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ological activity

검색결과 1,207건 처리시간 0.025초

8종 root canal sealers의 경화 전, 후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eight root canal sealers before and after setting)

  • ;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207-211
    • /
    • 2002
  • 항균 활성도는 Root canal sealer가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최근 임상술식에 사용되고 있는 8종의 root canal sealer의 근관내 혐기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혼합직후의 경화되지 않은 sealer와 경화 7일 후 sealer의 항균효과도 비교하였다. 항균효과 측정을 위해 사용된 균주는 최근 실패한 근관치료 증례에서 배양되어 보고된 바 있는 Enterococcus faecalis와 근관내 주요 감염균인 그램음성 혐기성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를 대상으로 하였고, Agar diffusion 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2개의 paper disk에 신선하게 혼합한 각각의 sealer를 도포하여 한개의 disk는 즉시 실험에 사용하고 다른 한개의 disk는 일주일간 혐기성 배양기에서 경화시킨 다음 사용한다 각각의 균주를 Brucellar blood agar plate에 접종한 다음, sealer가 도포된 paper disk를 plate상에 올려놓는다. 대조군으로는 식염수에 침윤시킨 disc를 같은 방법으로 각 실험단계에 사용한다. 각 plate를 혐기성 배양기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뒤 실험에 사용한 sealer의 항균효과를 6mm paper-disk를 둘러싼 inhibition zone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Fisher's PLSD분석방법 결과 E. faecalis에 대하여 경화 전과 후의 AH26모두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Dentalis, Apexit, AH Plus, RSA그리고 경화 후의 MCS보다 유의성 있게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경화 후의 AH26은 경화 전의 AH 26, 경화 전의 Ketac Endo, 경화 전의 MCS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항균작용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p<0.05). 경화 후 Roth 801, 경화전과 후의 Dentalis, AH plus, Apexit, RSA는 E. faecalis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S. aureus에 대하여 경화후의 AH26이 경화 전과 후의 Roth 801, Apexit, AH Plus, RSA보다 유의성있는 항균효과를 보이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고, 경화 전의 AH 26이 경화 후의 AH plus보다 나은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 경화 전과 후의 Apexit, 경화 후의 AH Plus, 경화 전과 후의 RSA에서는 S. aureus에 대한 항균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 AH26이 가장 강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sealer의 경화 전과 후의 항균효과는 AH26이 경화 전보다 경화 후에서 더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in Syzygium aromaticum (L.) Merr. Et Perry and Leptospermum petersonii Bailey and their Constituents against Various Dermatophytes

  • Park, Mi-Jin;Gwak, Ki-Seob;Yang, In;Choi, Won-Sil;Jo, Hyun-Jin;Chang, Je-Won;Jeung, Eui-Bae;Choi, I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460-465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using plant oils derived from Leptospermum petersonii Bailey and Syzygium aromaticum L. Merr. Et Perry as natural antifungal agents. The antifungal effects of essential oils at concentrations of 0.05, 0.1, 0.15, and 0.2 mg/ml on the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KCTC 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Trichophyton rubrum (KCCM 60443), Epidermophyton floccosum (KCCM 11667), and Microsporum gypseum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ffusion method.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active fraction against the dermatophyte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S. aromaticum oil (clove oil) against the dermatophytes tested were highest at a concentration of 0.2mg/ml, with an effectiveness of more than 60%. Hyphal growth was completely inhibited in T. mentagrophytes, T. rubrum, and M. gypseum by treatment with clove oil at a concentration of 0.2 mg/ml. Eugenol was the most effective antifungal constituent of clove oil against the dermatophytes T. mentagrophytes and M. canis.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hyphae of T. mentagrophytes, such as damage to the cell wall and cell membrane and the expansio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after treatment with 0.11 mg/ml eugenol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t a concentration of 0.2 mg/ml, L. petersonii oil (LPO) was more than 90% effective against all of the dermatophytes tested, with the exception of T. rubrum. Geranial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active antifungal constituent of L. petersonii oil.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love and tea tree oils exhibi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the dermatophytes tested in this study.

