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인삼으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Effective Constituents from Ginseng)

  • 이동원;박영신;김덕찬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427-433
    • /
    • 2005
  •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인삼으로부터 가용성 성분을 추출할 때의 용매(에탄올-물) 사용량, 고체 입자크기, 마이크로파 전력의 영향과 용매-인삼 혼합물의 마이크로파 가열 특성 및 팽윤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용매와 인삼의 비는 6 : 1(vol. of solvent to mass of ginseng)이 적당하였고 인삼 입자는 작을수록 추출률이 높았으나 슬러리를 여과하여 여분의 용매를 분리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마이크로파 전력은 세기가 클수록 추출 속도는 빨라지나 추출률은 투입되는 전체 에너지양에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파와 물중탕으로 가열한 인삼의 수분 흡수량으로부터 구한 질량기준 팽윤도는 마이크로파로 가열하였을 때 더 빠르게 일어났으며 이러한 결과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추출이 종래의 추출방법에 비하여 추출률이 높고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요인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진생베리의 활성 성분 최적 추출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f Optimized Simultaneous Extraction Conditions for Active Component of Ginseng Berr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고희경;박준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5-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진생베리로부터 활성 성분인 ginsenoside Re와 Rb1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인하였다. 70% 에탄올과 증류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교반, 초음파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insenoside Re와 Rb1 의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친환경적 제조 방법 여부를 고려한 결과 증류수 용매의 마이크로파 추출법이 가장 적합한 추출방법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파 추출법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파 출력량(50 ~ 200 W, X1), 용매와 진생베리의 비율(5 ~ 20 times, X2), 추출시간(30 ~ 120 s, X3)을 독립변수로 최적화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0.9보다 높으며 p-value값은 0.05보다 작아 모델의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Ginsenoside와 총 폴리페놀 함량을 위한 최적 추출조건은 마이크로파 출력량(200 W), 진생베리와 추출 용매 비율(20 times), 추출시간(90 s)로 확인되었다. 최적 추출조건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6.23 mg GAE/g, ginsenoside Re 17.69 mg/g, Rb1 16.01 mg/g으로 예측되었고, 실제 실측검증에서 각각 6.33 mg GAE/g, 17.79 mg/g, 15.59 mg/g으로 예측된 값에 대하여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옥수수 대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생산 증대를 위한 마이크로파 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Bioactive Material from Corn Stover)

  • 민보라;한여정;이도경;조재민;정현진;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66-72
    • /
    • 2018
  • 옥수수 대는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이외에 높은 함량의 리그닌을 포함하고 있어 리그닌 분해를 통해 폴리페놀 생산이 가능하여 천연 항산화물 생산이 가능한 후보이다. 옥수수 대로부터 마이크로파 전처리를 이용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추출 증대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이용하여 공정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마이크로파 출력과 추출 시간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조건 최적화에 있어 698.6 W, 240 sec, 0 mol 조건에서 최대 TPC 82.4 mg GAE/g DM과 플라보노이드 18.1 mg QE/g DM이 예측되었다. 기존 추출법인 속실렛과 마이크로파 추출을 비교하였을 때, 마이크로파 추출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생산에 있어 13.5와 8.0배가 각각 높고 짧은 추출 시간과 낮은 에너지 소비로 기존 추출 대비 효과적인 공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옥수수 대로부터 유용물질 생산 가능성과 마이크로파 추출법이 상업화 공정 적용이 가능한 효과적인 추출법임을 확인하고 옥수수 대를 이용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생산을 통해 바이오당 생산과 더불어 부산물 크레딧을 확보하여 바이오 에탄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추출공정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한 안젤리카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 from Angelica Using Microwave Energy)

  • 이승범;김훈기;전길송;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280-2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안젤리카로부터 기능성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기존의 용매추출법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을 이용하여 각 변수에 따른 추출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젤리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의 항산화능 및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 총폴리페놀성분 함량 등을 측정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용매추출법의 최적조건인 추출시간(2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0 vol%), 추출온도($60^{\circ}C$)에서 20.6 wt%의 유효성분이 추출되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법의 최적조건인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6 min), 마이크로웨이브 세기(600 W),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0 vol%)의 조건에서 유효성분이 22.8 wt% 추출되어 기존의 용매추출법에 비해 빠른 시간에 추출이 완료됨을 알 수 있었다. 안젤리카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의 추출량 유효성분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scavening activity로 31.46%이었고, 플라보노이드성분 함량은 14.20 mg QE/mg dw,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11.70 mg GAE/g으로 나타났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영지버섯 추출액의 품질특성 변화 (Comparison of Pretreatment Methods for Extraction of Selected Components from Ganoderma lucidum)

  • 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0-134
    • /
    • 2005
  •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으로부터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의 열수추출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전처리 및 방법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영지를 분쇄하여 사별하고 초음파와 마이크로파 처리를 10분 동안 실시한 후 물을 용매로 상압 및 가압추출을 각각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추출전 전처리를 행함으로서 총당, 단백질함량 및 페놀성물질의 추출수율을 증가시켰고, 유리기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마이크로파 전처리가 초음파처리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압추출보다 가압추출에 의해 가용성 고형물, 총당, 단백질 및 페놀성 물질의 추출수율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초음파나 마이크로파 전처리와 가압추출은 영지버섯의 추출효율 향상에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음파와 극초단파를 이용한 송이버섯의 추출법과 다당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raction Method and Polysaccharide of Tricholoma matsutake using the Supersonic wave and Microwave)

