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temperature

검색결과 2,220건 처리시간 0.03초

분로저항을 가진 저항형 초전도 한류기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a resistive SFCL with shunt resistor)

  • 최효상;현옥배;김혜림;황시돌;김상준
    • 한국초전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전도학회 1999년도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Vol.IX
    • /
    • pp.343-347
    • /
    • 1999
  • YBCO film을 이용한 meander 형태의 저항형 한류기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초기의 과도상태에서 볼수 있는 첨두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shunt 저항을 병렬로 취부한 경우의 전기적특성을 살펴보았다. 인가전압을 16.5 V$_{peak}$로 가하고 R$_0$는 1 ${\omega}$,R$_L$을 7.7 ${\omega}$으로 하고 shunt 저항을 5 ${\omega}$으로 하였을 때 약 12.2 A$_{peak}$의 전류값에서 최초quench가 발생하였으며 초전도 한류소자에 quench 발생으로 인한 저항이 발생함과 동시에 I$_1$으로 흐르던 사고전류의 일부가 shunt 저항이있는 I$_2$으로 서서히 분로하여 첨두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때 초전도 한류기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최대 사고전류는 약 16.5 A$_{peak}$이었으며 초전도 한류기를 적용한 경우는 최대 한류전류값이 9 A$_{peak}$에서 4주기후에는 5.8 A$_{peak}$이었다. 인가전압 V$_0$=113 V$_{peak}$이고 표준저항 R$_0$는 1${\omega}$, 그리고 R$_L$을 7.7 ${\omega}$으로 하고 shunt 저항을 5 ${\omega}$으로 하였을 때 사고각 0 $^{\circ}$에서 사고전류값이 최고 23.0 A$_{peak}$까지 상승하고 이후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일반적으로 사고발생 직후에는 전류변화율에 의하여 전류값의 급격한 상승을 보이지만 shunt 저항이 전류분류의 역할을 수행하여 첨두전류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상온의 gold층의 저항을 감안했을 때 사고발생후 약 36msec 후에 상온에 도달하였으며 shunt 저항이 없는 경우의 11 msec에 비하여 약 3배이상 길어졌다. 사고각 45 $^{\circ}$와 90 $^{\circ}$인 경우는 반복실험에 의한 시편의 특성저하(degradation)에 의하여 정상상태에서 초전도체에 흐르는 전류가 약간 발생하였다. 계통의 신뢰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실제운전에서는 시편의 특성저하에 의한 quench전류의 감소를 감안하여 적절한 운전조건을 도출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앞으로는 장기간의 실제운전 조건을 고려하여 시편의 특성저하(degradation)와 가혹조건에 대한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고자 한다.

  • PDF

합판(合板)의 내화처리(耐火處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 III.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처리합판(處理合板)의 내화도(耐火度) (Studies on Plywood Treated Fire-Retardant - III. The Fire-Retardant Degree of Monoammonium Phosphate Treated Plywood)

  • 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21-28
    • /
    • 1986
  • Plywood used for construction as a decorative inner material is inflammable and can fire accident, causing destru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In this study, 3.5mm Kapur plywoods were soaked in the 23% monoammonium phosphate solutions by cold soaking method 3, 6, 9hrs and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and redrying was carried out by press-drying at the platen temperature of 110, 130, 160, 180$^{\circ}C$, and then fire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urning point, flame exhausted length, fr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old soaking method for 3, 6, 9hrs. retentions of monoammonium phosphate were 0.377, 0.448, 0.498kg/(30cm)$^3$ respectively, and in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the retention was 1.331kg(30cm)$^3$ that exceeded the minimum retention 1.124kg/(30cm)$^3$. 2.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variable were shown in table 2. From the table,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were clos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reatment and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flame exhausted time and weight loss, a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eating time and back side carbonized area, bu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ten temperature and burning point. 3. From table 3, it can be observed that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 side carhonized area, weight loss between treatments. And in 2-way interactions, there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for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weight loss between time x treatment. 4. It was observed that burning point, flame exhausted time, flame spread length, back 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in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were the best effects in fire-retardant treated plywood, water treated plywood and nontreated plywood. In conclusion, I can estimate that absorbed chemical contents by hot-cold bath method for 3/3hrs, have a lot of effects on fire-retardant factors such as burning point, flame spread length, flame exhausted time, backside carbonized area and weight loss, but platen temperatures have a little effects on the fire factors.

