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Smart Phone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33초

화자(話者)와 스마트폰의 거리 측정을 위한 다중 색 좌표계와 다중 임계치 기반 실시간 얼굴검출 (Real-Time Face-Detection Based on Multiple Color-Spaces and Multiple Thresholds for Distance Measurement Between Speaker and Smart-Phone)

  • 이재원;권구락;홍성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81-493
    • /
    • 2011
  • 모바일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핸드폰에 수많은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영상 통화 기능도 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자와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다중 색좌표계와 다중 임계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피부색의 색상정보에 근거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두 번째로 검출된 얼굴영역의 크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화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얼굴영역 검출 알고리즘 개발에 있어 고려한 점은 스마트폰의 기본기능과 함께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할 정도로 연산량이 적어야 하며, 움직임이 많은 핸드폰의 특성상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과 조명 및 배경에 따라 검출된 얼굴 영역이 급격히 변화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얼굴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폰 기반 계층적 모바일 컨텍스트 모델 및 사용자 상황 추론 기법 (A Hierarchical Mobile Context Model and User Context Inference Methods based on Smart Phones)

  • 이미연;이정원;박승수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11
  • 스마트 폰은 내장된 다양한 센서와 사용자 휴대성/밀착성으로 인해 정보 수집과 지능형 서비스의 적합한 대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즉,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주변 환경 정보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의 사용 정보 등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추론할 수 있고, 추론된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게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필요한 상황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상황 추론을 위해서는 컨텍스트 모델링 기법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일상생활 상에서의 상황을 추론하기 위한 모바일 컨텍스트 계층 모델을 제안한다. 센서 데이터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상위 컨텍스트를 컨텍스트-행위-상황의 3-계층으로 분류하여 정의하고, 각 단계를 위한 추론 기법을 제시한다. 이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단순 행위 또는 상태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의미 있는 상황 추론이 가능해질 것이다.

  • PDF

A Curriculum for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Includes A Project Completion and It's Implementation Results

  • Ha, Seok-Wun;Huh, Kw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9-147
    • /
    • 2016
  • In recent,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s have been done widely that intensify smart phone util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rriculum that undergraduate students can improve their mobile programming abilities as well as integrate experiences of application development based on android. And also a series of practices to advan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re added by offering an opportunity to carry out a real project to use a variety of sensors embedded in smart phone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project is composed of a series of modules for implementing a trekking App that helpful to people who enjoy spending time in outdoors through their favorite activities such as trekking, cycling, and climbing with their own smart phones. Through practical curriculum oper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is appropriate to a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combine learning and practice.

스마트 폰을 이용한 모바일로봇의 리모트 주행제어 시스템 (Remote Navig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Mobile Robot Using Smart Phone)

  • 박종진;최규석;천창희;박인규;강정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7-2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Zigbee 기반 무선센서네트웍과 레고 마인드스톰 NXT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원격주행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 회전센서(encoder)에 의한 이동로봇 위치제어의 오차 문제(미끄러짐 등)를 해결하고 좀 더 정확하게 이동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네트웍상의 초음파모듈을 사용하였다. 초음파의 문제점인 직진성과 협소한 감지범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동로봇에 부착된 이동 노드를 360도 회전시킴으로써 4개의 고정 노드로부터 각각의 거리를 측정하여 삼각측량법에 의해 로봇의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였다. 또한 이동로봇의 전면에 부착된 USB 웹 카메라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영상이 송신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을 통해 로봇의 위치와 이동로봇의 주변상황을 확인함으로써 이동 로봇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앱과 피처폰 SMS를 지원하는 당뇨병 환자의 복약 이행 지원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Diabetic Patients Medication Adherence Help System Supporting both Smart Phone Apps and Feature Phone SMS)

  • 최종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5-31
    • /
    • 2013
  • Medication adherence is a basic and important element in diabetes management, and it has been known the adherence rate should be keep over 80% to get positive result in diabetes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medication adherence, there have been smart phone apps that record medication, exercise, and diet. However, diabetes patients are generally over 50s, and most of them do not use smart phon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dication adherence help system that support both smart phone apps and feature phone SMS. Furthermore, we introduce system architecture for the system. Our work will help ICT-based diabetic management system developers to consider some issues for mobile based diabetic management systems..

