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tletoe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20 kGy 감마선으로 조사된 겨우살이 냉수 추출물의 90일 반복투여 독성평가 (90-day Repeated-dose Oral Toxicity Study of 20 kGy Irradiated Cold Water Extract Powder of Mistletoe)

  • 김진경;전영은;윤성복;이주운;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04-711
    • /
    • 2011
  •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암 치료의 보조제로 사용하고 있는 겨우살이의 독성성분의 구조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겨우살이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 감마선을 조사한 겨우살이 냉수 추출물의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ICR계 열의 암수 마우스에 시험물질을 0, 20, 100 및 500 mg/kg/day의 용량으로 90일간 반복 경구투여한 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혈액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소견,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기간 중 암수 모든 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일반적인 증상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시험물질의 반복 투여로 인한 사망례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물질의 투여에 기인한 유의적인 체중감소 또한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기 이외의 육안적인 부검소견에서도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어떠한 이상소견도 발견되지 않았다. 혈액학적 분석 결과 일부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총 백혈구 수와 림프구, 중성구, 단핵구, 헤모글로빈, 혈중 적혈구 비율, 평균 헤모글로빈의 함량, 평균헤모글로빈 농도, 적혈구 크기 분포폭, 혈소판의 수치가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으나, 정상범위 내에서의 변화로 감마선조사에 의해 야기된 독성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또한 혈청 중의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수치가 대조군과 비교할 때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냈으나 정상 생리 범위 내에서의 변화로 시험물질에 의한 독성이라 판단하기는 어렵다. 간장과 신장의 조직학적인 관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독성 시험 결과, 20 kGy 감마선 조사 겨우살이 냉수 추출물을 3개월간 ICR 마우스에 섭취시 킨 경우, 시험한 최고 농도인 $500{\mu}g$/kg/day에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국산(韓國産) 겨울살이류(類)의 당류(糖類)와 triterpenoids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분석(分析) (Analysi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Saccharides and Triterpenoids in the Korean Native Mistletoes - I. Triterpenoids -)

  • 안원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1996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nents of C30 compounds, especially triterpenoids in Korean native mistletoes of Korthalsella japonicus Engler parasiting to Camellia japonica L.,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mi, to Quercus acutissima Carruth. and Loran-thus yadoriko Sieb. to Neolitsea sericea (BI.) Koidz. For the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al components, alkaline hydrolyzates of mistletoes meals were analyzed by TLC, GC, and GC/MS. The content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derivatives were highest in K. japonica. In V. album,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leaves and twigs in content. but oleanolic acid in leaves. and olean-12-en-$3{\beta}$-ol and lup-20(29)-en-3-one in twigs were prominent. Similiar to V. album in L. yadoriki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leaves and twigs in content, and both olean-12-en-$3{\beta}$-ol, lup-20(29)-en-3-one and urs-12-en-$3{\beta}$-ol in leaves, lup-20(29)-en-3-one in twigs were abundant. Triterpenoids as olea-12-en-$3{\beta}$-ol, lupe-20(29)-en-3-one, 3-oxo-urs-12-en-24-oic acid, and $21{\beta}$-A'-neogam-macer-22(29)-en-3-ol acetate were common in all samples tested. whereas ursolic acid only in P. japonicus and ursenol in L. yadoriki were detected. And P. japonicus had the largest number of triterpenoids and showed the highest in biological activity. So it is noted that Korean mistletoes tested in the study had three types of triterpenoid, oleanane, lupane, and ursane, irrespective of hosts, sampling positions and species.

  • PDF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MeOH Extracts from Three Korean Mistletoes

  • Choi, Won-Sil;Ahn, Won-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1-9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mistletoe by organic solvents partitioning of methanol extact of 3 Korean mistletoes, fractionationing on column chromatography, and evaluation the reduction of a free radical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Butanol partition of Loranthus yadoriki MeOH extract showed higher electron donating ability than ${\alpha}$-tocopherol. It was thought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gallic acid account for antioxidative activity, on execution sub-fractionation, electron donating ability evaluation, and GC/MS analysis, but further studies on what are major actives must be investigated exactly.

  • PDF

한국산 겨우살이의 지표성분 분석 연구(제 1 보) (기주식물과 생장지역에 따른 지표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zing Compounds of Korean Mistletoes (Viscum album var. coloratum))

  • 최경;박광우;황금희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8-148
    • /
    • 2013
  • The three biochemical constituents pointed out as the bioactive principles of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mistletoes, Viscum album var. colorantum, epiphyting to different host trees, different region, and different growth environments were compared. The characterizing compounds were lectin, which was glycoprotein reported has anticancer activity, homoflavoyadorinin-B, which was flavonoid glycoside reported as an antioxidant and oleanolic acid, as an anticancerous triterpenoid. We established the analysis methods for three characterizing compounds and determined by HPLC spectrophotometer, respectively. The average content of the lectin in V. album was 1.75 mg/g of dried plants and those of homoflavoyadorinin-B and oleanolic acid were 3.51 and 5.37 mg/g, respectively. The variations of contents of the three characterizing compounds according to epiphytic trees and growth region were observed but not found statistical significance clearly.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tents of bioactive constituents of V. album except homoflavoyadorinin-B are not affected by epiphyting trees or growth environments.

