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R-25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31초

화장품 중 유용성감초추출물의 유통기한 예측을 위한 가속수명 시험연구 (A Study on the Accelerated Life Test for the Estimation of Licorice Durability in Cosmetics)

  • 이소미;주경미;박정은;정혜진;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7-201
    • /
    • 2007
  • 유용성감초추출물(oil soluble licorice extract)은 미백에 효능이 있는 원료로서, 미백 효과가 최적으로 유지되는 유통기한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실온 상태에서의 화장품 유통기한을 측정하는 것이 제품의 개발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가혹 조건하에서의 성분 변화 실험을 통해 실제 유통기한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용성감초추출물의 수명과 가속온도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아레니우스식에 의해 분석하였다. 가속 온도 스트레스 설정 시 화장품 제형이 변하지 않는 온도 범위내인 50, 55 및 $60^{\circ}C$로 설정하였고, 이 구간 내에서 일정 스트레스 부과 방식을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장품 중 유용성감초추출물의 수명은 초기함량의 10%가 감소되는 시간으로 정의하였으며, 각 온도에서의 유용성감초추출물의 수명은 $50^{\circ}C$에서 580 h, $55^{\circ}C$에서 319 h, $60^{\circ}C$에서 166 h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값을 아레니우스 모델에 적용하여 유용성감초 추출물의 수명과 온도 사이의 수명 관계식[log(수명)=-35.0243+1.15322$\times$(11604.83/온도)]을 도출하였고, 이 식에 의해 $25^{\circ}C$에서 유용성감초추출물의 수명은 26 개월로 예측할 수 있었다. 예측 결과는 유용성감초추출물을 실온에서 측정한 결과로 검증하였으며 95% 신뢰수준에서 수명 예측값과 실제값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 방법은 주름 및 미백개선용 기능성 화장품들의 유통기한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선된 사람 혈장중 세파클러 농도 정량법을 이용한 세파클러 캡슐의 생체이용률 측정 (Bioavailability of Cefaclor Capsules Using an Improved Analytical Method of Cefaclor in Human Plasma)

  • 김태완;송옥경;한선영;;박미진;강성하;신관석;;이범진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2호
    • /
    • pp.117-122
    • /
    • 2005
  • After establishing improved HPLC analytical method of cefaclor in human plasma samples, a bioavailability study of cefaclor capsule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standard calibration curve using an HPLC with UV detector was constructed in a range of $0.0324{\sim}16\;{\mu}g/ml$. The 6% perchloric acid instead of 6% trichloroacetic acid was used to precipitate plasma protein. The HPLC chromatograms were precisely and accurately resolved when spiked with human plasma spiked with cefaclor and cephalexin (internal standard). Twenty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received two commercial cefaclor capsules, $Neocef^{\circledR}$ capsule (Jinyang Pharm. Co., Ltd) or $Ceclor^{\circledR}$ capsule (Lilly Korea. Co., Ltd.) at the 250 mg cefaclor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one-week washout period between the doses. Plasma concentrations of cefaclor were monitored for 8 hours after oral drug administration. $AUC_t$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8 hr (13 points), was calc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rule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was carried out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and $C_{max}$. No significant sequence effect was found for all of the bioavailability parameters indicating that the cross-over design was properly performed.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Neocef^{\circledR}/Ceclor^{\circledR}$ were $0.9049{\leq}{\delta}{\leq}1.226$,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within the acceptable bioequivalence intervals of 0.80-1.25. Thus, our study demonstrated the bioequivalence of $Neocef^{\circledR}/Ceclor^{\circledR}$ with respect to the extent of absorption.

세프질$^{(R)}$ 정 250밀리그람 (세프프로질 250밀리그람)에 대한 프로세질 정 250밀리그람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Procezil Tablet 250 mg to $Cefzil^{(R)}$ Tablet 250 mg (Cefprozil 250 mg))

  • 김세미;강민선;조혜영;이용복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5-261
    • /
    • 2010
  • Cefprozil is a broad-spectrum oral beta-lactam cephalosporin consisting of cis- and trans-isomeric mixture whose ratio is approximately 90:10. Cefprozil is used to treat certain infections caused by bacteria such as bronchitis and ear, skin, and throat infectio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cefprozil tablets, $Cefzil^{(R)}$ tablet 250 mg (BMS Pharmaceutical Korea., Ltd.) and Procezil tablet 250 mg (Hanmi Pharm.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in vitro release of cefprozil from the two cefprozil formulations were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 method with water dissolution media. Thirty five healthy male subjects, $24.00{\pm}1.53$ years in age and $69.77{\pm}9.99$ 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four tablets containing 1000 mg as cefprozil were orally administered,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cefprozil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UV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in water tested dissolution medi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 $C_{max}$ and $T_{max}$ on the basis of total-cefprozil were calculated, and computer program (K-BE Test 2002)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Cefzil^{(R)}$ tablets, were -0.81%, -3.00% and -6.83% for $AUC_t$,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 0.8 to log 1.25 (e.g., log 0.9515~log 1.0454 and log 0.9613~log 1.0465 for $AUC_t$ and $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Procezil tablet was bioequivalent to $Cefzil^{(R)}$ tablet.

