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24 LED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4초

광중합기에 따른 복합레진 중합시 온도 변화와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THERMAL CHANGE AND MICROHARDNESS IN CURING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VARIOUS CURING LIGHT SYSTEM)

  • 이동진;김대업;양영숙;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1-399
    • /
    • 2004
  • 현재 복합레진의 중합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할로겐광 중합기,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 레이저, LED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광조사에 따른 온도 증가와 중합 깊이 등이 수복치과학의 오랜 관심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원에 따라 얼마나 온도 증가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중합 깊이에 따른 표면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전통적인 할로겐광 중합기에 대해 새로 개발된 중합기의 중합능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기존의 할로겐광 중합기(Optilux 360)에 대해 최근 시판되는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Flipo), 열 발생을 감소시킨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Aurys), LED(Starlight), 그리고 중합시간을 감소시킨 고강도 LED(Freelight 2)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였다. 우선 상온$(23^{\circ}C)$에서 각 중합기 표면의 온도를 측정한 후 각각 2, 3, 4mm의 테플론 mold에 레진(Z-100, $A_2\;Shade$)을 충전하고 하면에서 중합시 최고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시편 상, 하면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합기 표면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Flipo가 평균 $52.4^{\circ}C$로 가장 높았고 Freelight $2(37.86^{\circ}C),\;Optilux\;360(32.68^{\circ}C),\;Aurys(32.34^{\circ}C),\;Starlight(26.14^{\circ}C)$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2. 복합레진을 2, 3, 4mm 테플론 mold에 채우고 중합시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Flipo와 Freelight 2가 유사하게 가장 높았고 Optilux 360과 Aurys가 유사하게 그 다음이었으며 Starlight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복합레진 상면의 미세경도는 전반적으로 유사하였으나 Aurys로 중합한 군에서 약간 낮게 측정되었다. 4. 복합레진 하면의 미세경도는 2, 3, 4mm모두에서 Optilux 360과 Freelight 2로 중합한 군에서 유사하게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Flipo, Starlight 순이었으며 Aurys로 중합한 군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볼 때 Flipo와 Freelight 2를 주의깊게 사용한다면 중합도와 시간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Content Analysis of Rutin in the Leaves of Boehmeria nivea Harvested in Different Regions of South Korea by HPLC-UV

  • Cho, Sunghun;Quilantang, Norman G.;Lee, Ju Sung;Kim, Young-Mi;Kim, Ho Bang;Cho, Eun Ju;Jung, Yong-Su;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36-39
    • /
    • 2018
  • Phytochemical analysis of Boehmeria nivea (Bn) leaves by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led to the isolation of a flavonoid glycosid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analysis as rutin. The amount of rutin in the leaves of Bn harvested from nine regions in South Korea (Bn 1-9) which were collected on the months of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was determined by HPLC-UV analysis. A gradient elution program that utilizes a $Discovery^{(R)}$ C18 ($4.6{\times}250mm$, $5{\mu}m$) column and mobile phase composed of 1% acetic acid-water: acetonitrile (90:10 to 60:40 for min) was followed. The injection volume and flow rate were $10{\mu}l$ and 1 mL/ min, respectively. UV detection was set at 350 nm. Results show that Bn-8 harvested in September reported the highest content of rutin among the samples analyzed.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the optimal harvest time of Bn which maximizes the yield of rutin.

편심 압축력을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거동에 미치는 띠철근 및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 (Influence of Concrete Strength and Lateral Ties on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Columns Subjected to Eccentric Compressive Load)

  • 이영호;정헌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95-104
    • /
    • 2007
  • 편심 하중을 받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서 띠철근과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띠철근 배근간격 및 형상, 편심비를 주요 변수로 하여 단면 $200mm{\times}200mm$의 시험체 24개를 실험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콘크리트 기둥은 편심거리비, 띠철근 배근간격, 띠철근 배근형태 등에 관계없이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할수록 취성적으로 거동하였고, 편심거리비가 증가할수록 띠철근 배근에 의한 연성 증가 효과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띠철근 배근간격이 100mm에서 30mm로 줄어들 경우, 최대 내력은 10~20% 증가하였으며, 최대 내력 이후에도 보다 연성적으로 거동하였다. 그러므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에서 적당한 연성과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비하여 더 많은 띠철근 체적비와 밀실한 띠철근 배근이 필요하였으며, 띠철근 배근 간격만을 제한하는 현재의 대한건축학회 내진 기준은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 시 띠철근의 배근 효과와 부재 연성 확보 측면에서 불안전하였으며, 띠철근을 콘크리트 강도와 연계하는 새로운 내진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분 압착 처리가 우분 고체연료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ression Treatment on Characteristics of Solidified Cow Manure Fuel)

