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pher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7초

Surfactant-Free Microspheres of 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 Triblock Copolymers as a Protein Carrier

  • Sun, Sang-Wook;Jeong, Young-Il;Kim, Su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6호
    • /
    • pp.504-510
    • /
    • 200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iodegradable microspheres without the use of surfactants or emulsifiers for a novel sustained delivery carriers of protein drugs. A 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 (CEC) triblock copolymer was synthesized by the ring-opening of $\varepsilon$-caprolactone with dihydroxy poly (ethylene glycol) to prepare surfactant-free microspheres. When dichloromethane (DCM) or ethyl formate (EF) was used as a solvent, the formation of microspheres did not occur. Although the microspheres could be formed prior to lyophiliza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morphology of microspheres was not maintained during the filtration and lyophilization process. Surfactant-free microspheres were only formed when ethyl acetate (EA) was used as the organic solvent and showed good spherical micro-spheres although the surfaces appeared irregular. The content of the protein in the micro-sphere was lower than expected, probably because of the presence of water channels and pores. The protein release kinetics showed a burst release until 2 days and after that sustained release pattern was showed. Therefore, these observations indicated that the formation of microsphere without the use of surfactant is feasible, and, this the improved process, the protein is readily incorporated in the microsphere.

다양한 파우더 충전 단열 방법의 단열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about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various powder insulation methods)

  • 김희선;정상권;정성하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4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pparent thermal conductivity of various powder at different vacuum levels for cryogenic insulation. Four kinds of powder insulator are examined by using boil-off calorimetry at pressure range from 50 Torr to 3 mTorr. The first material is perlite which is widely used in cryogenic application. Microsphere is the second one that is recently proposed as a replacement powder for liquid hydrogen storage tanks. It is a hollow sphere made of silica with the diameter in the order of 10 to $100{\mu}m$. Popped rice and polystyrene beads are also selected as candidates for powder insulation even though they are polymers. With their porous elliptic and spherical configuration and light density, they demonstrate fairly goo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t pressure range from 50 Torr to 3 mTor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this paper, microsphere and polystyrene beads possess promising insulation characteristic as powder insulators and further study is desired.

HVPE 방법에 의해 성장된 탄소 마이크로구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arbon microspheres grown by HVPE)

  • 이찬미;전헌수;박민아;이찬빈;양민;이삼녕;안형수;김석환;유영문;신기삼;배종성;이효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2-67
    • /
    • 2015
  • 혼합소스 HVPE 방법을 사용하여 탄소 마이크로구를 합성하였다. 소스 물질로는 그래파이트 보트에 담겨 진 Ga, Al을 사용하였고 반응가스로 암모니아, 염산, 질소 가스를 사용하였다. 탄소 마이크로구의 합성은 $1090^{\circ}C$에서 실시하였다. 질소 가스는 5000, 염산 가스는 80, 암모니아 가스는 2000 sccm으로 공급되며 반응 시간은 3시간으로 하였다. 탄소 마이크로구의 SEM 측정 결과 수백 ${\mu}m$의 지름을 가지고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완전한 구형 모양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XPS 결과 탄소 마이크로구의 내부는 탄소 71.78 wt%, 산소 15.37 wt%, 황 0.32 wt%, 규소 1.97 wt%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TEM 분석을 통해 탄소 마이크로구가 비정질임을 알 수 있었다. 탄소 마이크로구가 합성된 것은 에피 성장 과정 중에 배양판과 같이 홈이 파져 있는 공간에서 가스 간의 흡착 반응에 의해 탄소 마이크로구의 성분들이 합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Y-90 microsphere 로부터 생성되는 제동복사선의 차폐를 위한 차폐체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shielding device for bremsstrahlung radiation from Y-90 microspheres)

  • 박준영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50-53
    • /
    • 2019
  • 본 연구는 고에너지의 베타선을 방출하는 Y-90 미세구의 경동맥방사선색전술 시 발생되는 제동복사선에 의한 불필요한 외부피폭을 줄이고자 텅스텐 차폐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용량(1 GBq, 2 GBq, 4 GBq)의 $SIR-Spheres^{(R)}$ Y-90 미세구를 사용하여, 텅스텐 차폐체 표면으로부터 10 cm, 50 cm, 100 cm인 곳에서 GM tube식 디지털 서베이미터로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텅스텐 차폐체 표면 10 cm 위치에서 차폐율을 분석한 결과 4 GBq의 $SIR-Spheres^{(R)}$ Y-90 미세구의 경우 90.9%, 2 GBq의 경우 88.9%, 1 GBq의 경우 88.8%의 차폐율을 보였고, 표면 50 cm 위치에서 차폐율은 4 GBq의 $SIR-Spheres^{(R)}$ Y-90 미세구의 경우 89.2%, 2 GBq의 경우 87.5%, 1GBq의 경우 86.3%로 나타났다. 텅스텐 차폐체 표면 100 cm 위치에서 텅스텐 차폐체는 평균 75.1%의 차폐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높은 용량이 함유된 $SIR-Spheres^{(R)}$ Y-90 미세구의 경동맥방사선색전술시 방사선 작업종사자와 선원간의 거리가 짧고, 작업시간이 길기 때문에 제동복사선에 의한 피폭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텅스텐 차폐체는 향후 임상에서 경동맥방사선색전술 시 제동복사선에 의한 외부피폭을 줄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된다.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 -$TiO_2$ 및 Poly(ethylene-co-vinylacetate)를 포함하는 $SO_2$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Preparation of Coantaning -$TiO_2$ and Poly(ethylene-co-vinylacetate) $SO_2$ Microsphere)

  • 허성현;박수민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24
    • /
    • 2003
  • SiO$_2$ 입자는 촉매, 촉매의 담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충진제등 여러 산업에 응용되고 있다.$^{1)}$ 본 연구 에서는 기능성을 가지는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SiO$_2$로써 기본적인 입자를 제조하고, 그 속에 소취특성을 가지는 TiO$_2$와 날염을 위한 EVA-microsphere를 포함시켜서 소취제로서, 그리고 날염 분체로서의 기능을 가진 입자들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리카(silica)는 일반적으로 규소산화물을 지칭하는 명칭으로서, SiO$_2$뿐 아니라 결정구조상 4-6개의 산소원자로 둘러싸인 모든 형태의 규소산화물을 지칭 하는 것이고$^{2)}$ 수용액상의 물유리는 실리카 졸의 값싼 상품으로 산업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Synthesis and Evaluation of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ic Microspheres for Chloramphenicol by Aqueous Suspension Polymerization a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tationary Phase

  • Zhang, Yan;Lei, Jiand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6호
    • /
    • pp.1839-1844
    • /
    • 2013
  • Molecularly imprinted microsphere for chloramphenicol (CAP) with high adsorption capacity and excellent selectivity is prepared by aqueous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which chloramphenicol is used as template molecule and ethyl acetate as porogen. The CAP-imprinted microspheres are used a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tationary phase and packed into stainless steel column ($150mm{\times}4.6mm$ i.d.) for selective separation of chloramphenicol. HPLC analysis suggests that chloramphenicol can be distinguished from not only its structural analogs but also other broad-spectrum antibiotic such as erythromycin and tetracycline. In addition, the binding experiments of CAP-imprinted microspheres are carried out in ethanol/water (1:4, V:V),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ximum apparent static binding capacity of molecularly imprinted microspheres is up to 66.64 mg $g^{-1}$ according to scatchard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