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ochondrial COI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De Geer, 1773 (Orthoptera: Gryllidae) in South Korea

  • Gyu-Dong, Chang;Su Hyun, Yum;Jeong-Hun,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2호
    • /
    • pp.115-125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seven populations of two-spotted crickets (Gryllus bimaculatus De Geer, 1773 (Orthoptera: Gryllidae)) raised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we observ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eight of the nymphs in the six populations we tested. After molting, although weigh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populations in each stage of the developmental period, the average weight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was constant. We also analyzed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DNA barcoding region) of the reared crickets collected from five insect farms and two national insect rearing facilities and the resultant sequence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12 sequences from foreign countries specimens obtained from public data. We detected six haplotypes from 111 specimens, indicating a low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1.8%). The most dominant haplotype was overwhelmingly haplotype 1, which was found in all South Korean specimens and four specimens from China, Indonesia, and German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w genetic diversity of South Korean specimen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G. bimaculatus population imported for feed from Japan in the early 2000s became a maternal group that spread throughout cricket farms in South Korea. In order to breed healthy cricket strain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genetic diversity by importing them from other countries through appropriate quarantine procedures.

한국산 미기록속 Areotetes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the Genus Areotetes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Korea)

  • 한윤종;손주형;임종옥;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07-311
    • /
    • 2022
  • 과실파리, 굴파리의 유충에 기생하는 Areotetes van Achterberg & Li, 2013(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바 있다. 현재까지 Areotetes속에는 4종이 보고되어 있다. 금번 연구에서 Areotetes속의 1종, Areotetes carinuliferus van Achterberg & Li, 2013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본 종의 형태 진단, 분포, 도해도를 작성하였고, 추가적으로 미토콘드리아 COI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국산 둥글넙치과(Bothidae) 어류, Bothus pantherinus의 첫기록 (First Record of Bothus pantherin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정시영;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4-49
    • /
    • 2023
  • 둥글넙치과, 별목탁가자미속에 속하는 Bothus pantherinus 1개체가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항 조간대에서 2022년 8월 14일 처음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가슴지느러미와 눈주위에 검은 점과 고리 모양의 무늬, 유안측 측선 중앙에 하나의 뚜렷한 반점을 가지는 점, 75개의 측선비늘과 7개의 모래시계 모양의 등지느러미 담기골을 가지는 점 등에서 B. pantherinus로 동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영역 603 bp를 분석한 결과 NCBI에 등록된 B. pantherinus와 잘 일치하였다. 본 종은 인도양, 호주, 일본, 하와이 등 북위 32도에서 남위 32도 사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본 종의 분포역이 한국의 제주도 해역(북위 33도)까지 확장되었다. 국내에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벚꽃무늬둥글넙치"를 제안한다.

제주도 남부해역에서 채집된 Bathylagidae (바다빙어목) Lipolagus ochotensis 자어의 한국 첫기록 (First Record of the Eared Blacksmelt, Lipolagus ochotensis (Bathylagidae, Osmeriformes) Larvae from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Korea)

  • 윤문주;지환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2~3월 제주도 남부해역에서 Bathylagidae에 속하는 Lipolagus ochotensis 자어 4개체(체장 13.4~21.3 mm)를 봉고네트로 채집하였다. L. ochotensis 자어는 몸이 길게 신장되었으며, 체고는 낮고, 눈이 돌출되며, 몸의 후반부에 흑색소포가 나 있고, 등지느러미가 몸 중앙에 위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미토콘드리아 DNA COI의 염기서열 625 bp를 분석한 결과, L. ochotensis 성어와 97.6%로 매우 가깝게 나타났다. 국내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새로운 과명으로 "심해빙어과", 속명으로 "검은빙어속", 국명으로 "검은뺨빙어"를 각각 제안한다.