모바일 정보보안을 위한 실시간 모바일 기기 제어 및 관리 시스템 설계.구현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Mobile Information Security)

  • 강용식;권순동;이강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9
    • /
    • 2013
  • 아이폰3로 촉발된 스마트 혁명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똑똑하게 일하는 스마트워킹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기업은 스마트워킹을 통해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고, 신속한 의사결정과 적시 대응을 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킹은 이러한 기회 이면에 취약한 보안문제를 지니고 있다. 스마트워킹 이전에는 단지 기업 내에서만 정보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스마트워킹이 가능해지면서 유출, 해킹 등을 통해 정보가 종전보다 쉽게 기업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보안은 기업 비밀을 중시하는 사기업은 물론 사회 기반구조를 담당하는 공공기관에게 있어서 다루어야 할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모바일 정보보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공기관이 스마트워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국가정보원의 모바일 정보보안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이 보안규칙은 모바일 단말 보안, 모바일 단말과 무선망간 보안, 모바일 플랫폼과 업무망간 보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공공기관은 이러한 보안규칙을 준수하기 위해 기업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에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솔루션을 설치 운영해 왔다. 모바일 단말기에 MDM 솔루션이 설치되면 그 단말기는 Wi-Fi, 카메라, 화면캡쳐 등이 차단되어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지금까지는 기업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만 보안규칙을 적용하여 모바일 정보시스템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기업은 스마트워킹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개인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까지 모바일 정보시스템의 이용범위를 확산시키려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개인 소유의 모바일 기기에 종전과 같은 보안규칙을 적용하면 개인은 기기 사용에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즉, 개인 소유의 스마트폰에 MDM 솔루션을 설치하면 Wi-Fi, 카메라, 화면캡쳐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 누구도 자신이 소유한 기기의 기능을 제한받으면서까지 모바일 정보시스템을 사용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모바일 정보보안 방식으로는 폭넓은 스마트워킹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개인 소유의 모바일 단말기에까지 스마트워킹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정보시스템이 실행될 때에만 MDM 솔루션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자유로운 모바일 기기 사용을 보장해야 하고, 모바일 정보시스템 각각의 보안 요구 등급에 맞게 신축적으로 단말기 기능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K사에서 바로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킨 구현 사례를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은 기업에 의해 개발되고 기업 소유의 기기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그러나 모바일 정보시스템은 이와 다르게 기업에 의해 개발되고 개인 소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에게는 모바일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안 목표를 충족시켜 주고 개인에게는 시스템 사용에 따른 제한을 최소화함으로써 BYOD(Bring Your Own Device) 시대에 최적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워크를 추진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비밀에 민감한 사기업의 모바일 정보보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스마트워킹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STnF 구축과 성과 (SMRT STnF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 이종계;박종헌;김기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3-2580
    • /
    • 2011
  • SMRT(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changed PC-oriented office system to Smart-Phone oriented mobile office system(STnF: SMRT Talk & Flash), and provided smart phone to all staffs. STnF make it possible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etween staff, but also to input and inquiry all kind of information related to work(ex: Facility maintenance, Rolling Stock management, office management, Finance, human resource etc.) based on smart phone. STnF conquers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All staffs can commute to the site directly to reduce moving time and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staffs, so SMRT improve speed and reliability of work by making a quick decision and action on the spot. After introduction of STnF, within 1 year, the equipment failure ratio fell to 47%. Mobile office system reduced and level-off the step of approval. so enhanced civil customer service. Quantification and scientific movement of work make it fast evolution and development. These business improvement make it possible to put more outstanding manpower on new business and R&D project, and this contributes to company's management effectiveness.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mote Control Black Box System of Vehicle Using the Smart Phone

  • Song, Jong-Geun;Jang, Won-Tae;Kim, Tae-Y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6호
    • /
    • pp.665-670
    • /
    • 2010
  • This paper suggests the vehicle remote control on the basis of Smart Phone. In general, most smart phone is mounted with G-sensor to control the motion. G-sensor is able to control several directions and movements of velocity along with X, Y, and Z axis. To access remote location and data system, we can also utilize Wi-Fi communication as well as bluetooth communi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cheme that is the car management application by remote control via real-time monitoring on mobile device for user convenience.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화물추적 및 지능형 수.배송 관리시스템 (The Real Time Vehicles Tracking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 김성균;변해권;유우식;채진석
    • 산업공학
    • /
    • 제24권4호
    • /
    • pp.428-434
    • /
    • 2011
  • In these days, mobile technology such as smart phone and GPS have an effect on business processes of many companies especially a transportation compan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real time vehicles tracking and intelligent TMS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wo-fold. The first is to redesign business process of the transportation company. Using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we analyze current processes to find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redefining processes after adopting mobile technology precisely.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real time vehicles tracking and intelligent TMS.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our parts : (1) intelligent TMS(web system) (2) real time vehicle tracking application for TMS (3) real time tracking application for customer (4) salesman supporting application. Developed system was tested at the transportation company and was found to be an usefu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