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banking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7초

모바일 가상화 TYPE-I을 이용한 보안 기술 연구 (A Study on Security Technology using Mobile Virtualization TYPE-I)

  • 강용호;장창복;김주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
    • /
    • 2015
  • 최근 스마트 장치 확산과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의 도입으로 모바일 보안 및 스마트 TV 보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게임, 뱅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한다. 하지만 현재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과 스마트 TV 보안은 단순히 악성코드를 탐지하거나 모바일 단말 관리, 자체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인증서, 법인 문서, 개인의 신용 카드 번호와 같은 보안에 민감한 정보에 대해 서비스 해킹 및 누설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가상화, ARM TrustZone, GlobalPlatform, MDM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보안 기술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 TYPE-I 기반의 ARM TrustZone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 보안 기술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 Cashless System in Thail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YAKEAN, Somki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385-388
    • /
    • 2020
  • At present, the payment system in Thailand changes from a paper-based system to a cashless payment system. A coin has its two sides, so the cashless payment ha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is article describes the gener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 cashless society in Thailand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cashless payment in Thailand consists of credit cards, automated teller machines, direct debit, mobile/Internet banking, e-Wallet, PromptPay, and QR code. The cashless payment is able to assist the government for tax collection accuracy and facilitates users to make financial transactions more transparent and efficient. In addition, the cashless system provides benefits to businesses in which they are able to increase sales and expand business by providing convenient, safe and faster services to customers in making payment for goods/services. It assists businesses to save time and cost of cash management and reduce the paperwork. The cashless payment made the life of students, housewives, and elderly people very easy to carry out financial transactions and there is no need to meet the financial institution staff. This payment system needs advanced technology system skills, a smartphone, and a technology facility. Finally, the cashless payment can reduce the spreading of COVID-19.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 루팅 공격에 대한 이벤트 추출 기반 대응 기법 (Android based Mobile Device Rooting Attack Detection and Response Mechanism using Events Extracted from Daemon Processes)

  • 이형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79-490
    • /
    • 2013
  • 최근 삼성 갤럭시 노트 및 갤럭시 탭 10.1 등 안드로이드 기반 상용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정상 어플리케이션인 것처럼 오픈 마켓에 배포된 악성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공격들이 급증하고 있다. 공격자는 정상적인 어플리케이션에 악성코드를 삽입하여 상용 모바일 단말에 대한 루팅(Rooting) 공격을 수행한 후, 단말 내 저장된 사용자의 SMS, 전화번호부 등 개인정보와 공인인증서 등과 같은 금융정보를 외부 서버로 유출시키는 공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용 모바일 단말에 대한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판별하고 루팅 공격을 탐지 및 대응하기 위한 기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상용 모바일 단말에 대한 루팅 공격 기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모니터링 데몬(Daemon)을 이용하여 상용 단말 내 공격 이벤트를 추출 및 수집하여 악성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한 공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중소기업형 바이오정보와 OTP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s and OTP in Mobile Device)

  • 이상호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7-31
    • /
    • 2014
  • 스마트기기에서 스마트뱅킹, 인터넷쇼핑, 비접촉거래 등의 지급결제 거래가 급증함에 따라 모바일 OS의 취약점, 인증서 오남용 문제 등의 보안상의 문제가 대두되며,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강력한 개인 인증 수단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인증 수단으로 바이오인식정보와 더불어 PKI를 이용한 OTP를 적용하고자 한다. 바이오인식정보는 분실이나 도용의 위험이 적으며 OTP를 이용한다면 바이오인식정보만을 이용할 때 보다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바이오인식정보와 OTP를 이용한 개인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 PDF

The Adoption of Using Mobile Payment During COVID-19 Pandemic: An Empirical Study in Vietnam

  • NGUYEN, Man Th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1호
    • /
    • pp.253-264
    • /
    • 2021
  • The COVID-19 pandemic has imposed a number of restrictions on the lives of people and services, forcing them to adopt a "New Normal" way of living. Contactless technologies provide a mechanism to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encouraging people to use touchless payment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framework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o justify the use of mobile pay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Vietnam. Based on a survey of 434 samples,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was empirically just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is study foun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enjoyment,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ehavioral intention of using contactless payment technologies.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effort expectanc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all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expectancy, while enjoyment triggered users' effort expectancy. By adding novel insights into the literature on the acceptance of technology during the pandemic, this study makes a major contribution to justifying how contactless payment technologies can reduce the risk of getting infected by COVID-19.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모바일 교통결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a Mobile Transportation Payment System of Used Smartcard)

  • 이상범;정현호;최이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1-179
    • /
    • 2011
  • 오늘날 발달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의 기술로 인해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가 있으며, 또한 더 좋은 단말기의 등장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SKT나 LGT와 같은 통신업체는 2.5세대 무선 기술과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 모바일뱅킹 등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핸드폰을 대부분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교통 시스템에 유용한 지불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모바일 지불 시스템이 무선 온라인 서비스로 이미 개발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교통 지불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운전자는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통행료를 지불해야한다. 최근에 하이패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자동차는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정지하지 않고 톨게이트를 지나가면서 자동적으로 지불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불은 장착된 지불 시스템으로 인해 가능하다. 우리는 좀 더 발전된 형태로 스마트카드를 장착한 핸드폰을 지불 기기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인과 금전 정보는 스마트카드에 저장되고 단말기와 OBU와의 통신은 불루투스 방식을 사용한다.