한국산 겨우살이의 산화적 DNA 손상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 of Korean mistletoes on the oxidative DNA damage)

  • 이소진;이미경;최근표;김나영;노성규;허문영;김종대;이현용;이진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6
    • /
    • 2003
  • 기주목(상수리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별 겨우살이 ethanol추출물과 5가지 분획물 (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butanol fr., aqueous fr.)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DPPH를 이용한 수소전자공여능, DNA에 대한 산화적 손상 및 손상억제 효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4종의 한국산 겨우살이의 ethanol추출물과 분획물 중 ethyl acetate fr.들이 높은 수소전자공여능을 보였다. Comet assay분석에서 head DNA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tail DNA의 생성을 억제하는 겨우살이 fr.들이 DNA에 대하여 항산화적 기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는 comet assay 유용한 parameter인 $tail\;length({\mu}m)$는 positiye control인 $H_2O_2\;(10^{-3}M)$로 40min동안 세포에 처리하여 산화적 손상을 준 결과, $149{\mu}m$의 tail length를 보였으며 , 상수리나무 겨우살이의 ethyl acetate fr.(0.1mg/ml)을 $H_2O_2\;(10^{-3}M)$와 동시 처리에는 $110{\mu}m$, 자작나무 겨우살이 ethyl acetate fr.은 $104{\mu}m$, 상수리나무 겨우살이 butanol fr.은 $123{\mu}m$, 자작나무 겨우살이 butanol fr.은 $118{\mu}m$로 tail length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겨우살이가 산화적 DNA손상을 방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국산 겨우살이는 산화적 stress를 일으키는 활성 산소 자유라디칼의 생성에 대해 보호활성을 나타내어 유용한 chemopreventive agent의 기능이 기대된다.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Ecological Environment of Native Habitats and Host Plant i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 이보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9-393
    • /
    • 2009
  •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겨우살이의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겨우살이의 분포지역의 기주수종과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겨우살이의 자생지는 전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대부분이였고 밤나무, 벚나무, 오리나무, 돌배나무 등에서 볼 수 있었다. 군락지의 같이 자생하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와 활엽수인 느티나무, 감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은행나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자생지의 고도는 해발 $0{\sim}1200\;m$까지 잘 생육되고 방향과 지형을 가리지 않고 기주식물이 잘 생육 할 수 있는 곳이면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종자 전파는 조류에 의함이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우살이의 기생은 흡기 발생부터 기주식물의 표피 또는 조직성분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공재배 연구의 좋은 성과를 위해 겨우살이가 잘 기생하는 기주식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종의 한국산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의 Tyromyces palustris, Endothia nitschkei 그리고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meOH Extracts from Three Korean Mistletose against Tyromyces palustris, Endothia nitschkei and Trichophyton rubrum)

  • 안원영;최원실;박미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49-60
    • /
    • 2000
  • 본 실험에서는 3종의 한국산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 분획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획을 실시한 후, Tyromyces palustris, Endothia nischkei 그리고 Trichophyton rubrum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여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균활성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겨우살이 추출물은 갈색 불후균에 대한 활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Viscum albumvar. coloratum 추출물중 부탄올 분획은 황색줄기 마름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겨우살이의 EtOAC 분획은 족부백선균에 대하여 높은 포자 발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된 3종의 한국산 경우살이류 중 V. album var. Coloratum은 병원균에 대하여 황균활성 성분을 함유할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Korean (Viscum album var. coloratum) and European Mistletoes (Viscum album)

  • Lyu, Su-Yun;Park, Sun-Myo;Choung, Bo-Yun;Park, Won-B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592-598
    • /
    • 2000
  • A lectin (agglutinin, VCA) from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L. coloratum) was isolated by affinity chromatograpy on a asialofetuin-Sepharose 4B. The molecular weights of A- and B-chains of VCA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VAAS. The VCA recognized the antibody of VAAs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and ELLA system. We also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s of the components in mistletoe by dividing the extract into different molecular weight fractions.

  • PDF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Anatomy of the Korean mistletoe and their haustorial features in host plants)

  • 최경;박광우;김혁진;이재동;구자춘;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1
    • /
    • 2009
  • 한국에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4종, 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등에 대해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주식물별 2차 흡기구조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한국산 겨우살이과 4 분류군을 종과 속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잎에서는 향축면과 배축면의 축, 중앙맥에 발달된 유관속 형태, 후벽세포의 발달 여부 등이, 줄기에서는 횡단면에서 줄기의 전체적인 형태, 큐티클층의 발달 정도, 유관속의 배열, 후벽세포와 수의 발달 여부 등이 표징형질로 조사되었다. 기주별 2차 흡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에서 각각 7종류 및 5종류의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지상부 흡기 발달 정도, 종단면에서 2차 흡기의 모양과 플랜지 발달 여부, 기주내 침투 지역과 흡기 축의 발달 여부, 2차 흡기에서 흡기세포의 위치와 짧은 흡기 가도관의 발달 여부 등 형질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에서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편, 기주식물의 강도와 흡기의 발달 정도에 따라 2차 흡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기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침투 지역, 흡기 짧은 가도관 세포의 발달 등 정성적인 형질들은 기주와 발달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여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징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