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robial product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72 seconds

매실추출물이 발효유제품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Shelf-life of Fermented Dairy Product)

  • 최성길;오병태;박우포;이승철;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4-309
    • /
    • 2006
  • 식물성 천연항균제를 유가공설비 및 발효유제품의 항균처리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제를 조제하여 항균특성을 검토하고 그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제한 매실추출물은 유제품의 발효 및 저장유통중 부패에 관여하는 Leu. mesenteroides, B. cereus, 및 K. pneumonia, 유제품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chromobacter sp.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PME $2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미생물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광범위한 범위의 열($40^{\circ}C{\sim}150^{\circ}C$)처리온도와 pH($4{\sim}10$)에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효유제품 제조공정 설비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부패 미생물인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변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매실추출물의 처리농도 범위에서 젖산균의 성장을 크게 저해하지 않아, 젖산 발효공정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며, 표준방법에 의하여 발효제품을 제조하여 10시간내에 산도가 1.05%에 이르렀다. 아울러, 발효유제품에 $250{\mu}g/mL$ 이하의 PME를 첨가하고 유가공품을 발효시켜 적절한 숙성기간을 거쳐 제조할 경우, 젖산균을 제외한 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와 향미 및 색도면에서 관능검사적으로 손색이 없으며, 선도유지기간이 확대되어 유통구조상 상품가치가 있는 발효유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들깨풀 첨가가 열무 물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illa Seed paste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형렬;박정은;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0-299
    • /
    • 2002
  • 본 연구는 열무 물김치의 맛과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무 물김치에 들깨풀을 첨가하였을 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들깨풀 첨가량은 열무 물김치의 국물양의 0, 10, 20, 30, 40%로 하였으며, 열무 물김치를 담근 후 1$0^{\circ}C$에서 25일간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열무 물김치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색, 냄새, 신맛, 탄산미, 텍스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20%와 30% 처리구가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20%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pH는 발효 13일까지는 들깨풀을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높은 pH를 나타내었고, 총산도의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발효 16일 이후부터는 들깨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pH와 높은 총산도를 나타내었다. 총비타민 C 함량은 적숙기까치 서서히 증가하다 최대값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들깨풀 20% 처리구가 총 비타민 C 감소폭이 적으면서 최대한 보유하였다. 20% 처리구는 발효 말기까지 높은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었고, 40% 처리구는 발효 16일 이후에는 오히려 빠른 발효를 일으켜 낮은 환원당 함량을 보였다. 탁도는 발효 10일까지는 들깨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0% 처리구에 비해 낮은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 말기로 갈수록 40% 처리구가 오히려 더 크게 즙가하였고, 명도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ΔE값은 점차 증가하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였다가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고, 20% 처리구가 완만한 증가와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들깨풀은 발효 10일까지 열무 물김치의 발효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 이상 지나치게 첨가했을 때는 발효 13일 이후에는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20% 처리구는 관능적 평가에서도 꾸준히 높은 접수를 받았고, 이화학적특성 결과에서도 초기 발효를 늦추어 주고 발효 말기까지도 좋은 결과는 나타내어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보였다.

Effect of Feeding Complete Rations with Variable Protein and Energy Levels Prepared Using By-products of Pulses and Oilseeds on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and Meat Ball Quality of Goats

