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lab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강합성형 교량의 합리적인 타설방법과 순서에 관한 연구 (The Reasonable Concrete-Placing Methods and Sequences of Composite Steel Bridge)

  • 조병완;서석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205-212
    • /
    • 1999
  • Recently, unexpected cracks in the concrete deck slab of composite steel bridges have been widely reported at an early age of concrete placing due to the concrete placing sequence and methods. Accordingly, the analyt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negative moment at an internal supports due to the several concrete pouring sequence and to determine the reasonable concrete placing method on the deck slab of composite steel bridg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ventional concrete-placing method, which pours concrete first on the positive moment regions and then negative regions, leads to the minimum moment at an internal supports.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produces two impractical construction joints on every spans and makes field engineer to pour concrete continuously. In conclusion, this concrete-placing method was verified to be reasonable only when the construction joint was placed at the $\frac{5}{8}l{\sim}\frac{6}{8}l$ location of the middle span.

  • PDF

근관내(根管內) 근관충전제(根管充塡劑)의 유입성(流入性)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 OF CANAL SEALER BY MEANS OF LENTULO)

  • 이명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권1호
    • /
    • pp.34-38
    • /
    • 1975
  • Artificial canals were prepared by means of engine reamer on the slab which was made of clear acrylic resin. The shape of this canal is similar to the natural canal, the size is almost same as Kerr File No. 70, and the length is about 20mm. Sealer, Zine oxide eugenol mixture was prepared as matched to spatula test. Lentulo filler was inserted as deep as middle portion and apical one-third portion of the canal and the dental engine was driven in the speed of 1,000 and 3,000 r.p.m. in 30 seconds and 60 seconds with feeding of the sealer. The author measured the excess flow of the canal sealer from Lentulo end.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1. Lentulo insertion at the middle portion 1,000 r.p.m. in 30 seconds case: 0.21mm Same as above in 60 seconds: 0.20mm 2. Lentulo insertion at apical-thirds. 1,000 r.p.m. in 30 seconds: 0.22mm. Same as above in 60 seconds: 0.20mm. 3. Lentulo insertion at middle portion. 3,000 r.p.m. in 30 seconds: 0.14mm Same as above in 60 seconds: 0.25mm. 4. Lentulo insertion at apical-thirds, 3,000 r.p.m. in 30 seconds: 0.11mm Same as above in 60 seconds: 0.27mm.

  • PDF

신축공동주택의 상하층간 소음 및 진동전달 특성과 층간소음 차단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loor Sound and Vibration Transfer and the Blocking Function of Floor Sound for Newly Built Apartment House)

  • 함진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97-104
    • /
    • 2013
  • This study involves 2 newly built apartment houses which are A with 23 floors as 150 mm slab width and B with 16 floors as 180 mm slab width. The impact was added by tapping and bang machine at the middle floor level of these 2 apartments and the test was arrang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of vibration and sound level which transferred to upper or down floors. As a result, impact floor shows the highest value in terms of both sound and vibration level and followed was at down floor of the Impact floor. Also, blocking function for the lightweight and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level was tested for each room of the apartment A and B including living room, main room, room 1 and 2. As a result, sound blocking function of B apartment was better than that of A and the function was getting worse when the room size is getting smaller.

이방성 연속 곡평면 슬래브 시스템의 수치해석과 최적화 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Numerical Analysis and Optimization AIgorithms for Orthotropic Continuous Curved Floor Slab Systems)

  • 박문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15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열 두가지의 가능한 지지조건을 갖는 연속 곡평면 2방향 슬래브 시스템에 대하여 실용적이고 간편한 수치해석과 최적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얇은 곡평판의 탄성이론에 의하여 유도된 설계모멘트 계수를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하는 수치해석 방법을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였다. 최적화의 결과는 한계상태 설계법에 의해서 정의된 feasible 영역내에서 결정되도록 유도하였으며 슬래브의 주재료 경비함수를 변형시켜 유도한 목적함수는 한계상태 설계의 규정에 따라 역학적 거동의 문제와 사용성 제약조건을 모두 만족하연서 최적화에 이르도록 하였다. 형성된 최적화 문제는 고차의 비선형 문제로 유도 되었으며 이 비선형 최적화 문제를 연속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해석하므서 슬래브의 유효깊이와 중간대 및 주열대의 단위폭당 변형시킨 철근비들의 최적 설계변수들을 구하였다.

