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recycled plastic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貝角 廢棄物과 混合 廢플라스틱을 이용한 射出用 素材에 대한 硏究 (Injection moldable material utilizing shell waste and recycled polyethylene)

  • 정미화;정용찬;전병철;조봉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3호
    • /
    • pp.55-62
    • /
    • 2005
  • 굴 양식의 부산물인 패각과 혼합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서 패각의 함유 및 패각 표면 재질에 따른 물성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먼저 패각과 순수 LDPE를 twin screw extruder를 시용하여 40 wt%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 M/B)를 제조한 후, 다시 이를 순수 LDPE와 섞어서 패각 함유 10 wt%에서 40 wt%까지의 사출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한편 순수 LDPE 대신에 혼합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출용 시편을 제조하였고, 패각과 혼합 폐플라스틱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패각의 표면을 양이온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치환하였다. 표면 개질 패각을 이용하여 혼합 폐플라스틱과의 혼입을 통해 상기와 동일 함량을 갖는 사출 시편을 제조한 후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표면을 개질한 패각을 함유한 혼합 폐플라스틱은 미개질 패각 함유 시편에 비해 매트릭스와의 상용성 증가로 인해 굴곡강도, 압축강도, 열변형 온도 등의 물성 향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패각을 함유시 혼합 폐플라스틱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으로 인해 새로운 용도 개발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자동차(自動車) Air Filter PET/PP 혼합(混合) 폐(廢)플라스틱의 재활용(再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Recycling of Air filter PET/PP mixed Plastics from Automobiles)

  • 안태광;김혜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3호
    • /
    • pp.21-28
    • /
    • 2008
  •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되는 air filter media인 PET와 frame으로 사용되는 PP의 혼합폐플라스틱의 제조공정의 edge scrap 및 부품의 교체로 발생된 post-consumer waste에 대한 재활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거된 혼합 폐플라스틱을 파쇄 및 건조시킨 후 세 가지 형태의 상용화제의 배합비 별로 압출기를 이용한 용융 블렌딩을 실시하여 재생 칩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상용화제는 EVA, MBS, 그리고 가소화 재생 PVB이고, 이들의 배합비는 $3{\sim}10wt.%$까지 혼합하였다. 상용화제의 종류와 배합비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특성과 열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들 상용화제 종류별 분석에서는 MBS 상용화제가 가장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좌였고, 배합비는 $3{\sim}5wt.%$에서 우수한 특성 값들을 보였다. 또한 EVA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경우 배합비가 $3{\sim}5wt.%$에서 내충격성 및 열적 특성의 향상을 보여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재활용 제품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재생 PVB수지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경우는 전체적으로 특성치의 저하를 보이기는 하나 toughening effect가 요구되는 분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경화 전 성질 (Properties of Fresh Polymer Concretes Using Mixed Waste Plastics)

  • 주명기;이윤수;김문찬;김윤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7-12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PA)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작업성, 경화시간 및 경화수축에 미치는 결합재 첨가량 및 PA 혼입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작업성은 결합재 첨가량, PA 혼입량 및 필러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은 촉매제 첨가량 및 양생온도의 증가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길이변화는 결합재 첨가량 및 PA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 종말품의 재활용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더욱 광범위한 복합재질 폐플라스틱 종말품의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활용 PP/EVOH/PP 스크랩의 상용화제별 열적/기계적 특성연구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P/EVOH/PP Scrap with Compatibilizers)

  • 전용진;안태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6-181
    • /
    • 2008
  • 식품 포장재로 사용되는 PP/EVOH/PP 다층 복합필름 scrap의 재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PP/EVOH scrap에 두 종류의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열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열적 특성은 융융거동을, 그리고 기계적 특성으로는 인장강도, 파단신율, 인장탄성율 등의 특성을 상용화제의 종류와 조성비 변화에 따라 조사하였다. 이들 연구로부터 상용화제인 Minanto-s와 GMS에 대해서 모두 0.5wt. %이상의 조성에서 혼합재질인 PP/EVOH scrap의 상용성을 갖게 함을 알 수 있었다.

