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 aged women

검색결과 1,293건 처리시간 0.024초

피부관리실 서비스 품질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고객의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Mediating Effect of the Custom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Service of a Skin Care Shop and the Intent to Revisit)

  • 김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75-486
    • /
    • 2022
  • 본 연구는 피부관리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개선 방안과 피부관리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피부관리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치에 대한 세부적인 만족도를 높여 고객 만족을 이끌어내 원활한 운영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관리실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에서 피부관리실을 방문하여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여성 3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관리실 서비스 품질 중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은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관리실 서비스 품질 중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은 피부관리실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관리실에 대한 지각된 가치 중 경제적 가치, 감정적 가치 모두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가치는 피부관리실 서비스 품질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서비스 품질 유형별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중고령층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위험과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ubjective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 전누리;김민수;양정민;김재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1-155
    • /
    • 2024
  • 연구배경: 최근 국내 중고령층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는 증가되는 추세이며, 그 중 가장 임상적으로 흔히 나타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전반적인 건강 및 웰빙과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중고령층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위험과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II) 전체 응답자 22,559명 중 40세 이상 성인을 추출하여, 결측치가 없는 총 6,659명의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다.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 위험 여부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 비위험군에 비해 위험군인 경우 주관적 건강이 저하될 오즈비는 1.84배(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은 0.02점(β, -0.02; 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변수에 대해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수면시간, 우울증 여부,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라 폐쇄성 수면무호흡 위험과 주관적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위험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더 높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낮았다.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이거나 6시간 이하인 경우 6-8시간인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더 높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낮았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높았다. 가구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가구원 수가 감소할수록 주관적 건강이 낮을 연관성이 높아지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낮아졌다. 결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위험이 단순히 수면장애로만 직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건강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지원 및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여성, 낮은 가구소득, 1인 가구원, 우울증이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예방 및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주관적 건강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 Jung, Jin-Ah;Cheon, Hye-Won;Moon, Sang-Eun;Hong, Sun-Hwa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0-98
    • /
    • 2022
  • Background: Integrated management of general, mental, and oral health is necessary to improv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ental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metabolic syndrome. Methods: A total of 4,227 Korea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using raw data from the first year (2019) of the 8th period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complex sample chi-square test and a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PASW Statistics ver. 18.0 program. Results: Th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in 1.833 times in male, 2.914 times in 30~49 years old, and 3.855 times in 50~64 years old, and 3.929 times in people over 65 years old compared to 20~29 years old, and compared to those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those with a middle school degree or lower are 2.116 times, those with lower income levels are 1.507 times higher, those with middle-lower are 1.359 times higher, those with middle-high are 1.401 times. Compared to non-smokers, smokers were 1.570 times higher than non-smokers and compared to those without speech problem and chewing difficulty, they were 1.717 times and 1.397 times higher, respectively and 1.973 times higher in those with 0~1 brushing times per day. Mental health did not affect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to lower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ffective dental hygiene customized education and an efficient health managemen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at can induce improvement of oral health behavior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40대 기혼남녀의 성생활의 질(SQOL)에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exual Quality of Life in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40s)

  • 양은영;장영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219-7226
    • /
    • 2015
  • 본 연구는 40대 기혼남녀의 성생활의 질(SQOL)을 8개의 인구학적 변인, 8개의 성과 관련된 변인, 6개의 부부 관계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조사함으로서 중년 기혼남녀들의 성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2015년 1월 19일부터 2015년 3월 5일에 걸쳐 서울의 강남 2곳과 강북 2곳의 건강검진센터 방문 대상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0세~49세까지의 기혼 남녀 18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학적 변인 중에는 학력(p<.05), 건강상태(p<.001), 결혼기간(p<.01), 월평균 수입(p<.01) 변인이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성 관련 변인 중에서는 성지식 정도(p<.01), 포르노 접촉(p<.001), 분만시 남편의 참여 여부(p<.001) 등의 변인이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관계적 변인 즉 배우자와의 갈등 유무(p<.05), 성생활의 빈도(p<.001), 배우자와의 애정강도(p<.001), 가족전체와의 화목도(p<.001), 부부간의 일반적 의사소통(p<.001) 및 성적 의사소통 정도(p<.001)에서는 6개의 변인 모두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함을 보여 주어 결론적으로 성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또는 성관련 변인보다 부부 관계적 변인이 더 중요함을 보여 주었다.