Streptomyces griseus IFO13350 유래 sprA 및 sprB 유전자를 이용한 Pretense 생산균주 개발 (Development of a Recombinant Streptomyces griseus with sprA and sprB Genes for Proteolytic Enzyme Production)

  • 황지환;이창권;이강무;조병기;박해룡;황용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7-92
    • /
    • 2005
  • 방선균 Streptomyces griseus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생산되는 protease인 protease는 serine protease, alkaline protease, aminopeptidase및 carboxypeptidase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체로서 의 약용 소염제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방선균용 integration vector인 pSET152로부터 목적산물의 대량발현을 위해 방선균용 promoter ermE가 cloning된 새로운 integration vector인 pHJ101을 개발하였고, pretense의 생산량 증대에 사용하였다. 새로 개발된 integration vector에 S. griseus protease A를 코드하고 있는 유전자, sprA와 S. griseus pretense B유전자, sprB를 각각 cloning하여 plasmid pHJ201과 pHJ202를 구축하였다. 이들 plasmid들을 S. griseus IFO 13350에 형질전환하여 발현용plasmid가 chromosome에 integration된 재조합 균주 S. gliseus HA와 S. griseus HB를 얻었다. 이들 재조합균주로부터 전체 protease의 생산량을 확인한 결과, 모균주보다 각각 S. griseus HA는 약 5.3 배, S. griseus HB는 약 5 배 정도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특정유전자의 고발현용 integration vector의 제작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protease의 생산량 증대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핵전이에 의한 Aspergillus niger와 Penicillium verruculosum F-3의 속간 잡종형성 (Formation of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verruculosum by Nuclear Transfer)

  • 양영기;박열;김성준;정현숙;임채영;이영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1993
  • Aspergillus niger 와 Penicillium verruculosum F-3 균주의 돌연변이체 선발은 ultraviolet (UV) 단일처리와 UV 및 N-methyl-N'-nitrosoguanidine(MNNG) 이중처리에 의해 얻었다. 원형질체 형성을 위한 최적조건으로는 pH 5.8, 상투압안정제로는 0.6 M KCI이 최적이었으며, A-niger 와 P. verruculosum 의 재생율은 각각 54.6%, 49.8% 로 나타났다. 핵전이에 의한 형질전환율은 $7{\times}10^{5}~1{\times}10^{5}$ 이었고, 형질전환체의 유전적 안정성은 4.5%~66.5%, conidia 의 크기와 DNA 함량의 측정결과 각각 $2.6{\pm}0.7{\sim}6.5{\pm}0.5{\mu}m$, 5.7~31.3 ${\mu}g/10^{8}$ condia 를 나타내어 aneuploid 로 추측되었다. 모균주와 형질전환체들간의 유전적 안정성과 효소 활성도를 비교하여 선발되 5 균주의 전제 수용성단백질의 전기영동양상은 차이가 있었으며, 동위효소의 양상은 모균주와 유사하지만 CMCase 의 경우 2 균주(TAPW15706, TAPW157-7), $\beta$-glucosidase 의 경우 5균주 (TAPW157-1, TAPW157-4, TAPW 157-5, TAPW157-6, TAPW157-7)에서 band 의 세기가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토양에서 분리한 살충성 Bacillus thuringiensis의 모기와 누에 유충에 대한 독성효과 (II)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Pathoge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from Soil Against Mosquito and Silkworm Larvae (II))

  • Lee, Hyung-Hoan;Yoo, Bo-Rim;Kim, Young-Joo;Won, Nam-Hi;Kim, Hak-Chun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1
    • /
    • 1993
  • Bacillus thuringiensis를 한국의 토양에서 분리하여 특성을 연구했다. 8균주를 분리하여 HL-24, HL-25, HL-33, HL-34, HL-35, HL-38, HL-39와 HL-40으로 명명했으며. HL-24와 HL-25는 부정형의 crystal를 가졌고, HL-33과 HL-35는 이중피라미드형, HL-34. HL-38, HL-39와 HL-40은 둥근형의 crystal를 가진 것을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분리균들의 생화학적인 특성은 이미 알려진 균주들과 유사했으나. 특이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HL-25, HL-33과 HL-34는 cephalothin, colistin과 penicillin G에 내성을, HL-33과 HL-35균주는 chloramphenicol에 내성을 HL-39와 HL-40은 penicillin G에 내성을 나타냈다. 균주HL-24, HL-25, HL-33과 HL-34는 누에 유충에 대한 치사성은 100.85.55. 및 70%를 각각 나타냈으며 HL-24, HL-25, HL-38, HL-39와 HL-40의 모기 유충에 대한 치사성은 10. 20. 100. 100 및 90%였다. HL-24와 HL-25균주는 누에와 모기 유충에 모두 치사성은 나타냈으나. 모기에는 살충효과가 10~20%로 매우 낮았다.