  • PDF

연약지반의 기초지반강성을 고려한 벽식구조 아파트의 지진응답 (Seismic Responses of Wall-Slab Apartment Building Structures Built on the Soft Soil Layer Considering the Stiffnesses of a Foundation-Soil System)

  • 김지원;김용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9-27
    • /
    • 2001
  • 구조물의 지진해석시 구조물-지반 상호작용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으며, 기초지반강성에 따른 구조물의 지진응답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현재 벽식구조 아파트의 지진해석시 기조지반의 특성을 무시하고 기초가 매우 단단한 것으로 가정하여 지진해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형식이 독특한 의식구조 아파트 지진해석을 연약지반을 고려하여 수행하고, 지진응답을 암반과 UBC-97 지반조건의 연약지반을 고려한 지진응답과 비교분석하였다. 깊은 연약지반 위에 세워진 중, 저층 벽식구조 아파트의 내진거동은 기조의 절연효과로 지진응답이 크게 감소된 강체거동을 보여 UBC-97 설계응답스펙 트럼으로 내진설계를 하는 것은 보수적인 설계로 안전은 하지만 상당히 비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긴장에 의한 거동 해석 (Behavior of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s under Post-Tensioning)

  • 김성민;조병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35-143
    • /
    • 2007
  • 공장에서 제작한 콘크리트 슬래브를 나열한 후 프리스트레싱 기법을 도입하여 일체화시켜 건설하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강선 긴장에 의한 압축력 재하 시 포장체의 거동을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정착구의 개수가 긴장 시 포장체의 압축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적절한 정착구의 개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하부층의 수평저항, 포장체의 길이, 슬래브의 두께, 정착단의 전단면적 등의 변수가 포장체의 압축응력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하부층의 수평저항은 압축응력의 손실을 가져오며 이러한 손실은 포장체의 중앙부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또한 포장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하부층 수평저항에 의한 압축응력의 감소가 커지게 된다. 슬래브의 두께는 얇아질수록 하부층 수평저항에 의한 압축응력의 손실이 커지게 된다 하지만 압축력을 가하는 면적인 정착단의 전단면적은 압축응력의 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 PDF

시공하중 및 균열 효과를 고려한 플랫 플레이트의 처짐 산정 (Calculations of Flat Plate Deflections Considering Effects of Construction Loads and Cracking)

  • 김재요;임주혁;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797-804
    • /
    • 2009
  • 테두리 보에 의한 휨강성이 확보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플랫 플레이트의 구조설계는 강도 조건 뿐만 아니라 사용성에 의하여 지배받을 수 있다. 특히, 조기 재령 슬래브의 과하중 작용 및 균열 발생은 시공 중인 플랫 플레이트의 처짐을 크게 증가시키므로, 시공 순서 및 슬래브 처짐에 대한 영향은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 설계의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공 순서 및 콘크리트 균열 효과를 고려한 슬래브 처짐 산정 과정을 제안한다. 시공단계 및 시공하중이 간편법에 의하여 정의되고, 각 시공단계별로 슬래브 모멘트 및 탄성 처짐, 유효단면2차모멘트가 계산된다. 주열대와 중간대에서의 탄성 처짐은 유효단면2차모멘트 효과에 의해 비탄성 처짐으로 증폭되며, 슬래브 중앙부 처짐은 교차보법에 의하여 산정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 실험 결과 및 비선형 해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된다. 또한, 제안법의 적용을 통하여, 시공 중인 플랫 플레이트의 처짐에 대한 시공주기 및 동바리 지지 층 수의 영향이 분석된다.

