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MAL CHANGE AND MICROHARDNESS IN CURING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VARIOUS CURING LIGHT SYSTEM

광중합기에 따른 복합레진 중합시 온도 변화와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 Lee, Do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 Kim, Dae-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 Yang, Yong-S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 이동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김대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양영숙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uring efficiency of newly developed curing units to traditional halogen curing unit by measuring thermal change and surface microhardness according to curing light system. Materials and mathods : The types of curing units were traditional low intensity halogen light(Optilux 360), plasma arc light(Flipo), low heat plasma arc light(Aurys), low intensity LED(Starlight), and high intensity LED(Freelight2). Temperature at the tip of light guide was measured by a digital thermometer using K-type thermocouple. And after resin was filled to 2, 3, 4mm teflon mold, bottom temperature measured during curing. After 24 hours, microhardness of top surface and bottom surface of each resin specimen were measured.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measuring temperature of curing unit tips, Flipo is the highest as $52.4^{\circ}C,\;Freelight2(37.86^{\circ}C),\;Optilux360(32.68^{\circ}C),\;Aurys(32.34^{\circ}C),\;and\;Starlight(26.14^{\circ}C)$ were followed. 2. Flipo and Freelight2 were the highest similarly and Optilux360 and Aurys were similarly next and Starlight was lowest in temperature of bottom surface of resin mold. 3. Microhardness of top surface were generally similar, and Aurys was relatively low. 4. Optilux 360 and Freelight2 were the highest, and Flipo, Starlight, and Aurys were followed in microhardness of bottom surface.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careful use of Flipo and Freelight2 might be able to cure greater depth of resin composite and do not cause thermal problems than other curing units.

현재 복합레진의 중합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할로겐광 중합기,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 레이저, LED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광조사에 따른 온도 증가와 중합 깊이 등이 수복치과학의 오랜 관심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원에 따라 얼마나 온도 증가가 일어나는지, 그리고 중합 깊이에 따른 표면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전통적인 할로겐광 중합기에 대해 새로 개발된 중합기의 중합능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기존의 할로겐광 중합기(Optilux 360)에 대해 최근 시판되는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Flipo), 열 발생을 감소시킨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Aurys), LED(Starlight), 그리고 중합시간을 감소시킨 고강도 LED(Freelight 2)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였다. 우선 상온$(23^{\circ}C)$에서 각 중합기 표면의 온도를 측정한 후 각각 2, 3, 4mm의 테플론 mold에 레진(Z-100, $A_2\;Shade$)을 충전하고 하면에서 중합시 최고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시편 상, 하면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합기 표면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Flipo가 평균 $52.4^{\circ}C$로 가장 높았고 Freelight $2(37.86^{\circ}C),\;Optilux\;360(32.68^{\circ}C),\;Aurys(32.34^{\circ}C),\;Starlight(26.14^{\circ}C)$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2. 복합레진을 2, 3, 4mm 테플론 mold에 채우고 중합시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Flipo와 Freelight 2가 유사하게 가장 높았고 Optilux 360과 Aurys가 유사하게 그 다음이었으며 Starlight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복합레진 상면의 미세경도는 전반적으로 유사하였으나 Aurys로 중합한 군에서 약간 낮게 측정되었다. 4. 복합레진 하면의 미세경도는 2, 3, 4mm모두에서 Optilux 360과 Freelight 2로 중합한 군에서 유사하게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Flipo, Starlight 순이었으며 Aurys로 중합한 군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볼 때 Flipo와 Freelight 2를 주의깊게 사용한다면 중합도와 시간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