포함(중략)

  • PDF

The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Portal News and News Site Application Usages on Smartphones: Focusing on Political Discussion Networks, News Media Use and News Genre Consumption

  • Lee, Hyunjoo;Ahn, Jung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7
  • The study aims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portal news and news site application usages on smartphones in regard to political discussion networks, news use across multiple media platforms and news genre consump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ose factors affected both types of application usages in a different manner when controlling for demographics. The more participants conversed politics with homogeneous networks, the more they used portal news on smartphones. Conversely, the more political discussion with heterogeneous networks, the more they used news site application on smartphones. The more frequently Internet and mobile phone were employed for news source and the more soft news genre was consumed, the more the portal news application was used. However, the more frequently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were employed for news source and the more hard news consumed, the more news site application was used. The findings imply that portal news application users may increase their likelihood of soft news consumption using Internet and mobile phones for political discussion with close social relations, while news site application users may increase their likelihood of hard news consumption using traditional and social media for political discussion with distant social relations.

지식관리시스템을 활용한 뿌리기술의 디지털화 (Digitalization of Root Technology us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배성민;허영무;윤길상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9권2호
    • /
    • pp.6-9
    • /
    • 2015
  • The objective of manufacturing knowledge sharing platform is to convert the production experience like a worker's know-how into quantitative values, to construct database of the process technologies and to share the technologies systematically via web portal service. In addition, the knowledge sharing platform contains the total production processes of automobile and mobile products such as information of experts, facilities, and cutting-edge R&D outputs. Automobile, telecommunication mobile, and semiconductors account for a large amount of Korea's export industry rate. These industries need production technology which is a result of converting worker's know-how and R&D. Manufacturing knowledge portal aims to enable transforming production experience such as worker's know-how into standardized form for constructing database and sharing technologies systematically. Manufacturing knowledge portal can contribute to small and mid-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further improvements.

  • PDF

메디컬 그리드 장치를 위한 안전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ecure Mobile Healthcare System for Medical Grid Devices)

  • 최규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89-95
    • /
    • 2008
  •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모바일 서로게이트 시스템은 보안상의 문제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그리드 미들웨어인 글로버스에서도 모바일 단말기를 인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그리드의 강력한 컴퓨팅 능력을 모바일 클라이언트까지 확장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DA와 같이 컴퓨팅 파워가 미약한 모바일 단말기기와 그리드 호스트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를 두고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이동 중 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한 모바일 그리드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설계 구현하였다. 아울러, 이를 구현하여 ECG 신호처리를 위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이동 환경에서 환자의 생체 신호를 그리드 컴퓨팅으로 분석하여 원격에 있는 의료진이 진단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에 활용가능하다.

  • PDF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폰 응용을 위한 미들웨어 설계 (Design of a Middleware for Android-based Smart Phone Applications)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7
    • /
    • 2012
  • 스마트 폰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서 기존의 웹사이트나 포털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모바일 사용자들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들은 데스크 탑 PC나 노트북 등의 환경에 맞춰져 있어 스마트 폰과 같은 오늘날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수정으로 인한 많은 비용이나 시스템 보안에 대한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포털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 미들웨어 시스템을 두어 최소한의 수정과 기능 설정만으로 포털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으면서 인트라넷 보안과 스마트 폰 어플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폰 응용을 위한 미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박물관 모바일 포탈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 (Platform study for museum mobile portal service)

  • 두일철;신현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7-155
    • /
    • 2014
  • The rapid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and diverse utility of smart devices opens an opportunity for a development in creating a user-oriented ubiquitous system. And it allows audiences to deploy the exhibition-helping contents regardless of the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with using the smart devices of audience themselves. Also it needs to build a mobile web-based portal system for the related services. To do this, Firstly, it needs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on a smartphone-based environment such as technical competence, systematic preparation of exhibition with compatible mobile contents, and a compatible channel for interactivity. Secondly, it needs the differentiation of exhibition guide with the existing system: an adoption of augmented reality, panoramic technology and simulation effect aiming for an improvement in a sense of immersion and reality for audience, and building up additional contents with a diversity of formats of image, sound, and video for customer satisfaction.

패션제품에 대한 모바일 쇼핑 사이트 유형별 커머스 전략 연구 (A Study on Commerce Strategies by Mobile Shopping Site Types for Fashion Products)

  • 장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124-133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online fashion shopping site usage by site type and analyzed how product information search and product purchase differ. In addi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preference and selection factors of PC and mobile shopping, we tried to provide basic data of effective mobile commerce operation strategy according to expansion of mobile market in fashion industry. We surveyed the use of 6 types of online sites (portal site, open market, general shopping mall, social commerce shopping mall, brand shopping mall and non-brand shopping mall) to understand the usage of mobile shopping site for consumers' fashion products. Consumer survey subjects were 373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20s who had the most mobile shopping experienc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online fashion site usage items, internet and mobile fashion shopping preference (6 items), internet and mobile shopping choice behavior (10 items), and purchase intention (3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program. The high preference of portal sites, open market, social commerce, and non-brand shopping malls in shopping online fashion products is a result of the perceptual changes of major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trends of consumers' value consumption tend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ashion companies to actively cope with fashion product distribution competition with huge shopping sites of current online market by well understanding consumers' preference trends and factors of online sites.

스마트폰 도입이 포털사이트 이용에 미친 영향: 스마트폰 이용자의 웹 트래픽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Phone on Using Portal Sites: An Exploratory Study by the Analysis on Smart Phone Users' Web Traffic)

  • 김위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4권
    • /
    • pp.109-135
    • /
    • 2013
  • 이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 미디어 환경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포털의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실시됐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의 실제 이용 행동인 트래픽 데이터를 종단적으로 수집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먼저 PC 웹에서 가장 많은 이용을 보이는 포털 유형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일상화된 2년 사이에 이용시간의 약 15%, 페이지뷰의 약 35%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포털 섹션별로는 커뮤니티, 뉴스미디어, 동영상, 모바일, 게임 섹션 등에서 이용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 이용에서 포털이 차지하는 비율은 PC 웹 이용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PC 웹 이용 트래픽의 3분의 1 이상이 포털에서 발생했지만,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웹 이용 트래픽에서는 3분의 2 이상이었다. 모바일 포털 섹션 중에서는 뉴스미디어 섹션의 이용이 가장 많았다. 한편, 스마트폰 도입 이후 전체적으로 포털 섹션 중 뉴스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생활 섹션 등은 이용이 크게 늘어난 반면에, 커뮤니티, 모바일, 게임 섹션 등은 이용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