  • PDF

수도(水稻)의 등숙생리(登熟生理)에 관(關)한 연구 -II 진흥(振興)과 IR667의 경별(莖別) 등숙분석(登熟分析) (Studies on Ripening Physiology of Rice Plant -II Analysis of Ripening Structure at Tiller Level in Jinheung and IR667)

  • 박훈;권항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5-82
    • /
    • 1972
  • 등숙기간(登熟期間)(출수전(出穗前) 10일(日)부터 출수후(出穗後) 30일(日)까지)의 기상요인(氣象要因)의 등숙율(登熟率)에 주는 영향(影響)은 군락단위(群落單位)나 그 군락(群落)의 경단위(莖單位)에서 동일(同一)하다는 가설(假說)을 제기(提起) 검토(檢討)한 결과긍정(結果肯正)되었으며 경별(莖別) 등숙구조(登熟構造)를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등숙적온(登熟適溫)(등숙(登熟)에 지장없는 등숙기간(登熟期間)의 평균기온(平均氣溫))은 진흥(振興)에서 $21^{\circ}C$ IR667-수원 214에서 $22^{\circ}C$였다. 2. 최소등숙일사량(最少登熟日射量)(등숙(登熟)에 충분(充分)한 등숙기간(登熟期間)의 최소평균일사량(最少平均日射量) $cal\;cm^{-2}\;day^{-1}$)은 진흥(振興)에서 240보다 크지 않고 IR677에서 270보다 크다. 3. 진흥(振興)은 주간(主稈)얼자의 제(第)1 분얼경까지 주간(主稈)의 등숙율(登熟率)과 같았으나 IR667은 주간(主稈) 제(第) 4얼자부터 등숙률(登熟率)이 감소(減少)하며 주간(主稈)의 입수(粒數)가 IR667에서 더욱 많으므로 IR667의 수량(收量)은 주간비율(主稈比率)을 높임으로서 이룩될 수 있다. 4. 수원(水原)에서 최종출수한계일(最終出穗限界日)은 진흥(振興)은 8월30일이고 IR667은 8월25일로 나타났다.

  • PDF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양생 조건에 따른 강도 발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Strength Development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Curing Condition)

  • 박종섭;김영진;조정래;전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95-304
    • /
    • 2013
  •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는 최근 국내외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로서 구조물의 장수명화와 경제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품질관리 및 공사기간 단축을 위해서는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방식의 초고성능 콘크리트가 유리하지만, 이 경우에도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간의 이음부 등 부득이 현장타설로 시공되어야 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현장타설 시에는 공장 제작 시와는 달리 최적의 양생 조건을 구현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예상되는 여러 가지의 열악한 양생 조건을 가정하였을 때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 경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양생온도, 양생 전 지연시간, 양생 지속시간, 수분 공급 조건을 변수로 두어 공시체를 제작한 후 표준적인 고온습윤양생으로 제작된 공시체의 강도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현장에서 타설된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요구되는 최소한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PD분석을 통한 여름양송이(Agaricus bitorquis)의 교잡주 선발 (Selection of Agaricus bitorquis hybrid strains based on RAPD analysis)

  • 오연이;장갑열;공원식;신평균;김은선;오민지;최인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3-249
    • /
    • 2015
  • 여름양송이(Agiricus bitorquis)는 Agaricus속에 속하는 버섯으로 일반적으로 양송이가 $16{\pm}2^{\circ}C$에서 발생되는 것과 달리 $25{\pm}1^{\circ}C$에서 자라는 고온성버섯이다. 우리나라에서 여름양송이는 대부분 오랜 기간 동안 재배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배주기가 짧은 양송이 품종을 개발을 위한 교잡균주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균주 중 선발된 여름 양송이균주 ASI 1151와 ASI 1349에서 각각 100개 이상 단포자를 수집하였다. 배지별 단포자 발아시험의 결과에서 보면, CDA배지에서 73개의 단포자들의 발아되었고, 최소기간 20일, 최장기간 83일 후 포자발아가 진행되었다. 발아된 단포자들의 균사생장속도는 각 균주마다 달랐으며, RAPD마커 OPN-2를 가지고 ASI 1151에서 9개, ASI 1349에서 13개 동핵균주를 선발하였다. 또는 이 마커를 이용하여 99개의 교잡 중에 44균주의 친화성 유전자좌를 가진 동핵균주가 서로 교잡한 교잡주를 선발하였다.

대마난류 수형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the Water Type in the Tsushima Current)

  • 조규대;최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31-340
    • /
    • 1988
  • 대마난류 수형의 계절 변화를 19개년 $(1965\~1983)$의 해양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thermosteric anomaly)로서 검토했다. $33.8\%_{\circ}$의 염분값을 지표로 살펴본 바에 의하면, 대한해협을 통해 유입된 하계 표층 저염수는 여름부터 가을동안에 표층의 수형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표면에서 $\delta_T$의 값은 수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지만, 하계에는 일시적으로 염분에 영향을 받는다. 그 값은 최저 수온이 나타나는 겨울에 가장 작고, 봄에 수온의 상승에 따라 차츰 증가하며, 최고 수온 및 최저 염분이 나타나는 여름에 가장 크고, 가을에 수온의 하강에 따라 차츰 감소한다. 그리고 저염수의 유입 때문에 고오도 서방역은 8월에 779 cl/t, 한국 연안역은 9월에 622 cl/t으로 쿠로시오역의 8월의 값 622cl/t 보다 더 크다. 깊이 100m에서 $\delta_T$ 변화는 표면만큼 탁월하지 않으며, 년중 수온 변화에 의존하고, 대마난류역의 북쪽 정점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 PDF

