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parent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5초

3대 동거형 아파트의 입주후 실태분석 -상계지역의 경우-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 in the Three Generation Sharing Apartment Houses -A Case of Sang-Gye Area-)

  • 신경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9-102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living and housing needs of three generation family in the sharing apartment houses in Sang-Gye area. 1. General family type was one which is living with single parent (female), middle-aged couple and their children togeter. 2. Their main mobility to move in this houses was because of the special design of sharing apartment houses. 3. Most of actual dwelling activities of old parents and middle aged couple were performed in condition of space-integration except a few activities. 4. The "Space-compromise type" was proved as the most ideal type of three generation sharing house in our country. In which, private spaces (such as bed rooms and bath rooms) are planned to be used seperately, public spaces (such as living room and dining room) together. 5. It would be better if massionette type was taken in the case of more than 30 pyung (net area).net area).

  • PDF

중년여성 근로자의 자아탄력성과 감정노동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Labor on Work-family Conflict among Middle-aged Female Workers)

  • 전해옥;권유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87-196
    • /
    • 2017
  • 본 연구의목적은 중년여성 근로자의 자아탄력성과 감정노동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A, B, C시에 소재한 직장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종사자하는 중년여성 148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2일부터 2014년 4월 1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은 25.59(SD=11.99) 점으로, 대상자의 직장-가정 갈등은 거주유형(F=4.32, p=.015), 생활비 지출(r=.18, p=.028), 직업만족도(F=6.3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장-가정 갈등과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음의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8 p=.001), 부모, 자녀와 함께 사는 거주유형(${\beta}=.29$, p=.045), 생활비 지출(${\beta}=.22$, p=.006), 직업만족도(${\beta}=-.20$, p=.015), 자아탄력성(${\beta}=-.28$, p<.001)이 직장-가정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약 1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6.61 p<.001). 그러므로 중년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의 수준을 감소하기 위한 전략으로, 직장-가정 갈등에 영향을 주는 거주유형 및 생활비 지출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중년여성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 환경 내의 심리적인 중재의 적용이 중년여성의 직장-가정 갈등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중년 기혼 남녀의 전통 가족 의례와 제도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본 현대 한국 가족의 변화 (Traditional Family Rites and Family Systems in Contemporary Korean Families From Middle-Aged Koreans' Perspectives)

  • 성미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103-114
    • /
    • 2012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Korean family structures by reflecting o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family rites and family syste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married middle-aged men (9) and women (8) who had at least one chil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arried middle aged men and women internalized Confucianism. They thought that the head of household, who was male as far as possible, wa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a normal family. In addition, both of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recognized married women as outsiders based on Chul-ga-we-in-sa-sang. And they put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ahead of couple relationships and supported Jang-ja-woo-dae-sang-sok (privileging the eldest son over the other children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family resources and inheritance based on Confucianism).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to support the use of Hang-ryul-ja, which is based on expressing the character of generation by sharing the first name, and the importance of Jok-bo. which is based on traditional family genealogical records. Second, even though women internalized Confucianism, they did not attach traditional meanings to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to the extent that men did and defined family members as a procreation family boundaries unlike men, who defined family boundary as original family members and procreation family members. In conclusion, even though family laws and culture have evolved from the patrilineal family system to one which promotes gender equality, married men and women internalize Confucianism. Instead, some transformations are evident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s in terms of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and family boundaries.

부르디외의 계급이론을 이용한 중년 남성 CEO의 외모관리에서 나타나는 구별짓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Male CEO's Appearance Management using Class Theory Bourdieu's)

  • 은광희;문윤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66-775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earance management aspects of middle-aged male CEO's based on Bourdieu's class theor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ale CEOs in their 40s and 50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management in terms of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We found that they acquire educational capital based on their parents' economic capital and form their own cultural capital as adults. They had the characteristics of Petit Brujois, which aimed for a higher clas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ion based on appearance management identified three results came from solidifying one's class position: clothing management, diversifying and upgrading appearance management, and pursuing their own ideal image.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and cultural capital was also observed in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discriminatory appearance management through an in-depth study of middle-aged male CEOs as well 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capital and appearance management by applying Bourdieu's class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referred to a design and marketing direction for the men's clothing marke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male consumers with high purchasing power.

성인기의 생애주기별 사회적지지망 연구 (A Study on Social Support Networks for Each Life-cycle Stage of Adults)

  • 정추자;이선옥;강정희;김정아;김혜령;오경옥;이숙자;전화연;홍성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6-44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ocial support networks for each life-cycle stage of adults. Method: A total of 1,047 subjects included 454 young adults, 262 middle-aged adults and 331 senior adults. Data were collected using Oh's Korean Version Norbeck's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NSSQ),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 For the young adults, parents were the top and second priority as important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third was siblings, and then friends. For the middle-aged, spouse was the first priority as an important social support resource, while the second and the third were children. For the senior adults, children ranked from the top to the seventh priority. The mean number of social support resources was 13.23 for the young adult, 12.93 for the middle-aged and 5.30 for the senior adults. Social support networks of the young adult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That of the middle-aged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family size. In addition, that of the senior adul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religion and family siz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ocial support networks for each life-cycle stage of adults when making a social support intervention program.