가연성 건설폐기물의 자원화 제고를 위한 방안 (A Study on the Promotion of Combustible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 박지선;이세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89-95
    • /
    • 2009
  • 현행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에서는 다양한 성상으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종류를 17가지로 구분하고 이중 제17호의 혼합폐기물은 건설폐토석을 제외한 나머지 15가지 성상의 건설폐기물중 둘 이상의 건설폐기물이 혼합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중 폐콘크리트, 폐아스콘과 같은 건설폐재류는 대부분이 순환골재와 같이 재활용되고 있으며 폐금속과 같은 유가성 자재류는 대부분 분리 판매되어 2차 제품 제조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섬유 등과 같은 가연성 폐기물의 경우 발열량이 높고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함유량이 적어 RDF나 RPF와 같은 에너지 연료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상당량이 혼합폐기물 형태로 배출되어 단순 소각 및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순하게 외관상의 분류만을 고려하여 설정한 현행 "건폐법"과는 달리 최초 발생단계에서부터 최종처리까지 건설폐기물의 흐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건설폐기물의 분류를 크게 가연성, 불연성, 가연성 불연성 혼합,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가연성 폐기물의 경우 기존의 소각 폐기물을 중심으로 폐목재, 폐섬유 등 기존의 소각 폐기물을 중심으로 분류를 하고 불연성은 재활용이 원활한 건설폐재류와 기타로 구분, 혼합건설폐기물은 발생 자체부터 서로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어 분리 자체가 어려운 폐기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이상에서 폐기물은 지정폐기물을 제외하고 모든 기타 폐기물로 분류하도록 하였으며 기본적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1차적으로 가연성, 불연성, 혼합폐기물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시스템이 되도록 폐기물의 분류를 실시하였다.

  • PDF

PUB 분말이 충전된 혼합폐플라스틱/$Mg(OH)_{2}$ 복합소재의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 (Flame Retardancy & Mechanical Properties of Mixed Waste $Plastic/Mg(OH)_{2}$ Composites Reinforced with PUB Powder)

  • 정기창;송종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5-71
    • /
    • 2006
  •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olefinic mixed waste plastics/filler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inorganic flame retardant(magnesium hydroxide) and PUB(polyurethane block) powder generated from cryogenic insulation process. All composites were obtained by extrusion and after compression molding. The effect of PUB powder on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as studied by tensile and izod impact test, morphology studies and flammability as LOI and UL94 vertical burning test and smoke density.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obtain good mechanical properties from recycled PP composites with $Mg(OH)_{2}/PUB$ powder as fillers and optimum cost-performance balance, in addition to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s.

再生 HIPS에 石炭灰 첨가에 따른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in Recyclate HIPS with Concentration of Fly Ash)

  • 안태광;김덕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2호
    • /
    • pp.34-40
    • /
    • 2001
  • 유제품 공병(high impact polystyrene, HIPS)은 통상 수집 , 파쇄, 알루미늄 제거를 위한 화학처리, 수세를 겸하여 함께 들어 있는 PP, PE, 가소화 PVC등과의 분리과정을 경유하여 파쇄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다시 압출기를 이용하여 이들 파쇄품을 칩으로 제조한 후 화력발전소의 부산물인 석탄회(fly ash)를 filler로 사용하여 조성별로 혼합하여 사출형 시편 제조기를 사용하여 시편을 제조하여 이들 석탄회를 포함한 시료들에 대한 열적 성질과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고 인장강도, 모듈러스 및 신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Izod 충격강도와 굴곡강도를 함께 조사하였다. 이들 혼합된 석탄회가 수지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이들로부터 재활용을 위한 복합물의 조성으로 5∼30%가 가장 적합하였다.