  • 정광화;김중곤;이동준;조원모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2호
    • /
    • pp.67-74
    • /
    • 2016
  • 본 연구는 고체연료 가공원료로 사용할 우분을 압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수분을 감소시킨 뒤에 성형가공한 우분 고체연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분을 압착 처리함에 따라 VS/TS 비율 (총 고형물중 휘발성 고형물 비율)과 수분감소 효과가 높아졌다. 젖소 분의 경우 압착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수분의 양은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투입분뇨의 21~26% 수준에 해당하였다. 압착에 의해 분리된 침출수의 비중은 약 1.01이었다. 한우 분의 경우에는 수분 제거량이 약 15~20%(w/w) 수준이었고 이때 발생한 탈리액의 비중은 0.99 수준이었다. 탈수된 우분은 고체연료 가공방법 적용에 의해 쉽게 구(공) 모양의 형태로 가공되었다. 가공된 구 모양의 고체연료를 건조하였을 경우 건조효율은 직경이 작은 경우에 그 효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고체연료로서의 열량 값은 직경 10~15mm 크기로 가공한 고체연료가 본 시험에서 가공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가진 고체연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섬유질이 많은 우분의 특성상 10~15mm 크기의 가공품에 섬유소가 잘 부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ernel 특성에 따른 MTF 평가 및 임상적 적용에 관한 연구 (MTF Evalu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Kernels in the Computed Tomogrsphy)

  • 유병규;이종석;권대철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2호
    • /
    • pp.55-64
    • /
    • 2007
  • CT에서 커널에 따른 노이즈, 공간분해능 및 MTF를 측정하고 임상에 적용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커널은 B30 (body medium smooth), H30 (head medium smooth), S80 (special), U95 (ultra shar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커널에 따른 결과에서 노이즈는 B30 (7.6 HU), U95 (38.2 HU)이었고, 공간분해능은 H30, B30 커널이 0.8 mm, U95 커널은 0.6 mm로 33.3% 영상의 질이 향상되었다. MTF (50%, 10%, 2%)에서 H30 커널은 3.25 5.68, 7.45 Ip/cm, B30 커널은 3.84, 6.25, 7.72 Ip/cm, S80 커널에서는 4.69, 9.49, 12.34 Ip/cm, U95 커널은 14.19, 20.31, 24.67 Ip/cm이었다. 커널 종류별로 영상의 임상 적용에서 두부는 H30 커널, 복부는 B30 커널, 측두골 및 폐에서는 U95 커널이 임상적 평가가 높았다. 임상에서 진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검사 부위에 맞는 커널을 선택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 PDF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LLO 시스템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a Laser Lift-Off System using an Excimer Laser)

  • 김보영;김준하;변진아;이준호;서종현;이종무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24-230
    • /
    • 2013
  •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Off: LLO)는 수직형 LED 제조를 위하여 GaN 또는 AlN 박막을 사파이어 웨어퍼로부터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으로 광원, 레이저의 출력 파워를 조절해주는 감쇠기, 빔의 형태를 잡아주는 빔 성형 광학계, 원하는 빔 사이즈를 만들어 주고 빔을 균일하게 섞어주는 빔 균일 광학계, 기판에 투사 이전에 빔을 한번 잘라주는 조리개 부분과 마스크 단에서 잘린 빔을 기판에 투사해주는 투사렌즈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LO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광학계 중 감쇠기와 투사렌즈 부분의 설계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투사렌즈의 $7{\times}7mm^2$ 빔 사이즈 구현을 위하여 광학 설계 프로그램인 지맥스를 통해 설계 및 초점심도를 분석하였으며, 조명 설계 프로그램인 라이트 툴을 사용하여 빔 사이즈 및 균일도를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사각형 빔의 크기 $6.97{\times}6.96mm^2$, 균일도 91.8%, 초점심도 ${\pm}30{\mu}m$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출력의 엑시머레이저의 빔 강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장치인 감쇠기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에센설 맥클라우드 코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전체 코팅을 실시한 결과 총 23층의 박막과 s 편광의 입사각도 $45{\sim}60^{\circ}$에서 10-95%의 투과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Heat transfer enhancement of nanofluids in a pulsating heat pipe for heat dissipation of LED lighting

  • Kim, Hyoung-Tak;Bang, Kwang-Hy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10호
    • /
    • pp.1200-1205
    • /
    • 2014
  • The effect of nanofluids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a pulsating heat pipe has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Water-based diamond nanofluid and aluminium oxide ($Al_2O_3$) nanofluid were test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0.5-5%. The pulsating heat pipe was constructed using clear Pyrex tubes of 1.85 mm in inner diameter in order to visualize the pulsating action. The total number of turns was eight each for heated and cooled parts. The supply temperatures of heating water and cooling water were fixed at $80^{\circ}C$ and $25^{\circ}C$ respectively. The liquid charging ratio of the nanofluid was 50-70%.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ase of 5% concentration of diamond nanofluid showed 18% increase in heat transfer rate compared to pure water. The case of 0.5% concentration of $Al_2O_3$ nanofluid showed 24% increase in heat transfer rate compared to pure water. But the increase of $Al_2O_3$ nanofluid concentration up to 3% did not show further enhancement in heat transfer.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deposited nanoparticles on the tube wall played a major role in enhanced evaporation of working fluid and this could be the reason for the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by a nanofluid, not the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nanofluid.