  • 유승현;정명수;김혜자;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431-1436
    • /
    • 2007
  • In order to optimize the extract condition and improv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xtract form Tricholoma matsutake, experiments related to extraction methods, totale yield, content of total soluble polysaccharide,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 amount, and volatile flavor compound and the others were carried out,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ing: Compare with traditional hydrothermal extraction method (Hot water extraction : HWEW), it illustrates that the low 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which combines a supersonic waves and microwave (Supersonic microwave extraction : SMEW) causes of increasing the total yield, total soluble polysaccharide. As to the anti-oxident effect, SMEW method leds to increasing of the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 amount as well. Also, cytotoxic effect and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cancer cell line are much higher in SMEW method than HWEW method, especially SMEW5 extracts treated by supersonic 15 min. and microwave 120W, 3 min. and 2 times.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und and infinitesimal volatile flavor compound both increase significantly by SMEW method. It is concluded the main component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extracted from Tricholoma matsutake are 1-octen-3-0l, Methyl cinnamate, 2-octeno1 et al. alcohol typies. Consequently, SMEW5 method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ective one for anti-oxidant and is prior to any other methods. And the optimun conditions of this method are : supersonic waves (supersonic, 25KHz, 50W) 15 minutes, microwave spectroscopy (microwave, 2,450MHz, 120W) 3 minutes, and every treatment is performed once followed twice repeats.

Agaricus blazei 자실체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추출공정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s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 최정우;류동열;홍억기;권명상;한진수;이원홍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307-312
    • /
    • 2000
  • 버섯에서 추출되는 생리활성물질얀 ${\beta}$-glucan은 탁월한 항암 효과를 갖는 물질이다. 특히 Agaricus blazei에 $\beta$-glucan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 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아가리쿠스버섯으로부터 ${\beta}$-glucan을 추 출하는 공정의 추출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다양한 추출시간 과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을 이용하여 최적 운전조건을 결정하였 다. 최적 마이크로웨이브의 최적 출력은 200, 500, 650 watt의 경우에서 실험하여 결정하였다. 추출물질의 구조와 농도 분석은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와 infrared spectroscopy 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 용한 추출의 다당류 수율이 전통적 인 열수추출방법보다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소량의 용매와 짧은 추출 시간으로 향상된 수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극초단파를 이용한 건고추 올레오레진의 추출조건 설정 (Pre-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Oleoresins from Dried Red Pepper)

  • 이정은;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67-272
    • /
    • 2000
  • 건고추로부터 올레오레진을 신소가게 추출하고자 기존 추출방법들에 비하여 신속성과 환경친화성이 인정되고 있는 극초단파 추출공정에 필요한 몇 가지 기본조건을 검토하였다. 극초단파 추출에서 건고추의 입자 크기는 60 mesh, 시료와 용매(에탄올)의 비는 1:10(g/mL)이 적당하였고, 에너지 용량은 50 W에서 올레오레진과 capsanthin에 대한 추출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은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capsanthin 함량은 75% 이상의 에탄올 농도에서 높은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극초단파에 의한 올레오레진과 capsanthin의 추출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1회 추출시간은 3~5분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한 레몬그라스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xtraction of Total Flavonoids from Lemongrass Using Microwave Energy: Optimization Using CCD-RSM)

  • 유봉호;장현식;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2권2호
    • /
    • pp.168-17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하여 항산화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레몬그라스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추출하였다. 또한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추출공정의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를 설정하였고, 반응치는 추출수율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CCD-RSM 분석 결과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56.3 vol.%),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시간(6.1 min),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세기(574.6 W)에서 추출수율(17.2%)와 플라보노이드 함량(44.7 ㎍ QE/mL dw)의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종합만족도는 D = 0.8562이고, P-value는 추출수율(0.037)과 플라보노이드 함량(0.002)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5.0% 이하로 나타나 높은 유의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홍삼 첨가 액상청국장의 기능성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최적 추출조건 예측 (Prediction of Optima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Preserving Valuable Functional Properties of Fluid Cheonggukjang Obtained from Red Ginseng)

  • 이보미;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4-480
    • /
    • 2007
  • 홍삼 첨가 액상청국장의 추출공정별 청국장 추출물의 특성 비교 및 청국장의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홍삼 첨가 액상청국장을 각각 마이크로웨이브 파워별(30, 60, 90, 120 및 150 W), 시간별(1, 5, 9, 13 및 17분)로 추출한 후 생리활성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수율,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tyrosinase 저해작용, SOD 유사 활성 등의 생리활성 측정을 통해 추출 최적점을 찾아내었다. 홍삼을 첨가한 액상 청국장의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파워 $0{\sim}85\;W$, 시료에 대한 용매비 $1.4{\sim}2.8\;g/mL$, 추출시간 $6.5{\sim}11$분에서 최적의 조건이 나타났다. 예측결과에 의한 최적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측된 최적조건 범위 내에서 임의의 조건을 대입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예측해본 결과 홍삼을 첨가한 액상 청국장에 대한 임의의 조건으로 시료에 대한 파워 90W, 용매비 2.5 g/mL, 추출 시간 9분을 설정한 후 홍삼을 첨가한 액상 청국장에 대한 각각의 회귀식에 대입하여 얻은 예측된 최적값은 수율 23.04%, 전자공여능 56.33%, 아질산염 소거능 65.62%, tyrosinase 저해작용 4.96%, SOD 유사활성 41.97%로 실험값과 예측값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