  • Agnihotri, M.K.;Rajkumar, V.;Dutta, T.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1437-1449
    • /
    • 2006
  • Thirty six pre-weaned Barbari kids at 4 months age were reared on four rations computed using coarse cereal grains and by-products of pulses and oil seeds with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12 and 55% (Low protein Low energy); 12 and 60% (Low protein High energy); 14 and 55% (High protein Low energy); and 14 and 60% (High protein High energy), respectively. After 180 days on feed, male animals ($4{\times}5=20$) were slaughtered to study the effect of diet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To asses the effect, if any, of such diet on product quality, meat balls were prepared and evaluated for quality changes when fresh as well as during storage ($-20{\pm}1^{\circ}C$). Feeding a ration with CP12 and TDN 60% (LH) to kids produced animals with highest slaughter weight (20.3 kg) yielding higher carcass weight and dressing percentage, lean (65.6%) and fat (6.6%) contents with low bone and trim losses. Although total variety meat yield was markedly higher in HL, the non-carcass fat deposi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LH carcasses. The water activity ($a_w$) of fresh goat meat ranged from 0.994-0.995 and total cholesterol 72.8-90.5 mg/100 g meat. The pH was high in HL and HH meat resulting in decreased ($p{\leq}0.05$) extract release volume (ERV). Meat balls were prepared using meat obtained from goats fed different rations (treatments) and stored at $-20{\pm}1^{\circ}C$. They were evaluated on day 0 and months 1, 2, 3, 4 for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changes. Overall moisture (%), $a_w$, TBA number and pH value were 67.9, 0.987, 0.17, 6.6 respectively and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except pH that was significantly ($p{\leq}0.01$) lower on LH. As the storage period advanced moisture, pH, $a_w$ and TBA number increased irrespective of treatments. Feeding various diets had no marked effect on microbial load of meat balls but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Standard Plate Count (SPC) and psychrotrophs declined ($p{\leq}0.01$). Treatment LL and LH produced meat balls with better flavour.

여드름 유발균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녹나무과 10종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en Lauraceae Specie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조주성;지래원;장보국;정헌상;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23-432
    • /
    • 2018
  • 본 연구는 녹나무과 10종의 추출물이 Propionibacterium acnes의 억제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천연 항균소재를 개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완도와 제주도에서 채집하였으며, 부위(잎, 가지), 용매(증류수, 80% 에탄올, 100% 메탄올) 및 초음파 추출시간(15, 30, 45분)에 따른 조추출물의 항균활성을 agar diffusion method로 조사하였다. 대조구로는 합성항균제인 methylparaben과 phenoxyethanol 0.4, 1, 2, 4 mg/disc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10종의 모든 추출물에서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월계수는 80% 에탄올에 45분간 추출한 조건에서 20.2 mm의 생육억제환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월계수 잎을 100%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30분 추출한 다음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그리고 water 순으로 용매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10.0 mm 이상의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그중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13.3 mm로 가장 컸으며, 조 추출물(10.2 mm)과 대조구인 phenoxyethanol (12.5 mm)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Clostridium ljungdahlii 배양에서 배지 조성에 따른 균주 성장과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대한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Cell Growth and Bioethanol Production in Clostridium ljungdahlii Culture)

  • 안보혜;박소은;김영기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19-424
    • /
    • 2018
  • 무기탄소원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acetogenic 박테리아인 Clostridium ljungdahlii 발효공정에서 배양 배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 향상을 시도하였다. 균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지 구성성분으로 yeast extract, fructose, $NH_4Cl$, $K_2HPO_4$를 선정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으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 기본 배지 농도보다 낮은 0.05 g/L에서 가장 높았다. Fruct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은 증가하였지만 5 g/L을 초과하는 fructose 투입은 에탄올 생산을 감소시켰다. Yeast extract 5 g/L인 조건에서 fructose 5 g/L와 넣었을 때 에탄올 생산농도가 0.297 g/L로 가장 높았으나, fructose를 넣지 않았을 때 매우 낮은 균주 농도로 인해 에탄올 비생산성은 0.281 g/g DCW로 높았다. $NH_4Cl$은 균주 성장이나 에탄올 생산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30 g/L 이상 과다 투입하면 성장저해가 나타났다. $K_2HPO_4$에 대해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모두 증가하였다. $NH_4Cl$$K_2HPO_4$를 사용한 경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를 적게 사용한 경우 크게 나타났다.