What are Legible Korean Font Sizes within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 Kim, Huhn;Park, Soo-Hy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97-406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legible Korean font sizes within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IVISs) in diving conditions. Background: Font legibility within IVISs is one of important causes on its' safe operations during driving. Several researches proposed some guidelines on the legible English font sizes within IVISs. On the contrary, appropriate Korean font sizes have been hardly known in spite of the ty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Therefore, more systematic researches for improving the legibility on Korean font size within IVISs have been required. Method: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experimental factors: the existence of vibration, the color contrasts(white on black, black on white), the font types(HDR, CubeR, Gothic), and the font sizes(6, 8, 10, 12, 14, 16, 18, 20, 22, 24pt). To fi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to real driving environments, the illuminance was controlled to 15lx by using LED lamp and the distance between IVIS and participants was kept to 70cm. Moreover, all participants took the shutter glasses for employing well-known occlusion techniques. Resul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HDR' and 'Non-vibration + Black on white' group took the shortest response time, and decreasing slopes of the response time with increasing font sizes were slowing down at 14pt then flattened out at 22pt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vibration and color contrasts. Conclusion: The minimum size for legible Korean font would be about 14pt(5.47mm) and the optimum size would be about 22pt(8.59mm). Application: The guideline on the Korean font sizes from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design an IVIS in the future.

구리 합금을 위한 초고융점 원소의 용융산화물 확산 공정 (Diffusion of the High Melting Temperature Element from the Molten Oxides for Copper Alloys)

  • 송정호;노윤영;송오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0-135
    • /
    • 2016
  • To alloy high melting point elements such as boron, ruthenium, and iridium with copper,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using metal oxides of $B_2O_3$, $RuO_2$, and $IrO_2$ at the temperature of $1200^{\circ}C$ in vacuum for 30 minutes. The microstructure analysis of the alloyed sample was confirm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and FE-SEM. Hardness and trace el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Vickers hardness and WD-XRF, respectively. Diffusion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SIMS. From the microstructure analysis results, crystal grains were found to have formed with sizes of 2.97 mm. For the copper alloys formed using metal oxides of $B_2O_3$, $RuO_2$, and $IrO_2$ the sizes of the crystal grains were 1.24, 1.77, and 2.23 mm, respectively, while these sizes were smaller than pure copper. From the Vickers hardness results, the hardness of the Ir-copper alloy was found to have increased by a maximum of 2.2 times compared to pure copper. From the trace element analysis, the copper alloy was fabricated with the expected composition. From the diffusion profile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0.059 wt%, 0.030 wt%, and 0.114 wt% of B, Ru, and Ir, respectively, were alloyed in the copper, and it led to change the hardness. Therefore, we verified that alloying of high melting point elements is possible at the low temperature of $1200^{\circ}C$.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the Color Stability of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 Kim, Ah-Rang;Jeon, Yong-Chan;Jeong, Chang-Mo;Yun, Mi-Jung;Huh, Jung-B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49-56
    • /
    • 2015
  • Purpose: The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color stability of various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Color stability was examined using three different brands of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G-CEM LinkAce (GC America), MaxCem Elite (Kerr), and PermaCem 2.0 (DMG) with the equivalent color shade. Each resin cement was filled with Teflon mold which has 6 mm diameter and 2 mm thickness. Each specimen was light cured for 20 seconds using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curing uni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accelerated aging on color stability, color parameters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 $L^*$, $a^*$, $b^*$) and color differences (${\Delta}E^*$) were measured at three times: immediately, after 24 hours, and after thermocycling. The $L^*$, $a^*$, $b^*$ values were analyzed using Friedman test and ${\Delta}E^*$ values on the effect of 24 hours and accelerated aging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limit value of color difference (${\Delta}E^*=3.7$) for dental restoration. One-way ANOVA and Scheff's test (P<0.05) were performed to analyze each ${\Delta}E^*$ values between cements at each test period. Resul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color specification ($L^*$, $a^*$, $b^*$) values after accelerated aging except $L^*$ value of G-CEM LinkAce (P<0.05). After 24 hours, color difference (${\Delta}E^*$) values were ranged from 2.47 to 3.48 and $L^*$ values decreased and $b^*$ values increased in all types of cement and MaxCem Elite had high color stability (P<0.05). After thermocycling, color change's tendency of cement was varied and color difference (${\Delta}E^*$) values were ranged from 0.82 to 2.87 and G-CEM LinkAce had high color stability (P<0.05). Conclusion: Color stability of dual-cured self-adhesive resin cements after accelerated aging was evaluat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lor changes occurred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