  • PDF

폐폴리에틸렌 필름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ycling of Waste Polyethylene Film)

  • 이환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2-188
    • /
    • 2008
  • 폐폴리에틸렌 필름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폴리에틸렌과 비산재를 사용하여 콤파운드를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고분자는 생활쓰레기에서 분리수거한 폴리에틸렌(PE)과 포장용 필름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에서 얻어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다. 폐폴리에틸렌의 물리적 성질을 개량시키기 위하여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포집한 석탄재와 생활쓰레기 소각로굴뚝에서 얻어지는 비산재를 사용하였다. 발전소 석탄재를 투입하면 재활용 LDPE와 LLDPE 콤파운드의 인장강도는 감소하고 굴곡모듈러스는 증가하였다. 역청탄재를 혼합한 경우에 비하여 무연탄재를 투입한 LLDPE 콤파운드의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약간 높았으며, 이는 무연탄재가 다소 많은 량의 미연소 탄소를 가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생활쓰레기에서 얻어진 PE 단독에 소각로 비산재를 투입하면 인장강도와 굴곡강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소각로 비산재에 의한 상승효과는 생활쓰레기 PE에 포장용 필름 스크랩의 LDPE를 섞게 되면 Filler 입자가 LDPE의 결정화를 방해하기 때문에 상쇄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소각로 비산재를 혼합하여 생활쓰레기 PE를 재활용한 콤파운드는 하수관 등을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결과를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에 적용시키면 폐기물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보존과 자원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잔골재에 의한 시멘트 모르타르 기초 물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Cement Mortar with Plastic Fine Aggregates)

  • 이준;김경민;조영근;김호규;김영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83-388
    • /
    • 2019
  • 본 연구는 폐플라스틱 중 저급의 복합재질 필름류 포장재를 콘크리트 원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LLDPE 및 HDPE의 2종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잔골재를 사용하여 혼입률을 0, 25, 50, 75, 100%로 증가시키면서 플라스틱 잔골재의 종류 및 혼입률이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LLDPE 잔골재 및 HDPE 잔골재 혼입 모르타르는 유동성 및 재료분리저항성, 밀도 및 흡수율, 재령별 압축강도 및 휨강도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플라스틱 잔골재를 혼입하지 않은 모르타르 대비 플라스틱 잔골재 혼입 모르타르의 유동성은 혼입률 50% 까지는 증가하다가 혼입률 75%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플라스틱 잔골재의 혼입에 따라 모르타르의 재료분리저항성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플라스틱 잔골재의 낮은 밀도로 플라스틱 잔골재 혼입에 따라 모르타르의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플라스틱 잔골재와 시멘트 사이의 낮은 부착력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잔골재 혼입에 따라 재령별 압축강도는 플라스틱 잔골재 혼입률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나. 재령별 휨강도는 플라스틱 잔골재 혼입률 50% 이상에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폐기물(建設廢棄物)의 리싸이클링 현황(現況)과 연구동향(硏究動向) - 국내자원(國內資源)의 유효이용(有效利用)을 위한 처리(處理) 및 회수기술동향(回收技術動向)(4) - (Recent Status on the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and Research Trends - The Current Situation of Recycling Technology for Waste Resources in Korea(4) -)

  • 오재현;김미성;신희덕;민지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2호
    • /
    • pp.16-29
    • /
    • 2008
  • 우리나라 사업장 폐기물의 51.7%에 해당되는 47,294천톤이 건설폐기물이고, 이 폐기물의 96.7%가 재활용되는 것으로 집계되어 있다. 한편 고품질 순환골재의 생산을 일부기업에서 시도하고 있으나, 천연골재를 대체하기에는 아직 미급한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 혼합폐기물의 정의가 애매하여, 혼합폐기물의 선별자원화가 매우 부실하다. 폐목재의 경우 PB(particle board)용으로 수요가 많으나, 현장에서 폐목재의 수집이 쉽지 않다. 2005년 대형국책과제를 수행하는 $\ulcorner$건설폐기물재활용연구단$\lrcorner$이 발족하였다. (사)한국자원리싸이클링 학회지에 게재된 건설폐기물 관련 보문은 주가 폐기물을 이용해서 건설자재로 재활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