Development of a Biofungicide Using a Mycoparasitic Fungus Simplicillium lamellicola BCP and Its Control Efficacy against Gray Mold Diseases of Tomato and Ginseng

  • Shin, Teak Soo;Yu, Nan Hee;Lee, Jaeho;Choi, Gyung Ja;Kim, Jin-Cheol;Shin, Chul 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337-344
    • /
    • 2017
  • To develop a commercial product using the mycoparasitic fungus Simplicillium lamellicola BCP, the scale-up of conidia production from a 5-l jar to a 5,000-l pilot bioreactor, optimization of the freeze-drying of the fermentation broth, and preparation of a wettable powder-type formulation were performed. Then, its disease control efficacy was evaluated against gray mold diseases of tomato and ginseng plants in field conditions. The final conidial yields of S. lamellicola BCP were $3.3{\times}10^9conidia/ml$ for a 5-l jar, $3.5{\times}10^9conidia/ml$ for a 500-l pilot vessel, and $3.1{\times}10^9conidia/ml$ for a 5,000-l pilot bioreactor. The conidial yield in the 5,000-l pilot bioreactor was comparable to that in the 5-l jar and 500-l pilot vessel.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onidial viability of 86% was obtained by the freeze-drying method using an additive combination of lactose, trehalose, soybean meal, and glycerin. Using the freeze-dried sample, a wettable powder-type formulation (active ingredient 10%; BCP-WP10) was prepared. A conidial viability of more than 50% was maintained in BCP-WP10 until 22 weeks for storage at $40^{\circ}C$. BCP-WP10 effectively suppressed the development of gray mold disease on tomato with control efficacies of 64.7% and 82.6% at 500- and 250-fold dilutions, respectively. It also reduced the incidence of gray mold on ginseng by 65.6% and 81.3% at 500- and 250-fold dilu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w microbial fungicide BCP-WP10 can be used widely to control gray mold diseases of various crops including tomato and ginseng.

쿡췰(Cook/Chill)시스템을 이용한 고등어조림의 HACCP 레시피 개발 및 생산과정의 품질평가 (The Development of HACCP-Based Standardized Recipe and the Quality Assessment of Cook/Chilled Soy Sauce Glazed Mackerel)

  • 곽동경;이경은;박혜원;류경;홍완수;최은정;장혜자;김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92-601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based standardized recipe applicable to cook/chilled soy sauceglazed mackerel and to evaluate the qualities related to the product flow of this item. After conducting experimental cooking, preliminary test, and analysis of recipes, critical control points were identified, control methods were determined, and HACCP-based recipe was standardized. At each critical control point, time-temperature profile was recorded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total aerobic plate counts, psychrotrophic plate count, coliform, and fecal coliform count), chemical analysis (pH, acid value and volatile based nitrogen (VBN))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item were done. Time-temperature data showed that the time the menu item had passed through temperature danger zone (5∼60$^{\circ}C$) during all phases was 60 min. At rapid cooling, but after cooling at room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is menu item did not drop below the ambient temperature.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test were negative throughout all phases following cooking and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erms of storage periods except for VBN which increased on 7th day significantly(p<0.05). After steam/convection oven reheating and microwave oven reheating, the sensory score of the only appearance decrease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orage time of overall quality profile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detected according to two reheating methods. In conclusion, this HACCP-based recipe was considered as an effective tool for assuring microbial as well as sensory quality of this cook/chilled item.

  • PDF

감마선 조사와 푸코이단/라미나린 병용처리가 돈육 패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Fucoidan/laminarin on Ready-to-eat Pork Patty)

  • 김현주;최종일;박진규;송범석;김재훈;윤요한;김천제;신미혜;변명우;이주운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4-39
    • /
    • 2009
  • 저급미역에서 추출한 푸코이단/라미나린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돈육 패티에 이를 첨가하여 품질평가를 하였다. 푸코이단/라미나린 첨가 돈육 패티의 지질산패도를 측정한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효과적으로 패티의 지질산화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조사선량에 따라 지질산화 억제 효과가 증진하였다. 감마선 조사한 돈육 패티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시료 무첨가구와 라미나린 첨가구는 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푸코이단 처리구의 경우 패티의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돈육 패티에 푸코이단/라미나린을 첨가 하였을 때 패티의 보수성이 증가하여 경도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마선 조사와 푸코이단/라미나린 병용처리는 패티의 미생물을 제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감마선 조사와 이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한 푸코이단/라미나린을 병용처리 하였을 때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을 개선시켜 식품산업에서의 천연 항산화제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Use of Fermented Soybean Meals during Early Phase Affects Subsequent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Broiler Chicks