DNA barcoding of fish diversity from Batanghari River, Jambi, Indonesia

  • Huria Marnis;Khairul Syahputra;Jadmiko Darmawan;Dwi Febrianti;Evi Tahapari;Sekar Larashati;Bambang Iswanto;Erma Primanita Hayuningtyas Primanita;Mochamad Syaifudin;Arsad Tirta Subangki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87-99
    • /
    • 2024
  • Global climate change, followed by an increase in anthropogenic activities in aquatic ecosystems, and species invasions, has resulted in a decline in aquatic organism biodiversity. The Batanghari River, Sumatra's longest river, is polluted by mercury-containing illegal gold mining waste (PETI), industrial pollution, and domestic waste. Several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suggesting a decline in fish biodiversity within the Batanghari River. Howeve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present status of biodiversity in this river is currently lacking. The species under investigation were identified through various molecular-based identification methods, as well as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which involved the use of neighbor-joining (NJ) trees. All collected specimens were initially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techniques and subsequently confirmed with molecular barcoding analysis. Morphological and DNA barcoding identification categorized all specimens (1,692) into 36 species, 30 genera and 16 families, representing five orders. A total of 36 DNA barcodes were generated from 30 genera using a 650-bp-long fragment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gene. Based on the Kimura two-parameter model (K2P), The minimum and maximum genetic divergences based on K2P distance were 0.003 and 0.331,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genetic divergence within genera, families, and orders was 0.05, 0.12, 0.1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verage interspecific distance was approximately 2.17 times higher than the mean intraspecific distance.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I barcode enabled accurate fish species identification in the Batanghari River. Furthermore, the present work will establish a comprehensive DNA barcode library for freshwater fishes along Batanghari River and be significantly useful in future efforts to monitor, conserve, and manage fisheries in Indonesia.

한국 제주도 남동부해역에서 첫 출현한 성대과(양볼락아목), Lepidotrigla longifaciata 자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Larva of th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Lepidotrigla longifaciata (Scopaenoidei: Triglidae) from the Southeastern Sea of Jeju Island of Korea)

  • 장재훈;지환성;유효재;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1-106
    • /
    • 2024
  • 2020년 5월 제주도 남동부 해역에서 봉고네트로 성대과 자어 1개체(전장 5.14 mm)가 채집되었다. 본종은 mtDNA COI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달재속 1 미기록종, Lepidotrigla longifaciata로 확인되었다. 본종의 전기자어의 형태적 특징은 긴 주둥이, 큰 입, 부채 모양의 큰 가슴지느러미를 가지며, 흑색소포는 복강과 목덜미에만 관찰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본종의 신국명으로 '긴머리 달재'를 제안한다.

다중 PCR 분석법을 이용한 전갱이속 어종의 신속한 종판별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Duplex PCR Method of Identifying Trachurus japonicus and Trachurus novaezelandiae)

  • 박연정;이미난;김은미;노은수;노재구;박중연;강정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62-1067
    • /
    • 2018
  • 국제 무역 및 전세계 수산물 소비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수산물이 국내로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다. 최근 수입 수산물의 종명 및 원산지 표시사항을 허위로 기재하는 경우가 급증하여 식품안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수산물의 안전관리를 위해 DNA 기반 기술을 이용한 종 판별법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대형선망어업 어종 중 하나인 전갱이속 어류의 종을 판별하기 위해 duplex-PCR을 사용한 검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국내에 유통되는 T. japonicus과 T. novaezelandiae의 시료를 확보하여 COI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종간 특이성을 나타내는 단일염기다형성 유전자를 탐색하였으며, PCR 증폭 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2개의 종 특이적인 정방향 primer를 설계하였다. Duplex-PCR 분석 결과, T. japonicus (103 bp), T. novaezelandiae (214 bp)와 같은 단일 밴드를 전기영동상에서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상호간의 비 특이적 밴드는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duplex-PCR 방법을 통한 T. japonicus과 T. novaezelandiae에서 최저 $0.01ng/{\mu}l$까지 검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duplex-PCR 분석법을 이용한 전갱이속 어류의 종 판별법은 정확도와 민감도가 우수하여 수산물의 수출입 및 시중에 불법적으로 유통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신속하고 과학적으로 판별할 수 있어 수산물안전관리에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다중 PCR 분석법을 이용한 참조기, 부세, 흑조기 및 긴가이석태의 신속한 종판별법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plex PCR Assay for Rapid Identification of Larimichthys polyactis, L. crocea, Atrobucca nibe, and Pseudotolithus elongates)

