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conception typ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1초

전지의 연결방법에 따른 전류의 특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오개념 유형과 그 일관성 (Types of Misconceptions and their Consistenci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s of Batteries in Simple Electric Circuits)

  • 현동걸;신애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331-343
    • /
    • 2014
  • 전지의 연결방법에 따른 전류의 특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오개념 유형과 그 일관성에 대하여 조사되었다. 초등교사들의 전지의 연결방법에 따른 전류의 특성에 대한 오개념은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14명의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 전지들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시 전류의 특성을 연결하는 전지의 수에 초점을 맞추는 유형에는 2명의 초등교사가, 전지의 직렬연결에 대한 개념과 병렬연결에 대한 개념을 혼동하는 유형에는 8명의 초등교사가, 그리고 전지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대한 개념을 저항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대한 개념으로 혼동하는 유형에는 4명의 초등교사가 분포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전지의 연결에 대한 학습개념이 적용되는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분화개념이 적용되어야 하는 상황에서도 그들의 오개념 유형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있었다.

  • PDF

편각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구과학 II 교과서의 기술 (Teachers' Understanding of Declination and Its Explanation Presented in the Earth Science II Textbook)

  • 이규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85-597
    • /
    • 2014
  • 본 연구는 비쌍극자 모형이 제시된 읽기 자료만으로 교사들의 편각에 대한 이해도가 얼마나 높아질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와 함께 2009 개정 교육과정 하의 "지구과학 II" 교과서에서 기술된 내용이 과거의 교과서 내용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편각에 대한 이해도 조사는 1급 정교사 연수를 받고 있는 경기도 지역 교사 30명, 서울지역 교사 3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도 편각에 관한 여러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표적으로 나침반 바늘이 자북극을 가리킨다고 하는 오개념이 있었다. 이러한 오개념은 읽기 자료만으로도 잘 수정되지 않았다. 둘째로 비쌍극자 모형이 포함된 읽기 자료를 통해 편각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셋째로 개발된 자료는 학생들에 비해 교사들에게 더욱 효과적임을 통계적인 방식으로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비쌍극자 모형이 포함된 설명도 보완 수정이 필요함을 알았다.

Developing a Web-Based System for Testing Students' Physics Misconceptions (WEB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 Kim, Min-Kee;Choi, Jae-Hyeok;Song, Jin-Woo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5-119
    • /
    • 2007
  • Several studies have attempted to test students' misconceptions of physics and to provide teaching strategies in order to repair them. The results from these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diagnosis of students' misconception is crucial, although they often failed to grasp the practice of its implementation. In terms of being a type of methodology for science education, the Internet allows large-scale surveys and investigations to be carried out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SYStem for TEsting students' Misconceptions in physics (WEBSYSTEM) aimed at three groups (science educational researchers who study students' physics conceptions using the system as a detector, school science teachers who practice it as an instructional material, and students who benefit from it fo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he web-based testing system is based on a review of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ADDIE (Gustafson, Branch, 2002; Rha, Chung, 2001). Results showed that WEBSYSTEM could work effectively as a multi-purposed tool for the three target groups with a further partial revision, providing educational researchers with resourceful data to study students' misconceptions in physics. Issues of administrative strategies, reexamination of questionnaire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via WEBSYSTEM are discussed.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the Lunar Phases on Instyuction Using the Lunar Phases Drawing Module)

  • 김종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3-363
    • /
    • 2006
  • 이 연구는 달의 위상 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46명을 대상으로 달의 위상 작도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학습자의 인지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개념 변화를 면담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전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달의 위상 개념에 대한 오개념 유형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는 S 유형, 위치 관계에 따라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거나 관측자가 햇빛을 반사하는 달의 부분을 보기 때문이라는 과학 개념을 함께 가지는 SR 유형, 위치 관계에 따라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거나 주위 배경의 밝기에 따라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SB 유형, 지금까지 언급한 모든 경우로써 각 위치의 달의 위상을 설명하는 SRB 유형이 있었다. 모듈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로는 수업 전 오개념을 가지고 있던 36명 중 26명이 과학 개념을 형성한 반면, 수업 후에도 과학 개념을 형성하지 못한 학생이 10명이었다. S 유형 11명 중 7명이, SR 유형 17명 중 3명이 과학 개념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특히 S 유형의 학생들은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의 위상이 변할 것이라는 기존 개념을 쉽게 바꾸지 못하였는데, 이는 그들의 선개념이 너무 견고하였거나, 제공한 모듈에서 제시하는 위상 결정 방법이 그 학생들에게는 선개념 체계보다 문제 해결에 있어 보다 유익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학생들의 선개념은 수업에 의해 쉽게 과학 개념으로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오브제적 공간구성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objectified Spatial Composition in Interior Design)

  • 김수정;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20-130
    • /
    • 2006
  • This study is about objectified spatial composition. The Interior Design field has grown and established its major trends dependent upon other related field of study. With this perspective in mind, esthetics on Interior Design has to be treated in similar manner. In modem architects or fine artists have defined the terminology 'objectification' theoretical principle where by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object's type' and 'objects', Presently, the term 'objectified' became a trend word. In order to confront misconception of the idea of 'objectification', some people define as reflection of this complex society. There are five types in expression of objectified spatial composition in Interior Design. Which are free form spatial composition through artistry of artists, fantastic spatial composition by polysemous collision, symbolic spatial composition from the metaphorical of form, aggregate spatial composition by geometric collision and geometric superimposition, and cultural spatial com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ing of tendency in various space expressions in Interior Design through searching how to express type of objectified spatial composition in Interior Design from 2000 through 2005.

