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control

검색결과 1,748건 처리시간 0.022초

Microbial Modeling i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A Review

  • Min, Sea-Cheol;Choi, Young-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279-293
    • /
    • 2009
  • Quantitative risk assessments are related to implementing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by its potential involvement in identifying critical control points (CCPs), validating critical limits at a CCP, enabling rational designs of new processes, and products to meet required level of safety, and evaluating processing operations for verification procedures.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s becoming a standard research tool which provides useful predictions and analyses on microbial risks and, thus, a valuable aid in implementing a HACCP system.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f microbial modeling i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HACCP systems.

용존산소 농도 조절이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 on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by Streptoverticillium morbaraense)

  • 유재수;전계택;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55-160
    • /
    • 2003
  • Streptoverticillium morbaraene로부터 미생물 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을 위하여 최적의 용존산소 농도를 구명하였다. 용존산소는 용존산소 농도 자동 조절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었다. 발효 중 용존산소 농도 조절을 위하여 통기속도는 0.3-3.9 L/min, 교반속도는 260-360 rpm으로 각각 범위를 설정하였다. 용존산소 농도를 조절한 다양한 회분식 배양에서 용존산소가 20%일 때 최대 미생물유래 transgiutaminase 생산이 가능하였다. 최분배양에서 용존산소 농도를 20%로 조절한 경우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은 2.12 U/mL이었고, 용존산소를 조절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의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보다 1.1배 향상되었다. 역시 가장 높은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은 용존산소를 20%로 조절한 유가식 배양에서 가능하였으며, 용존산소를 조절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의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에 비교해서 1.3배 증가하였다. 최대 건조균체량과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은 각각 13.2 g/L와 2.6 U/mL이었다. 용존산소를 20%로 용존산소 농도 자동 조절 시스템에 의해 조절한 유가식 배양은 미생물유래 transgiutaminase 생산에 적절하였으며 다른 미생물 배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제제 처리가 토양 미생물상의 변화 및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Product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 석운영;오주성;김도훈;정원복;정순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9-40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icrobial products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microorganisms in soil. Two different levels of microbial products, such as 50 times and 100 times diluted solutions of chitosan, wood vinegar and EM activity liquid, were treated for foliar applic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mong foliar applications of microbial products, 100 times diluted solution of chitosan was effective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comparing to other levels of dilutions and untreated control plot. The number of microorganism in the soil tended to increase under the treatment of microbial products compared to control plot. Especially, the numbers of the bacteria and actinomycetes were estimated $73.67{\times}10^3$ CFU/g and $34.00{\times}10^3$ CFU/g, respectively, under the treatment of 100 times diluted solution of chitosan.

  • PDF

산란생산성과 인 이용성에 대한 Microbial Phytase의 첨가 효과 II. 무기태인 수주닝 다르고 칼슘수준이 높은 사료에 Microbial Phytase 첨가가 산란성 및 인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Supplemental Microbial Phytase on Laying Performance and Phosphorus Utilization II. Effect of Microbial Phytase at Different Phosphorus Levels and High Calcium Content on Laying Performance and Phosphorus Utilization)

  • 김상호;유동조;이상진;강보석;서옥석;최철환;이원준;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0
    • /
    • 2000
  •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in laying hen diets on utilization of non-phytate phosphorus(NPP) whose levels were adjusted to be adequate or lower than that of NRC requirements. Birds of control roup were fed a diet containing 0.275% NPP and 3.4% Ca, satisfying the NRC(1994) feeding standard. bird on T1, T2 and T3 were allowed to eat diets containing NPP at 100, 80 and 60%, respectively, of Control group, and 4.0% Ca level along with a microbial phytase added at a level of 300 DPU. Three hundred and sixty, ISA Brown layers, 23-week-old,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with three replications per treatment and 30 layers per replication were fed the diets for 12 weeks. Levels of feed intak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egg mass/feed intake ratio appeared better in T2 group by about 8%, though without a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Egg production fate tended to be improved over the control group by feeding the 100%(T1) and 80%(T2) NPP diets added with phytas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2(p<0.05). Mean egg weight and egg shell quality, measured by breaking strength and thickness of the egg shell, of the T2 group tended to show numerically better, without a significance than those of control. Furthermore, birds of the T2 group showed higher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in tibia by about 9%(p<0.05) than the control. Overall performances of birds in T1 appeared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but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T2. The birds in T3 performed similar to the those of the other dietary groups except the relatively low tibia calcium leve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microbial phytase at a level of 300 DPU was effective to spare about 20% of NPP in laying hen diet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production performances and bone quality.

