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ennial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8초

밀레니얼세대의 모바일 뉴스소비와 소셜미디어의 영향 (Millennial Generation's Mobile News Consumption and the Impact of Social Media)

  • 설진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3-133
    • /
    • 2018
  • 이 연구는 모바일 뉴스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모바일과 SNS를 통해 어떤 뉴스콘텐츠와 뉴스가치를 선호하며, 뉴스기사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밀레니 세대가 뉴스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SNS 창구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이었으며, 하루에 평균 한 번 이상 SNS를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들은 인구학적 특성별로 뉴스유형 선호와 뉴스기사에 대한 반응정도가 달랐으며, 뉴스주제별로 반응정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밀레니얼들의 뉴스 소비 경로는 SNS가 전국일간지와 지상파TV, 인터넷신문, 종편채널 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뉴스가치로는 '영향성'과 '유용성'이 '속보성'이나 '흥미성'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 분석 (Analysis of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 박지수;이영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1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effective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analysis of luxury fashion brands. This study conducted both quantitative analysis and case studies of the brands Louis Vuitton, Gucci, Burberry, and Chanel. To measure the brand image of the luxury fashion brands,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Millennials, and total of 277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Other than survey, this paper analyze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through brand-related papers, website and social media of each brand, Samsung Designnet's database, and news posted on search eng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brand image of luxury fashion br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rands, except Gucci. Second, this study analyzed each luxury fashion br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arketing, and comm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ird, by analyzing the brand image an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s, it was confirmed that Gucci's brand image and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were consistent,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Burberry's brand image and digital marketing strategy. Therefore, this article proposes the following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for luxury fashion brands. First, is the connection of on/offline channels. Second, is the use of AI technology. Third, is a blockchain-based platform.

Effect of Millennial Orientation on Intention to Leave with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 MEIZAR, Effendi
    • 웰빙융합연구
    • /
    • 제3권2호
    • /
    • pp.1-11
    • /
    • 2020
  • Purpose: We explore to find out and analyze the direct influence of Millennial Orientation on Goals Mediated by work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cannot be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Method: The implementation uses the survey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PT. East Kalimantan fertilizer operated in Bontang, East Kalimantan.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were all employees of PT. East Kalimantan fertilizers operated in Bontang, as many as N = 500 people. The sampling technique used is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Findings: Millennial orientation influences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direct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nd job satisfaction is directly related to intention to leave. Originality: Alignment between millennial goals in encouraging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engagement, so that it can have an impact on the intention to leave employees, especially at PT. Pupuk. Kaltim. Also, direct millennials as decreasing intention to leave.

한국 패션 프로슈머 활동에 나타난 빈티지 가치 (Values of Vintage in Korean Fashion Prosumer's Activities)

  • 이해동;이민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08-824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s of vintage in Korean fashion prosumer's activities and elevates the values as one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 fashion. The methodology included literary and empirical studies as well as prosumer and modern Korean vintage fashion literary studies.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to analyze the values of vintage in fashion prosumer's activities. The values of vintage fashion for Millennials are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public interest, expanded reproducing through sharing daily looks and self-expression through the scarcity of vintage clothing. Prosumer characteristics are self-satisfaction and sharing. Fashion prosumer's vintage trends are new-tro, communication, cultural complex, and sharing of daily life. The formativeness in fashion prosumer's activities are heritage, text, activity and image. The meanings are creation,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sharing. Fashion prosumers are developing the new genre of 'vintage fashion activity'; in addition, values towards vintage fashion activity are also drawing international interest.

Space Tourism: A New Frontier for Future Generations

  • Giachino, Chiara;Pucciarelli, Francesca;Bollani, Luigi;Bonadonna, Alessandro;Koo, Chulmo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1권4호
    • /
    • pp.31-42
    • /
    • 2021
  • Commercial space tourism is being developed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and accelerate. Although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space tourism attracted the interest of academia, literature on potential demand, attitudes and people's motivations for space tourism is scar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vestigates young generations' interest and motivations towards different forms of space tourism. The cluster analysis on 2,207 respondents highlighted an interest in space tourism although motivated by different reasons, levels of budget and sustainability aspects. Interest in space tourism varies according to how far it is perceived as potential, possible or sustainable, or to people's personal feelings. The paper adds to contributions in the tourism field by investigating the opportunities space can offer this industry.

신세대의 특성에 따른 해군 인력 활용의 과제 - 또 다른 신세대, Z세대 관점에서의 고찰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Naval Personne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s: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on Z, a Newly Emerging Generation)

  • 민승운;김성열
    • 해양안보
    • /
    • 제4권1호
    • /
    • pp.57-82
    • /
    • 2022
  • 이 논문은 Z세대의 관점에서 현재 해군 인력 활용 체제의 한계점에 관해 탐구하고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밀레니얼 세대에 이어 Z세대가 등장하고 있고, 군 인력구성에서의 비율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군의 임무 특성상 X세대와 다른 특성을 가진 밀레니얼 세대와 또 다른 특성이 있는 Z세대와의 융합은 필연적으로 고찰해야 하는 과제 중 하나이다. 좁은 함정(艦艇)이라는 공간에는 폭넓은 임무 수행을 위해 수많은 장비를 탑재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동등한 수준의 전투력으로 운영할 많은 수의 승조원이 함께 생활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수한 작전환경에서 승조원 간 세대 갈등은 크나큰 전투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신세대 장병은 이전 세대와 다른 측면에서의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군에 대한 가치관이 서로 다르기에, 그들 간의 진정한 화합을 위해서는 각 세대의 가치관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탐구하고 군 조직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에 따라, 1장과 2장에서 기성세대와 구분되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성장기에 겪었던 환경과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가치관에 대해 알아보고 세대 간 갈등의 해결 필요성을 제기한다. 3장에서는 군사 강국이 MZ세대와의 공존을 위해 시행 중인 방안 분석을 통해 교훈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해군만의 특수한 작전 환경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한국 해군의 인력 활용의 현주소를 수병, 부사관, 장교, 정책적 차원으로 살펴보면서 세대 간 융합의 장애 요소를 식별하고 이에 대응한 개략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세대 간 특성 인식을 통한 진정한 공감의 필요성과 기술 중심군인 해군에게 인력 활용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재고하며 향후 인력 활용 문제 및 세대 간 갈등 문제를 해결한 해군 조직의 기대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 PDF