계통도를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유형 연구 (The Typ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reconceptions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 우종옥;이항로;민준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9-393
    • /
    • 1995
  • In spite of school science learning, the students' conceptions have not been changed easily. Therefore, to make students overcome their non scientific conception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for estimating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s related to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by the specialists in Science Educator and Astronomer. At the same time, the two field trials had been executed, and the items were modified. Also, it consists of 12 items including 9 two-tier multiple choice items and 3 multiple choice item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consists of 250 eighth-, 299 tenth-, 292 eleventh-grade students, 134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SPSS/PC+ was adop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type of misconceptions possessed students were as follows: 1) At 12:00 noon, the sun is directly overhead. 2) First quarter moon is a half of overall surface of the moon. 3) Air don't rotate with the earth surface because it keeps apart from the earth surface. 4) Summer is warmer than winter, because the earth is nearer from the sun in summer. 5) Whenever season is changed, the direction of rotation axis of the earth is changed. 6) The moon is the brightest at the position of new moon,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moon and the sun is the shortest and the moon is received strongest sunlight. 7) The moon is not seen at the position of real full moon, because it is covered with shadow of the earth. 8) When the moon is not seen in the earth, sunlight is not reached at the mo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more misconceptions than thos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d more misconceptions than those of male ones. 2) The rate of correct answer and the type of conception in the tenth grade students were very similar with eleventh grade students. 3) The higher cognitive level, the better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ion and the less misconception.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 score and GALT score was 0.57. 4) The students in scientific part had higher the rate of correct answer than those of students in human part and the former had less misconception than the latter. 5) The rate of correct answer about model and figure items was lower than descriptive ones, because they did not understand about figures itselves. These types of misconceptions will be used for science instruction and studies of other conceptions need.

  • PDF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서 삼투압과 반투막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Analysis of Types on Osmotic Pressure and Semipermeable Membrane Concept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 고영환;강대훈;류오현;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4-45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과 생물 교과서, 대학교 화학 및 생물 교재를 중심으로 삼투압과 반투막의 개념에 대한 설명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투압에 개념에 관련된 설명 유형은 대략 4개 정도의 유형이 있었으며, 반투막에 관한 설명 유형은 3가지 정도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설명 유형 사이에는 시각의 차이가 있어서 같은 개념이 전혀 다른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설명 유형의 차이는 학생들의 이해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교과서 구성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불일치 사례로 유발되는 초등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정성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Produced by a Discrepant Event)

  • 고한중;석종임;노태희;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426-434
    • /
    • 2005
  •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oward a discrepant event about a float-or-sink problem were investiga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Initial participants were 61 fifth-grade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fter excluding the students who did not possess the target misconception from the results of a preconception test and who were not willing to participate in an interview, 31 students (14 males and 17 females) were finally interviewed by two teacher-interviewers. During the interviews, students were first provided with a hands-on experiment which was the same as the situation in the preconception test, and then they were asked about believability of the discrepant event, inconsistency between the discrepant event and their existing conceptions, and belief change after experiencing the discrepant event. Interviews were audio- and video-taped, and then were transcribed by two interviewers. After analyzing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we found four types of students' responses; rejection, uncertainty, peripheral belief change, and belief change. We also found that belief change response type sh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ive subtypes; belief decrease, ad-hoc belief change, and analytical-abductive belief change.

  • PDF

Science High-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Velocity & Acceleration and of the Motion of Bob When Tension is Removed in a Simple Pendulum

  • Kim, Young-Min;Jeong, Seong-Oh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11-619
    • /
    • 2006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a simple pendulum bob, and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 of inertia and gravitational force in the motion of a pendulum bob when the tension is removed. For the study, 46 students that had already studied the physical, concepts in simple pendulum were sampled from a science high school in a large city in Korea. For a comparison with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49 students were sampled from a general high school in the same city. The test tool for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four drawing and simple-answering type questions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outcome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concerning acceleration in pendulum motion, and that many of them do no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ce and acceler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re than 30% of the students drew the path of a bob going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at the highest point of the motion, and approximately 20% of them drew the path of a bob falling straight down at the lowest point of the motion.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의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flict Situation Types on Inducing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in Newton's Laws)

  • 임이숙;이영직;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83
    • /
    • 1998
  •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위해서는 갈등상황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여러 연구자들이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을 제시하여 그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읍소재지의 남자 고등학교 1학년으로 사전검사를 통하여 연구 목적에 합당한 34명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갈등상황의 유형 중 시범기구로 '현상'을 직접 보여주거나 논리적인 '논증'을 제시하는 두 가지 갈등상황을 이용하였다. 인지적 갈등 정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준거에 따라 4단계의 Likert 척도로 연구자 외 2인이 면담에 함께 참여하여 판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정확하고 눈금이나 수치로 나타나는 '현상'이 효과적이며 외부변인이 개입된 현상은 학생의 주의를 오도하므로 갈등유발이 어려웠다. '논리'를 제시할 때, 오개념을 가진 학생은 과학적 논리에 대변하여 갈등을 회피하며 오히려 다른 오개념의 논리에 의하여 갈등유발이 잘되었다.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은 논리제시로써 갈등을 유발하기 어려웠다. '현상'을 제시할 때와 '논리'를 제시할 때, 유발된 갈등을 비교해 보면 '논리'보다는 '현상'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념변화를 위해서는 직접 현상을 보여주는 인지적 갈등 전략이 바람직하며 이 때 제시되는 현상은 정확하고 분명한 것이 효과적이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