안드로이드 모바일 단말에서의 이벤트 수집을 통한 악성 앱 탐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licious Application Detection System Using Event Aggregation on Android based Mobile Devices)

  • 함유정;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5-46
    • /
    • 2013
  • 모바일 단말 환경이 활성화되면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탑재한 상용 모바일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에서 보안 취약성이 발견되면서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대부분의 악성 어플리케이션은 오픈 마켓 또는 인터넷을 통해 배포되며 어플리케이션 내에 악성코드가 삽입되어 있어 단말 사용자의 SMS, 전화번호부, 공인인증서 등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등을 외부 서버로 유출시키는 공격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상용 모바일 단말에 대한 보안 취약점 분석과 그에 따른 능동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증하는 악성 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모바일 단말서 발생하는 이벤트 수집을 통해 모바일 단말 내에서 실행되는 악성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공격을 탐지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모바일 오피스 환경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방지 기법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Scheme of Smartphone Users in the Mobile Office Environment)

  • 정윤수;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05-211
    • /
    • 2015
  • 최근 이동통신망과 휴대단말기가 급격하게 발전하게 되면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모바일 오피스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원격에 있는 자료를 업/다운로드 할 경우 제3자로부터 악의적인 공격을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오피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개인정보 및 기업정보(통화내역, 수신메시지, 전화번호부, 일정, 위치정보, 금융거래정보, 서류 등)를 담고 있는 스마트폰의 도난 분실로 인한 정보유출 예방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개인정보 및 기업 정보의 상태정보를 삼각퍼지수를 이용하여 쌍대비교 행렬로 구현한다. 특히, 제안 기법은 쌍대비교 행렬로 구한 값을 개인정보 및 기업 정보와 쌍으로 구성하여 스마트폰 분실시 제3자가 개인정보 및 기업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예방한다.

공간 모바일 장치를 위한 내장형 공간 MMDBMS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Spatial MMDBMS for Spatial Mobile Devices)

  • 박지웅;김정준;윤재관;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5-37
    • /
    • 2005
  • 최근에 무선 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모바일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 컴퓨팅은 사용자가 PDA, 노트북 등의 이동 가능한 모바일 장치를 휴대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서 서버 컴퓨터와 자원을 함께 공유하는 환경이라 할 수 있다. 모바일 데이타베이스는 이러한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타베이스를 말한다. 모바일 데이타베이스의 응용 분야로는 보험업무, 금융업무 의료 등이 있지만, 특히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중요한 응용 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간 모바일 장치에서 대용량의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내장형 공간 MMDBMS(Main-Memory 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C용 MMDBMS인 HSQLDB를 확장하여 공간 모바일 장치에서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내장형 공간 MMDBMS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내장형 공간 MMDBMS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공간 데이타 모델을 따르며, 공간 데이타 특성에 적합한 압축 기법인 산술 연산 코딩 기법을 제공하고, 공간 모바일 장치에 적합한 MBR 압축 및 해슁 기법을 이용한 공간 인덱스를 지원한다. 그리고, 공간 모바일 장치의 낮은 성능의 프로세서에서 공간 데이타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고, 내장형 공간 MMDBMS와 GIS 서버 사이에서 공간 데이타 수입/수출의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타 캐슁과 동기화 기능을 지원한다.

  • PDF

국방환경에서 모바일 앱 관리체계 구축방안 제시 - 국방 앱스토어 및 검증시스템 중심으로 - (A Guidelines for Establishing Mobile App Management System in Military Environment - focus on military App store and verification system -)

  • 이갑진;고승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25-532
    • /
    • 2013
  • 최근 빠르게 대중화된 스마트폰은 이제 생활 필수요소로서 우리의 삶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은 쇼핑, 뱅킹, SNS, 게임 등 풍부한 서비스는 물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스마트워크 모바일 오피스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 앱은 앱스토어라 불리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쉽게 다운로드가 가능한 반면 개발자들 또한 쉽게 업로드 할 수 있어 많은 보안 위협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작전용 앱은 민간 앱과 동일하게 인터넷 기반의 상용 앱스토어를 통해 배포할 경우 각종 보안위협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군내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할 군용 앱 개발 배포 시 보안 점검 및 각종 위해 요인의 사전 차단이 통합적으로 수행 가능한, 군전용 밀리터리 앱스토어와 앱 보안성 검증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