로얄 아카데미 발레댄스 프로그램 수행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llet Program Training of Royal Academy of Dance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 김종원;이미란;이경희;김현준;최문기;김도연;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93-1103
    • /
    • 2009
  • 본 연구는 운동을 하지 않은 20대 초반 여대생을 대상으로 발레운동이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RAD 발레 프로그램을 12주간 수행한 결과 신체조성에서는 TBF, LBM, %fat가, 체력에서는 AMS, sit-ups, SLJ, 1,200 m R &, W가, 골밀도에서는 GT, WT가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고, 신체부위별 골밀도 분포현황에서 골감소증이 실험군에서 변화가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GT와 WT에서 3명의 증가를 보였다.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체중, TBF, LBM, %fat, BMI, AMS가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부위별 골밀도의 상관 관계에서는 요추 골밀도, 대퇴경부, 전체 골밀도에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RAD 발레프로그램이 신체조성, 체력 및 골밀도에 대한 예방 및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골밀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나이, 체질량지수, 흡연, 운동, 영양소섭취량 이외에도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전적 소인이 있으므로 이러한 소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점차 젊은층으로 확대되는 골감소증 현상에 주목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골반저근육 운동 프로그램이 긴장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정도, 요실금량 및 최대 질수축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 김소영;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67-27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lead more comfortable life, by letting them to do pelvic muscle exercise and to learn by direct experience the effect that urinary incontinence is controlled.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16 middle-aged women(over 38)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October 11, 1999. Women trained themselves for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every the other day for each exercise for six weeks at home(that means each exercise for more than three days a week) in the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Dougherty et al., and filled out exercise participation card every week. They visited laboratory once a week to get visual feedback, by means of Perineometer, of how the pelvic muscle exercise was going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cale that Lee, Young-Sook revised and supplemented Hendrickson's original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the frequency and situation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30 minute pad test" was carried ou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Perineometer was used for measuring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means of SPSS/PC+ WIN 9.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hypothesis 1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weekly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1-1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weekly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p=.003). The hypothesis 1-2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situation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p=.044). The hypothesis 2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p=.001). The hypothesis 3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would increas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p=.012).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has an effect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So it is judged that training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or pelvic muscle exercis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order to care urinary incontinence.

  • PDF

농촌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와 관련요인 (Middle-aged Women's Health Behavior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Area)

  • 김귀진;박재용;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81-103
    • /
    • 2001
  •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경상북도 예천군의 4개 보건진료소 담당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64세 사이 여성 468명을 대상으로 2000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의 본인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17.5%가 높다고 하였고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관심도가 높았다. 그리고 핵가족이 대가족보다, 개방적 가족분위기에서 본인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본인건강에 대한 가족의 관심도는 15.4%가 높다고 하였는데,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개방적 가족분위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자기효능점수는 최대 평점 68점 중, 대상자들의 평균점수는 49.90점이었고 종교, 학력, 배우자 동거유무, 경제상태, 본인의 건강관심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형태, 가족분위기, 자신건강에 대한 가족들의 관심도도 자기효능의 유의한 영향변수였다. 가족기능점수는 최대 평점 10점에 평균 5.51점으로 연령, 학력, 직업, 경제상태, 본인의 건강관심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분위기 및 자신건강에 대한 가족의 관심도에 따라 가족기능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 실천율은 비흡연율 89.5%, 비음주율 63.0%, 운동실천율 6.6%, 정상수면율 75.6%, 아침식사율 91.7%, 비간식율 18.2%, 표준BMI 69.2%였다. 건강행위빈도는 Breslow Index가 0-3점이 4.5%, 4-5점이 53.2%, 6-7점이 42.3%였고, 건강행위 점수는 최대 평점 7점에 평균 5.20이었는데, 배우자동거유무, 경제상태, 만성질환유무, 그리고 가족분위기가 유의한 변수였다. 건강행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행위는 배우자동거유무, 경제상태, 가족분위기가 유의한 영향변수였으며, 배우자가 없는 경우,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가족분위기가 개방적일수록 건강행위를 잘 하고 있었다. 자기효능이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낮을수록 건강행위를 잘 했으나 유의한 변수는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건강행위측정도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이므로 앞으로는 우리나라 사람에게 알맞은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반복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촌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보건사업에 있어,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률적으로 같은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 아니라 먼저 개개인건강행위를 파악하고 배우자동거유무, 경제상태 및 가족분위기 등을 파악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동미세다륜침을 이용한 EGF 공급이 노화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utomatic Micro-needle Therapy System supply EGF to impact the aging skin)