  • PDF

순천만 갯벌 토양의 섬유소 분해능 및 체외효소 활성 (Cellulose Degradation and Extracellulat Enzymatic Activity of the Mud Flat in Sunchon Bay)

  • 백근식;최지혁;성치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5
    • /
    • 2000
  • 순천만 갯벌의 3개 지점의 표층(5cm)과 심층(20 cm)토양의 물리화학적 요인과 종속영양세균의 분포, 섬유소 분해율과 체외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온도, 수분함량, 인산염 인 그리고 유기물함량은 각각 -1~$30^{\circ}C$, 42.1~53.1%, 0.0779~0.1961mg/g, 그리고 1.99~7.64%로 나타나었다. 섬유소 films의 분해율은 7.7%~100%/month 범위로 1~2월에 최저 그리고 8~9월에 최고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0.87{\times}10^6 ~ 3.6{\times}10^7 $CUFs/g dry soil의 범위에 속해Tdmu 심층의 경우 표층에 비해 낮았다. MUF-기질의 분해율로 측정한 phoshatase, $\alpha$-D-gluocosidase, $\beta$-D-glucosidase, cellobiohydrolase 활성의 변화는 각각 152.23~1779.80 nMi/hr 2.67~202.18 nM/hr, 5.03~258.26 nM/hr, 3.42~63.07 nM/hr으로 모두 하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섬유소 분해는 수온상승이 주된 요인이었으며, 정점간, 깊이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외효소의 활성은 온도 및 섬유소 분해율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섬유소 분해와 체외효소의 활성과 높은 상괸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Moraxella sp. CK-1의 세포외 Autolysin의 분리 정제 및 활성도 측정 (Purification and Assay of Extracellular Autolysin from Moraxella sp. CK-l)

  • 오영상;이장현;한명수;윤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8-154
    • /
    • 2003
  • Moraxella sp. CK-1는 남조류 Anabaena cylindrica의 생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Moraxella sp. CK-1의 세포외 autolysin의 분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를 시도하였다. 흡광도 660 nm에서 0.7~0.8이 되도록 BGC-11세포배양액에서 키우고, 원심분리로 균주인 Moraxella sp. CK-1를 제거한 뒤 세포배양액을 Amicon ultrafiltration으로 농축을 하였다. 농축한 세포배양액을 $(NH_{4})_{2}SO_{4}$ 로 0~20%, 20~40%, 40~60%, 60~80%로 분획하여 단백질을 14,000${\times}$g로 침전 시켰다. 침전된 단백질을 20 mM Tris-HC1, pH 8.0완충용액으로 현탁시킨 뒤, 동일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투석을 하였다. $(NH_{4})_{2}SO_{4}$로 분획한 뒤 활성확인을 위해 Anabaena Cylindrica가 도포된 평판배지에서 활성을 확인한 결과, 40~60%, 60~80%에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을 각각 Mono-$Q^{TM}$ HR 5/5 (column volume 1 ml) column을 이용하여 FPLC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NH_{4})_{2}SO_{4}$ 로 분획한 40~60%에서는 major peak 3개, 60~80% 분획에서는 2개의 major peak가 분리되었다. Mono-$Q^{TM}$ HR 5/5 column에서 분리되어 나온 major peak 5개를 투석한 뒤 Anabaena cylindrica lawn에서 활성을 확인하였으나 확인이 되지 않았다. PVDF membrane을 이용하여 transfer하여 40~60% 침전에서 17 kDa의 단백질을 얻어냈다. 이를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를 하여 serine pretense의 계열임을 확인하였다.