  • PDF

인삼재배용 미생물 제품의 식물보호율과 변이계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lant Protection Rat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icrobial Products for Ginseng Cultivation)

  • 이병대;밝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127-131
    • /
    • 2009
  • 시판되고 있는 인삼재배용 미생물제제에 대하여 인삼묘 입고병억제효과를 유묘포트시험으로 검정하였다. Rhizoctonia solani에 대하여는 리조렉스 (tolclofos-methyl)와 바리문 (validamycin-A)을 비교하여 검정하고 Pythium에는 리도밀 (metalaxyl)을 비교하였다. 리조렉스와 비교한 시험에서만 처리간 평균보호율 (Pm)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다. 최고효과를 보이는 미생물제 C-ISR2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두 개의 시험에서 순보호율 (net Pm-total Pm-control Pm)이 33%와 33.6%였다. 대조구의 Pm이 58.6%인 경우 총보호율이 91.6%로, 환경조건이 좋은 포장에서는 미생물제로만 보호가 가능함을 나타낸다. C-ISR2의 Pythium에 대한 순 Pm은 26.4%였다. 한 병원균에 대한 미생물제의 순보호율은 일정한 것으로 보였다. Pm과 CV간에는 세 번 다 부의 직선상관관계를 부였다. 이는 미생물제나 화학약제가 모두 보호체계가 같으며 미생물제제가 미세환경에 예민하여 변이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제와 대조구의 Pm과 CV의 상관식에서 CV=0에서의 절편 값은 미생물제의 이론적 최대보호율이 된다. 기본 발병환경의 개선 (무처리구의 보호율증대)에 따라 기존 미생물제제로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다.

미생물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근대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ters Decomposed by Microbial Activity on Yield of Chard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김경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1-98
    • /
    • 2000
  • 몇가지 토양미생물제 처리가 근대의 수량과 식물체 및 토양의 화학성분, 그리고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미생물제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BLCS cattle dropping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식물체의 화학성분에서는 모든 철구에서 Mg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제외하고 다른 성분들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고, 토양의 화학성분에서는 Tomi 처리구에서 K와 Mg의 함량이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의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총세균수에서는 Tomi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Husk+Palma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Husk+Palma와 Tomi 처리구에서도 몹시 증가되었다. Actinomycetes와 fungi에서도 Tomi 처리구가 매우 증가하였으나, 다른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pseudomonas에서도 각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폐광산지역 토양 식생복원 과정 내 토양특성 및 미생물 군집 변화 분석 (Analysis of Soi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ies for Mine Soil Vegetation)

  • 박민정;윤민호;남인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3호
    • /
    • pp.83-91
    • /
    • 2015
  • Mine soil contamination by high levels of metal ions that prevents the successful vegetation poses a serious problem. In the study presented here, we used the microbial biocatalyst of urease producing bacterium Sporosarcina pasteurii or plant extract based BioNeutro-GEM (BNG) agent. The ability of the biocatalysts to bioremediate contaminated soil from abandoned mine was examined by solid-state composting vegetation under field conditions. Treatment of mine soil with the 2 biocatalysts for 5 months resulted in pH increase and electric conductivity reduction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Further analyses revealed that the microbial catalysts also promoted the root and shoot growth to the untreated control during the vegetation treatments. After the Sporosarcina pasteurii or plant extract based BNG treatment, the microbial community change was monitored by culture-independent pyrosequenc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icrobial biocatalysts could potentially be used in the soil bioremediation from mine-impacted area.

낙엽분해동안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중금속의 영향 추정 (The Effect Estimation of Heavy Metals on the Microbial Activity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 심재국;신진호;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87-892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청양의 폐광산 지역과 인근 대조구에 분포하는 Artenmisia princeps var. orientalis(쑥), Equisetum arvense(쇠뜨기)를 이용하여 식물체 내 중금속 함량이 미생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낙엽 회수시 측정한 호흡량은 처음 회수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발생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중금속의 함량이 높은 낙엽에서 미생물의 호흡량이 낮았으며 대조구에서 채집하여 대조구에서 분해시킨 쑥과 쇠뜨기에서 가장 빠른 분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쑥과 쇠뜨기 모두 중금속 함량이 적은 낙엽에서 높은 미생물량을 나타내었다. 낙엽의 분해율과 누적호흡량, 낙엽의 분해율과 미생물량사이에는 각각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식물체 내의 중금속이 분해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장과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미생물배양액 및 vitamin-C 급여가 육우의 증체 및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feed Additive and vitamin-C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on Growth Performanc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Meat Cows)

  • 남인식;한창수;안종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23-534
    • /
    • 2015
  • 본 연구는 미생물제제의 일종인 yeast culture 및 코팅 처리된 vitamin-C의 첨가 급여를 통해 비육 말기 Holstein 거세우의 증체 및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평균체중이 $714{\pm}13.60kg$인 18개월령 Holstein 거세우 24두를 공시동물로 이용하였으며 각각 8두씩 3개 시험구로(대조구, MC급여구, CVC급여구) 완전임의 배치하여 출하 전 3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MC급여구는 yeast culture를 일일 30 g, 코팅 처리된 vitamin-C는 일일 10 g씩 매일 아침 사료급여 시 top dressing형태로 급여하였다. 일당증체량은 MC급여구가 가장 높았으며 사료요구율은 MC급여구와 CVC급여구에서 가장 낮았다. 등지방두께, 배체장근 및 육량은 시험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지육중량과 성숙도는 MC급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방색은 CVC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출하 3개월 전 Holstein 거세우에게 항생제 대체제로 미생물제제인 yeast culture 또는 코팅 처리된 vitamin-C의 급여는 육질에는 큰 효과가 없으나 육량, 지육중량, 사료요구율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미생물제제와 vitamin-C를 함께 급여하면 더욱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