  • 이미나;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303-2309
    • /
    • 2014
  • 본 연구는 자동미세다륜침 적용한 한 뒤 EGF를 50대여성의 노화피부에 공급하여 수분과 탄력의 증가, 색소와 눈가주름의 감소에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50대여성 35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7일부터 2013년 12월 15일까지 총 70일간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자동미세다륜침의 사용만으로 수분(<.01), 탄력(<.001)이 좋아졌으며, 색소(<.01)와 주름(<.001)이 감소하였다. 또한 활성성분인 EGF를 적용하였을 때 자동미세다륜침만 사용하였을 때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재생을 촉진하는 EGF 등의 활성성분을 함께 사용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노인과 주부양자의 성별 관계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피로 및 생활만족도 비교 (Comparison in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Caregiver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Demented Elders)

  • 이영휘;조인숙;김화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6-20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respect to care burden, fatigue, and life contentment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a community-based dementia care center providing daycare services. One hundred ninety four caregiver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care burden, fatigue, and general contentment scales. Caregiver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gender relationship with care recipients. Results: The majority of the caregivers were middle-aged and elderly. More than twice as many were female rather than male caregiver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caregivers expressed more fatigue than men overall (p < .05). In the gender relationships, a different combination of man-woman appeared to have more burdens than that of a woman-woman group (p < .05). For fatigue, the man caregiver-woman elderly group showed a higher fatigue score than a woman-man group (p < .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contentment among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s gender and gender relationship with elders could be considerable factors when the nurses make a plan in the community for dementia nursing management services.

  • PDF

우리나라 폐경전 여성에서 칼슘, 단백질, 인의 섭취상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alcium, Protein, and Phosphorus Intak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 오재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호
    • /
    • pp.59-69
    • /
    • 1996
  • Effects of dietary calcium(Ca), protein, and phosphorus(P)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investigated in 129 Korean premenopausal women(age 31-54 years) without diagnosed disease. BMD was measured at the spine(vertebrae L2-4) and femur(neck, Ward's triangle and trochanter).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protein, Ca, and P intake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on BMD at the vertebrae L2-4, protein and P intake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on BMD at the femoral neck and Ward's triangle, and body mass index(BMI) affected most significantly on BMD at the trochanteric region. When ate-matched BMD % at the vertebrae L2-4 and all femoral sites was grouped by three levels(<90%, 90-99%, >=100%), only at the vertebrae L2-4>=100% and 90-99% groups had higher Ca intakes than <90% groups. When Ca, protein and P intakes of the recommended level for Korean(RDA) were grouped by three levels (Ca or P ; <=650mg/d, 650-750mg/d, >=750mg/d, Protein ; <=55g/d, 55-60g/d, >=65g/d), only at the vertebrae L2-4>55g/d of protein intake had higher age-matched BMD % than <=55g/d intake, >=750mg/d of Ca and P intakes, age-matched BMD % than <=650mg/d. In RDA range of Ca, protein, and P intakes, age-matched BMD % of the vertebrae L2-4 and all femoral sites was greater than 90%. Correlation between Ca intake and vertebral BMD was examined closer. There was more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between vertebral BMD and Ca intake below 800mg/d(r=0.346, p<0.0001)than above(r=0.376, p<0.019), implying a threshold effect and vertebral BMD was better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logarithm of calcium intake(r=0.3881, p<0.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 protein, and P intakes greater than RDA help to maintain proper BMD in middle-aged prementopausal women. Especially dietary Ca have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vertebral BMD and 800mg/d of Ca intake is optimum amou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