온도별 저장중 축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Meat Sausag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 김수민;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288
    • /
    • 1989
  • 저장온도가 축육소시지의 품질에 미지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온도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장 온도별 VBN 함량의 변화는 온도의 영향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는데 $10^{\circ}C$, $20^{\circ}C$에 비해 $40^{\circ}C$ 저장이 VBN 함량이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변온저장 $(10/40^{\circ}C)$인 경우에는 $10^{\circ}C$$20^{\circ}C$에 비해 VBN 함량변화가 빠르나 $40^{\circ}C$에 비해서는 변화가 느린 경향이었다. 저장온도별 VBN 함량,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기간의 경과와 저장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TBA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변화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40^{\circ}C$$10^{\circ}C$, $20^{\circ}C$ 및 변온저장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Aw와 수분함량은 저장온도별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소시지 색깔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두워지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slime형성의 기준인 관능평가 2.0을 기준으로 저장기간을 예측해 본 결과 $10^{\circ}C$는 40일 이상, $20^{\circ}C$는 40일 미만, $40^{\circ}C$는 30일 미만, 변온저장의 경우는 20일 정도로 산출되었다.

  • PDF

Chitosan-ascorbate 처리 감압건조 과메기의 품질특성과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tosan-ascorbate Treated Kwamaegi Prepared by Vacuum Drying, and Lowering Effect of Serum Lipids in Rats Fed High Fat Diets)

  • 신경옥;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69-675
    • /
    • 2007
  • Chitosan-ascorbate (CA)를 표면처리한 후 $40{\sim}60^{\circ}C$에서 감압건조한 과메기(VD-과메기)의 품질특성과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지질과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D-과메기의 제조기간은 $4.5{\sim}8.3시간, 자연건조과메기(ND-과메기)의 제조기간 $360{\sim}480$시간이었다. 총 균수는 VD-과메기에서는 $0.2{\sim}0.5$ log CFU/g, ND-과메기에서는 8.2 log CFU/g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28.3{\sim}135.0$mg%로 ND-과메기와 VD-과메기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VD-과메기는 ND-과메기에 비하여 산가와 과산화물가가 현저하게 낮으며 비린내가 적고 조직감, 색상 및 종합적기 호도가 높았으며 종합적으로는 $40^{\circ}C$에서 제조한 VD-40-과메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고지방식이 흰쥐에 감압건조한 VD-40-과메기를 10% 혼합하여 4주간 급여한 군 (HVK)은 ND-과메기에 비하여 증체량이 낮고, 혈청 HDL-cholesterol 함량은 높은 반면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함량이 낮았으며, glutathione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으나 lipid peroxide 함량은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간의 xanthine oxidase total 및 O type 활성도 및 O/T(%)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 과메기 제조시 CA를 처리한 후 $40^{\circ}C$서 감압건조하는 방법은 제조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과메기의 위생성과 영양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s of Spice Fields and Mountains)

  • 김지윤;한상민;박선정;장지은;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20
  • 향신료 재배 토양 내에서 분리한 효모 중 이들의 분포와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의 향신료 재배토양에서 35종 58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Trichosporon moniliiforme균이 우점균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둔산 일대 산림토양에서 46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향신료 토양들과 산림 토양 등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Pseudozyma alboarmeniaca CD23-5, Filobasidium stepposum SFG1-4, Aureobasidium caulivorum HD17-5, Metschnikowia noctiluminum HD29-2, Papiliotrema anemochoreius NK2-12, Hannaella surugaensis DCH25-5, Microbotryozyma collariae DCH1-4, Rhodosporidiobolus lusitaniae DCH30-2, Wickerhamiella azyma DCH46-3등 10균주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이들 미기록 균주들은 구형-타원형으로 출아, 분열법으로 영양 증식하였다. Filobasidium stepposum SFG1-4균주를 포함하는 5균주들은 포자를 형성하였고 Pseudozyma alboarmeniaca CD 23-5등 3 균주들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도 모두 생육하였다. Wickerhamiella azyma DCH 46-3는 20% 포도당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Debaryomyces vindobonensis GHY31-3 균주는 5% NaCl을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무세포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거의 없거나 10% 미만이었지만,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Filobasidium magnum SFG1-3가 28.6%로 높게 나타났으며,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은 Rhodotorula mucilaginosa GHP40-2 균주의 무세포추출물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