  • Kim, S.K.;Kim, T.H.;Lee, S.K.;Chang, K.H.;Cho, S.J.;Lee, K.W.;An,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87-1293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subsequent growth and organ weights, blood profiles and cecal microbiota of broiler chicks fed pre-starter diets containing fermented soybean meal products during early phase. A total of nine hundred 1-d-old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six groups with six replicates of 25 chicks each. The chicks were fed control pre-starter diet with dehulled soybean meal (SBM) or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fermented SBM products (Bacillus fermented SBM [BF-SBM], yeast by product and Bacillus fermented SBM [YBF-SBM]; Lactobacillus fermented SBM 1 [LF-SBM 1]; Lactobacillus fermented SBM 2 [LF-SBM 2]) or soy protein concentrate (SPC) for 7 d after hatching, followed by 4 wk feeding of commercial diets without fermented SBMs or SPC. The fermented SBMs and SPC were substituted at the expense of dehulled SBM at 3% level on fresh weight basis. The body weight (BW) during the starter period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but BW at 14 d onward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hicks that had been fed BF-SBM and YBF-SBM during the early ph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feed intake during grower and finisher phases was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s. During total rearing period, the daily weight gains in six groups were 52.0 (control), 57.7 (BF-SBM), 58.5 (YBF-SBM), 52.0 (LF-SBM 1), 56.7 (LF-SBM 2), and 53.3 g/d (SPC), respectively. The daily weight gain in chicks fed diet containing BF-SBM, YBF-SBM, and LF-SBM 2 were significantly higher values (p<0.001)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hicks fed BF-SBM, YBF-SBM, and LF-SBM 2 had significantly lower (p<0.01) feed conversion ratio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weight of various organs and blood profiles among groups. Cecal microbiota was altered by dietary treatments. At 35 d, chicks fed on the pre-starter diets containing BF-SBM and YBF-SB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lactic acid bacteria, but lowered Coli-form bacteria in cecal contents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The number of Bacillus spp. was higher (p<0.001) in all groups except for LF-SBM 1 compared with control diet-fed chicks. At 7 d, jejunal villi were significantly lengthened (p<0.001) in chicks fed the fermented SBMs vs control diet. Coll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feeding of fermented SBMs during early phase are beneficial to the subsequent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 chicks. BF-SBM and YBF-SBM showed superior overall growth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unfermented SBM and SPC.

생식의 위해요인 분석 및 중요관리점 설정 (Hazard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CCPs for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Saengshik)

  • 김동주;하상도;류경;박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1032-1040
    • /
    • 2004
  • 생식은 건강 지향적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최근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나, 업체의 영세성에 따른 위생관리가 미비하며 제조공정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식의 위생적 생산을 위한 생식 생산 공정의 HACCP 일반모델을 개발을 위해 생식 원료의 세척에서부터 최종제품 포장까지 각 제조공정별로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요인의 위해요인을 분석하고 중요관리점(CCPs)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원료의 세척부터 최종제품 포장까지 각 제조공정별로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요인의 위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생식원료의 오염수준은 $2.82-8.23\;{\log}_{10}\;CFU/g$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었으며, 또한 $1.40-6.57\;{\log}_{10}\;CFU/g$의 coliforms이 검출되었다. 최종제품 중 일반세균수는 $1.51-7.40\;{\log}_{10}\;CFU/g$이 검출되었다. 제조공정 중 미생물 수 변화는 모든 원료에서 공정별로 유사한 패턴을 보여 주었는데 세척과 동결건조공정에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은 감소하였다. 물리적 요인인 이물 혼입과 화학적 요인인 수분함량의 변화가 위해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생식의 제조공정 중 CCP는 미생물 감소를 위한 세척 단계, 수분 관리를 위한 건조단계, 그리고 금속 등 이물질의 혼입단계로 설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