  • 노은수;이미난;김은미;박중연;노재구;안철민;강정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46-753
    • /
    • 2017
  • 참조기는 민어과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산업 어종 중 하나이다. 최근 과도한 남획과 해양 환경의 변화로 참조기의 어획량이 줄어들자 일부 유통과정에서 유사어종인 부세, 흑조기 및 긴가이석태를 참조기로 둔갑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 특이 primer를 사용하여 참조기, 부세, 흑조기 및 긴가이석태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였다. 약 1,400 bp의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종간 특이성을 나타내는 단일염기다형성 유전자를 탐색하였으며, PCR 증폭산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4개의 종특이적 정방향 primer를 제작하였다. 단일 PCR을 이용한 종간 교차반응을 통하여 최적의 PCR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이후 제작된 4개의 정방향 primer를 혼합하여 4종에 대한 다중 PCR 반응을 진행하였다. 증폭된 산물은 전기영동을 통해 크기에 따라 1,540 bp, 1,013 bp, 470 bp 그리고 182 bp로 분리되었으며, 각각 참조기, 흑조기, 부세, 긴가이석태로 명확하게 판별이 가능하였다. PCR 민감도 측정에서도 모든 종에서 $0.1ng/{\mu}l$의 농도까지 검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참조기와 유사어종에 대한 종특이 다중 PCR 분석법은 정확도와 민감도가 우수하여, 불법 유통가능성이 있는 제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판별로 식품안전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한국고유종 북방종개(어류강, 미꾸리과)의 집단유전학적 구조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 Distributed in Northeast Korea)

  • 장숙진;고명훈;권예슬;원용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61-471
    • /
    • 2017
  • 북방종개(Iksookimia pacifica)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 동해 독립하천들에 서식하는 10개의 집단들을 대상으로 핵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에 기반한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미토콘드리아와 핵유전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유전적 분화가 관찰되었다. 핵유전자들의 DNA 서열자료에서 추출한 유전자형 자료를 Bayesian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북방종개는 천진천과 양양남대천을 기준으로 북쪽과 남쪽의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구조를 보였다. 현재 동해 하천들이 지리적으로 단절되어 온 독립 수계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남북으로 구별되는 집단유전적 구조는 북방종개가 한반도에 정착했던 초기 조상 집단이 남북으로 갈라지는 지리적인 분리 사건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초기 조상집단의 지리적 분리 이후, 두 조상그룹들은 남북의 지리적인 범위 내에서 하천 별 고립에 따른 추가적인 분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목할 점으론, 자산천 집단의 많은 개체들이 지리적 거리가 먼 양양남대천 및 강릉남대천 집단과 하나의 유전적 cluster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경우 몇몇 이웃하는 집단들 사이에 현저히 낮은 유전적 분화도 그리고 일부 집단들에서 매우 낮은 유전적 다양성이 관찰되었다. 본 집단유전학적 결과는 향후 북방종개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Description of Nearly Completed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of the Garden Chafer 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Endangered in Korea (Insecta: Coleoptera)

  • Kim, Min Jee;Kim, Ki-Gyoung;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1호
    • /
    • pp.185-202
    • /
    • 2013
  •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nearly complete mitogenome sequences of the garden chafer, 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which is listed a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The P. l. manchurica mitogenome, which includes unfinished whole A+T-rich region and a partial srRNA was 14,473-bp long, possessing typical sets of genes (13 PCGs, 22 tRNA genes, and 2 rRNA genes). Gene arrangement of the P. l. manchurica mitogenome was identical to the common one found in the majority of insects. The 5 bp-long motif sequence (TAGTA) that has been suggested to be the possible binding site for the transcription termination peptide for the major-strand was also found in the P. l. manchurica mitogenome between $tRNA^{Ser}$(UCN) and ND1. The start codon for COI gene and ATPase8 was designated as a typical TTG. All tRNAs of the P. l. manchurica showed a stable canonical clover-leaf structure of other mt tRNAs, except for $tRNA^{Ser}$(AGN), DHU arm of which could not form stable stemloop structure. As has been previously determined, the high A/T content was unanimously observed in P. l. manchurica in terms of A/T bias in the third codon position (73.5%) compared with the first (66.4%) and second codon position (66.2%). The PCGs encoded in major-strands are slightly T-skewed, whereas those of the minor-strand are A-skewed, indicating strand asymmetry in nucleotide composition in the Coleoptera including P. l. manchu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