복지태도의 세대 간 균열 연구: 연령효과와 분리된 코호트 효과와 그 요인의 분석 (A Study of the Generational Cleavage in Welfare Attitudes: Differentiating Cohort Effect from Age Effect and Finding Its Factors)

  • 조남경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245-275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10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20년간 복지태도의 변화를 추적하고, 그러한 변화에 세대효과가 작용하고 있는지, 세대효과를 다시 연령효과와 코호트 효과로 분리하였을 때 복지태도에 대한 코호트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코호트 효과의 배경요인으로서 세대 간 가치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지를 살펴 복지태도의 동학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세계가치관조사의 데이터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지난 20년간 친복지의 태도가 강화되고 있고, 밀레니얼/Y세대는 이전 세대들보다 더 강력한 국가복지의 지지자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세대효과는 연령효과보다는 코호트 효과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코호트 효과의 배경으로서의 세대 간 가치관 차이는 일반적인 가정과는 달리 단절적이고 급격한 차이를 나타내는 세대는 없이, 과거 세대로부터 최근 세대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복지태도에 대한 코호트 효과는 적어도 가까운 미래까지는 국가복지의 강화 방향으로 작용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특이하게도 한국의 복지태도는 10개국 중 가장 높은 소득격차 선호와 가장 높은 정부 복지책임 확대 선호를 나타내는 모순성을 보여, 많은 연구들이 지적해 온 한국 복지태도의 비일관성과 비계급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모순성은 특히 한국의 밀레니얼/Y세대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이는 비교 대상 국가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현상으로, 한편으로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없이 무한 경쟁에 내몰려왔던 우리 청년층이 경쟁과 차별을 내면화한 모습을 드러내었고, 다른 한편 향후에도 우리 복지태도가 복지 확대를 위한 우군으로 작용하기는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존속·비속 살인에 대한 세대별 살인사건 판단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Judgment of Generation Based on Types of Murder)

  • 신호영;이정원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3권2호
    • /
    • pp.147-167
    • /
    • 2022
  • 본 연구는 살인유형에 따라 참가자의 세대별 살인사건 판단 차이가 존재하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존속살해, 비속살해, 보통살인 중 무선할당 된 한 가지 살인사건 시나리오를 읽은 뒤, 사건 판단(가해자에 대한 판단, 문화적 전통 일탈 정도, 피해자 책임 판단)에 대해 응답하였고, 최종적으로 밀레니얼세대 67명, 기성세대 61명으로 총 128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모든 종속변인에서 살인유형의 주효과와 살인유형과 세대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해자에 대한 판단(예: 가해자 비난, 가해자 책임, 범죄의 고의성 등)에서 세대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밀레니얼세대가 기성세대보다 가해자에게 비우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존속살해의 경우, 밀레니얼세대가 기성세대보다 가해자에게 비우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성세대 참가자는 존속살해 가해자보다 보통살인 가해자에게 비우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특별양형인자의 가중요소로 고려되고 있는 '존속인 피해자' 요인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뉴트로 패션의 의미 -개념화와 유형화- (The Meanings of New-tro Fashion -Conceptualization and Typologification-)

  • 최영현;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91-707
    • /
    • 2020
  • This study used big data analysis as informatics that identified keywords related to new-tro fashion; in addition, it conducted differences and type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wo different generations, the Millennials and the older generation, coexist as important keywords in the context of new-tro fashion. Second, according to age, it has been shown that the keywords that appear in new-tro fashion are taken differently. In most regional keywords that differed in the classification, respondents in their 20s, 30s and 40s were classified as emotional, while those in their 50s or older perceived as factual phenomena. The results of eliciting keywords in new-tro fash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keywords that reflect phenomena, design details and considerations, fashion styles, fashion brands, fashion items, social media, influence, and emotional adjectives. This study confirmed the meaning of new-tro fashion based on past that can give enjoyment to the new generation and memories to the older generation.

Does Entrepreneurial Leadership Matter for Micro-Enterprise Development?: Lesson from West Java in Indonesia

  • RUSLIATI, Ellen;MULYANINGRUM, Mulyaningrum;WIBOWO, Agus;NARMADITYA, Bagus Shand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445-450
    • /
    • 202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ole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micro-enterprise development in the district of Majalengka in West Java, Indonesia.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micro-enterprises comprehensively. The data of this research was collected using surveys, interviews, and a group discus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echnological information adapt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micro-enterprise development. Since the group of millennials dominated the leadership, it has provided more creativity by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formation instead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at faced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technology. This study noted that inadequate technology adaptation makes micro-business gradually lose customers, and the business was threatened to close. Meanwhile, the role of leadership drives the business development, sales have risen, the number of products has been increasingly diverse, and business capital and number of employees have grown. The establishment of an entrepreneur group could facilitate peer-to-peer contact, knowledge transfer, training, and intervention to enhance leadership and business development. This finding pointed out that the leadership will successfully influence business development when supported by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anage the business, capture opportunities, confidence, firmness, personal integrity, communication, and social and technical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