세대 간 지원교환의 장기적·단기적 호혜성: 아들과 딸의 비교 (Long-term and Short-term Reciprocity in Parent-Child Relations for Korean Sons and Daughter)

  • 최희진;한경혜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83-102
    • /
    • 2017
  • 본 연구는 생애과정관점에 기초하여 세대 간 지원교환에서 단기적 호혜성과 장기적 호혜성의 원리가 관찰되는지 확인하고, 자녀의 젠더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기적 호혜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녀가 성인기전이과정 동안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은 정도가 중년이 된 자녀가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단기적 호혜성이 발견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중년자녀가 노부모에게 지원을 받고 있는 것과 자녀가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하는 행동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 조사' 2차년도(2012년 수집) 자료 중 자신의 부모 중 적어도 한 명 이상 생존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남성 731명과 여성 8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술분석과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들은 딸에 비해 성인기 전이과정 동안 부모에게 더욱 높은 수준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인기 전이과정 동안 더 많은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경험과 중년이 된 아들이 노부모에게 경제적지원이나 도구적 지원을 제공하는 행동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 호혜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아들과 노부모 사이의 관계에서 단기적 호혜성이 발견되었다. 셋째, 딸이 노부모에게 도구적 지원을 제공함에 있어 단기적 호혜성과 장기적 호혜성의 원리가 모두 발견되었다. 성인기 전이과정 동안 더 많은 경제적 지원을 받은 경험과 현재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받고 있는 것은 중년의 딸이 노부모에게 도구적 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딸이 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행동에 있어서는 단기적 호혜성과 장기적 호혜성의 원리가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딸이 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행동은 아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녀가 보유한 경제적 자원과 노부모의 경제적 필요와 밀접하게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자녀가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함에 있어 장기적 단기적 호혜성의 원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원리가 자녀의 젠더와 지원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맥락에서 자녀의 젠더에 따라 다르게 주어지는 부양책임을 고려하고,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세대 간 지원교환의 호혜성 원리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영역을 고려하여 장기적 호혜성을 바라보고, 세대관계가 놓인 친족관계 맥락으로 시각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의 자기실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심상유도 음악치료(GIM) 적용-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actualization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 Application of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

  • 임재영;신동열;이주영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55-62
    • /
    • 2021
  • 한 부모 가족은 2000년 이후로 증가하였는데 50대의 이혼율의 급증과 40대와 50대 남성의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은 생의 발달 과정이라는 시기와 맞물려 자기실현의 의식화 과정이 드러나는 시기에 속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 부모 중년여성가장의 GIM을 통한 자기실현의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20년 6월까지 4명의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10~11회기의 GIM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이 GIM을 통해 경험한 심상을 신체, 감정, 기억사고, 감각의 4개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하고, 8개의 의미단위 요소를 46개로 범주화하였으며, 152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둘째, GIM을 통해 경험된 자기실현 과정은 참여자들에게 그림자와 페르소나, 자기라는 원형상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GIM 안에서 현재 가족관계의 부정적인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고 수동적인 자신의 심상 안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경험을 통하여 그림자의 의식화 과정을 거쳤으며, 긍정적이고 밝았던 자신의 내적인 모습을 재확인하였다. 이들은 부모나 형제들에게 억압되고 소외된 자신의 삶이 착한 딸과 종교인이라는 페르소나에 억눌린 상태와, 분노하는 자신과 타인을 향한 이중적인 사고와 감정을 지니게 된 현재 상태를 연관 지어 경험하며 페르소나의 자각과 재정립을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심상의 경험과 음악을 접하며 부정적 사건의 재경험을 이끌어 냄으로써 고유한 자기로 새롭게 탄생하는 본질적인 자기다움의 자기실현과정을 이루는데 의의가 있다

중년과 청년이 함께하는 독서모임의 그림책 치료, 독서습관 형성 및 세대교류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icture Book Bibliotherapy, Reading Habit Formation, and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a Book Club Between Middle-Aged and Young People)

  • 김지영;윤수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1-240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과 청년이 함께하는 독서모임의 후속 연구로 중년과 청년이 함께하는 세대교류 독서모임을 다루었다. 독서모임의 프로그램은 독서습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림책 독서를 통한 심리적 치료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연구자는 중년 참여자와 청년 참여자가 참여하는 그림책 독서모임을 운영하고, 개별인터뷰를 한 다음,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질적연구를 하였다. 세대가 교류하는 독서모임은 중년 참여자에게는 청년과 자녀를 이해하고 청년으로부터 배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청년 참여자에게는 중년과 부모를 이해하고 중년으로부터 배우면서 세대 차이가 아니라 동질감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읽으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배우면서 그림책 치료의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독서습관 형성에도 도움을 받았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세대가 교류하는 독서모임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른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세대교류 형태의 독서모임이 더욱 활성화되고, 많은 사람이 그림책을 비롯한 책을 읽는 활동의 장점을 발견하고 독서를 습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Sociodemographic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Caregivers

  • Lim, Ahn-Na;Park, Young-S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3호
    • /
    • pp.140-145
    • /
    • 2018
  • This study is based on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s 2013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5 Data for Parents and Children Care over 50 years ol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226 people in society.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men, and when the age was lower, when they had spouses, and when they had independent economic power. As for the grandchildren caring provider,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across all areas, the grandchildren care provider showed greater satisfaction with life than the parents care provid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burden of the parents' carers is as great as that.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care program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family carers. Second, Direct economic support is needed, with the primary focus being on family carers. Third, services targeting parents care providers are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form a network that can share the difficulties of parental care.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n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ccording to Their Parents Perception)

  • 이지훈;박옥임;김진희;박준섭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n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ccording to their parents perception and to submit basic material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parental capability for enhancing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below. All of the subjects who recognized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al efficacy according to their parents perception showed middle score over 3. The parents who recognized family strength and parental efficacy were examined a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These showed that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s better when parents recognized that family strength is higher, and when parents recognized that parental efficacy is higher. But when parents recognized social support, no meaningful influence appeared, so if the parents who are first social supporters of school-aged childre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which has a high adaptability with high social support,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and home, it could be the factor to reduce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at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