모서리부 차량 다축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도로 포장의 응력 분포 특성 (Stress Distribution of Concrete Pavements under Multi-Axle Vehicle Loads Applied at Pavement Edges)

  • 김성민;조병휘;이상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3-24
    • /
    • 2006
  • 콘크리트 포장은 모서리(Edge) 부분에 차량 하중이 작용할 때 큰 응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응력은 포장의 거동 및 장기 공용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크리트 포장의 유한요소 모델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포장의 모서리 부분에 복륜 단축, 복륜 복축, 복륜 삼축 등 복륜 다축 하중의 한쪽 차륜이 접하여 작용할 때 포장의 응력 분포와 최대 응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종방향과 횡방향을 따라 응력의 분포 형태를 분석하였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 콘크리트 탄성계수, 지반 탄성계수 등이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하중 접지면적과 연관된 하중 접지압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응력 분포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콘크리트 포장에서 최대 응력이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모서리부 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의 최대 응력은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증가할수록, 슬래브의 두께가 감소할수록, 그리고 지반 탄성계수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하중 접지압의 변화에 따른 최대 응력은 콘크리트 탄성계수와 지반 탄성계수의 크기에 따라서는 거의 일정한 변화를 보였으나 슬래브 두께는 얇아질수록 접지압에 따른 최대 응력의 변화가 뚜렷이 보였다. 최대 응력이 생기는 횡방향의 위치는 콘크리트 탄성계수와 지반 탄성계수에는 무관하게 일정하다. 하지만 슬래브의 두께는 두꺼워질수록 최대 응력의 횡방향 상 위치가 모서리에서 내부로 이동한다. 종방향의 최대 응력이 생기는 위치는 단축과 복축 하중일 경우는 축의 위치이며, 삼축 하중일 경우에는 콘크리트 탄성계수나 슬래브 두께가 증가하던지 또는 지반 탄성계수가 감소하면 최대 응력이 생기는 종방향 상 위치가 양쪽 바깥축에서 중간축의 위치로 바뀌게 된다.

  • PDF

약현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재료학적 특성과 물성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y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Stained Glass in the Yakhyeon Catholic Church, Korea)

  • 조지현;이찬희;강명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5-436
    • /
    • 2016
  • 약현성당(사적 제252호)은 1892년에 건립된 현존하는 최초의 서양식 벽돌조 건축물로 한국 근대건축사에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성당의 제대 후벽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는 1974년 처음으로 도입된 이남규의 슬랩글라스(달드베르)로서 1998년 화재로 그을림 및 누수현상이 나타나자 다음해 보수된 바 있다. 색유리의 발색원소 분석 결과, 황색, 적색 및 연두색은 아연(Zn), 칼륨(K), 카드뮴(Cd)으로 확인되었고 셀레늄(Se)이 적색 착색제로 사용되었다. 또한 진녹색 계열의 발색성분은 망간(Mn)과 크롬(Cr), 청색계열은 납(Pb)과 황(S)이 검출되었다. 사이 줄눈의 재료학적 분석결과, 돌로마이트($CaMg(CO_3)_2$)와 방해석($CaCO_3$)으로 동정되었고 판상, 능면상, 주상, 방형 등의 결정질 입자가 확인되었다. 한편 초음파 속도는 스테인드글라스에서 평균 4,130 m/s를 보이며 중앙창 십자가와 우창 하단부에서 저속도대가 나타났으며, 줄눈은 평균 2,053 m/s의 속도범위에서 좌창 상부와 중앙창 가운데에서 가장 낮은 물성을 보였다. 약현성당의 색유리와 사이 줄눈은 육안관찰시 우창에서 집중적인 표면풍화가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물성진단을 통해 좌창 및 중앙창을 중심으로 상당한 물리적 손상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유리의 조성과 물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꾸준히 보존관리가 필요하다.

국내 최초 소형차 전용 도심지 대심도 복층터널 설계 사례 (A Case Study for the 1st Double-level Tunnel for Light vehicle in Urban Area in Korea)

  • 김경훈;최준동;전덕찬;신일재;심동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302-1313
    • /
    • 2010
  • The west express way is notorious for extremely heavy traffic area in the west of Seoul, South Korea. Hence, the city government recently initiated a new underground BTO (Build-Transfer-Operate) road project to solve traffic congestion and a high construction cost. The proposed underground express road being designed is the first double-level tunnel ever designed in South Korea and using Conventional tunnelling method (NATM). A total length of tunnel for light vehicles is 10.91km long including both open cut structures and concrete lining with middle-deck in bored tunnel. There are also 4 ventilation shafts for ventilation and evacuation on emergency. Many design issues had been aroused during the preliminary design phase and detail design phase is currently going on. This paper discusses design focuses including excavation methods, ground water issues, a deck slab installation, and a construction cost etc. for the double level road tunnel design of urba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