목포항 주변 해역에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의 계절 및 년간변동 (Seasonal and Year-to-year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okpo Harbor Area by the Long-term Monitoring)

  • 박중현;박승윤;이용화;최다미;이상룡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7-102
    • /
    • 2005
  • 목포항 주변 해역의 6개 정점에서 1997년부터 2004년까지 수질의 계절 및 년간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염분, pH,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은 년간 다양하게 나타났다. 염분은 1998년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영양염 농도들은 1998년이 다른 년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온, DO, COD와 DIP의 농도는 계절 변동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계절적인 변화는 영산강하구언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계절적인 특징에 영향을 받았다. 수온, COD와 DIP는 8월에 유의하게 높았으나, 염분과 DO는 8월에 최소로 나타났다. 정점 1(영산강 하구언)의 수질은 영산강의 유입에 따른 낮은 염분과 높은 영양염의 특성을 보였으나, 정점 6(목포항 외해)은 주로의 외해의 특성을 보였다. 목포항 주변 해역에서 수질 인자간의 관계에서 염분은 COD, DO, pH,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미얀마 과수원에서 과실파리 발생에 관한 연구 (Occurrence of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in Fruit Orchards from Myanmar)

  • ;;;;박진영;박종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23-329
    • /
    • 2014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미얀마 예진 지역의 과수원에서 methyl eugenol trap을 이용하여 과수원 해충인 과실파리에 대한 발생빈도와 피해정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망고, 구아바, 대추나무를 대상으로 과실파리의 발생 정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강수량, 온도, 습도, 일조시간 등 발생과 기후적요인과의 상호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귀분석에서 강수, 최저온도 그리고 상대습도는 과실파리의 발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반면에 일조량은 발생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Bactrocera arecae, B. carambolae, B. correcta, B. dorsalis, B. kandiensis, B. latilineola, B. malaysiensis, B. neocognata, B. raiensis, B. verbascifoliae와 Carpomya vesuvina 등, 모두 11종의 과실파리가 조사되었고, 그 중 B. correcta와 B. dorsalis가 29.3%와 28.6%로 많은 개체수를 나타내었다. 구아바가 가장 피해가 심했고($59{\pm}15.4$), 다음은 망고였으며($35.5{\pm}12.1$), 반면에 대추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18.5{\pm}7.9$).

파종기 이동이 들깨 생태변이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Sowing Times with Perilla(Perilla ocimoides L.))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0
    • /
    • 2005
  • 들깨 4품종을 4월 25일부터 30일 간격으로 7월 25일까지 4차에 걸쳐서 파종하여 각 파종기에 따른 생태변이를 조사하였다.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1차분지수 착화방수, 생체중, 건물중, 발아요소일수 및 개화소요일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파종기와 이들 형질간에 높은 부의상관 및 개화소요일수와 소요적산온도 사이에는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온, 장일조건하에 조기파종하면 영양생장이 길어서 개화기까지 약 132일이 소요되고, 그 후 파종은 점차로 단축되어 불과 57일만에 개화를 볼 수 있다. 파종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즉 A형(논산종)과 B형(진천종)은 조기파 종할수록 수량이 많았고, C형(남양종과 울진종)은 5월 25일 파종구가 가장 많았다. 1000립종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들깨는 단일성작물로서 파종기 여하를 막론하고 9월상$\~$중순까지 개화함으로 품종에 따라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고려하여 파종하여야 한다.

나노에멀젼: 화장품을 위한 새로운 제형 (Nanoemulsions: a Novel Vehicle for Cosmetic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1
    • /
    • 2011
  • 본 총설에서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유화방법과 나노에멀젼의 화장품 응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나노에멀젼은 입경이 일반적으로 20 ~ 200 nm의 범위에 있으며 입자 분포도 좁은 영역을 보인다. 많은 논문에서 O/W 또는 W/O 나노에멀젼 제조에 있어서 고압을 이용한 분산 방법을 보고하고 있지만 유화과정 중에 일어나는 상전이에 기초한, 응축 또는 저 에너지 유화 방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상 거동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온도나 구성 성분에 의해 유도되는 전상점에서의 계면활성제 상 구조(이중 연속상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라멜라 액정)에 의해서 지배된다. PIT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나노에멀젼 연구에서 초기 상평형 상태가 단일상인지 다중상인지 관계없이 유화입자의 크기는 마이크로 에멀젼 이중 연속상에 오일이 완전히 가용화됨에 따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은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작 기 때문에 크리밍, 침전 또는 합일 현상보다 오스트왈드 라이퍼닝에 의해 지배된다. 나노에멀젼은 나노에멀젼 입자를 마이크로 리엑터로 활용하고 모노머를 이용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하거나 화장품 등의 유효성분 전달 등에 이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화장품에의 응용에 초점을 맞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