16 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과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과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between 46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Echocardiography)

  • 박찬범;조민섭;문미형;조은주;이배영;김치경;진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45-51
    • /
    • 2007
  • 배경: 좌심실 기능의 평가는 대개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되고 있으나, 최근 개발된 16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MDCT)은 관상동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좌심실 기능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MDCT를 이용한 측정결과를 심초음파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MDCT의 좌심실 기능 평가에 대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월 31일까지 본원에서 MDCT를 시행한 49명의 환자중 동일시기에 심초음파를 시행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DVI),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SVI), 심박출량지수(SVI), 좌심실 부피지수(LVMI) 및 심박출계수(EF)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80.86{\pm}34.69mL$ for MDCT vs $60.23{\pm}29.06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37.96{\pm}24.32mL$ for MDCT vs $25.68{\pm}16.57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심박출량지수($42.90{\pm}15.86mL$ for MDCT vs $34.54{\pm}17.94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좌심실 부피지수($72.14{\pm}25.35mL$ for MDCT vs $130.35{\pm}53.10mL$ for Echocardiography, p<0.01) 및 평균심박출계수($55.63{\pm}12.91mL$ for MDCT vs $59.95{\pm}12.75mL$ for Echocardiography, p<0.05)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심박출량지수는 MDCT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좌심실 부피지수, 평균심박출계수는 심초음파군이 높게 나타났다. 각 변수에서 양군의 상관관계를 보면,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74,\;p<0.0001)$,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69,\; p<0.0001)$, 심박출량지수$(r^2=0.55,\;p<0.0001)$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좌심실 부피지수$(r^2=0.84,\;p<0.0001)$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심박출계수$(r^2=0.45,\;p<0.0002)$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16채널 MDCT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 및 기능의 평가는 심초음파의 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항목의 평균값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임상적 적용을 위하여는 양 검사의 절대적 결과치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MDCT의 기술적 개발을 고려할 때 관상동맥 환자에 있어 관상동맥의 협착의 검사와 함께 좌심실 기능의 측정도 함께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록갈파래(Umbraulva japonica)에서 분리한 세균의 군집 구조 분석 및 항균 활성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Isolated from Umbraulva japonica)

  • 김지현;박소현;문경미;김동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인 Umbraulva japonica의 표면에서 79개의 세균을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주요 계통군은 Proteobacteria (74.69%), Actinobacteria (2.53%), Fimicute (2.53%), Bacteroidetes (20.25%)로 4개의 문(Phylum)이 관찰되었고, 7개의 강(Class), 13개의 목(Order), 17개의 과(Family), 31개의 속(Genus)을 확인하였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3개의 균주가 표준균주와 97% 이하의 유사성을 보여 신속 또는 신종으로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향후 표준균주들과 함께 추가적인 신종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된 79 균주를 이용하여 인체 및 어류 병원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UJT7, UJT20, UJR17의 균체 현탁액이 Vibrio vulnific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UJR17의 균체 현탁액은 V. vulnificus와 Streptococcus parauberis에 항균 활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UJT7은 Bacillus sp., UJT20과 UJR17은 Pseudomonas sp.로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활용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한 후 유익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한국전통식품으로부터 분리 된 세균의 항균활성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경미;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319-1323
    • /
    • 2015
  • 매년 어류 양식의 생산량은 증대되고 있으며, 생산량 증가를 위한 고밀도 사육은 수질 악화 및 어류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질병들이 잦아지게 된다.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어류 양식 어민들에게 있어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 요법인 항생제를 투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 대체 물질 및 안전 요법으로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리하기 위해, 한국전통식품인 고추 장아찌와 갈치 젓갈에서 다양한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 된 균주들은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 및 동정하고, 상층액 및 균체로 나뉘어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고추 장아찌에서 분리된 4종과 갈치 젓갈에서 분리된 7종은 상층액 보다 균체에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JKM-2는 43 mm(S. iniae), 40 mm(S. parauberis), 35 mm(S. mutans), 26.5 mm(V. vuinificus)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본 균주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Bacillus subtilis 97.71%, Bacillus tequilensis 97.71%, Brevibacterium halotolerans 97.71%, Bacilus subtils 97.63%, Bacillus subtlis 97.63%, Bacillus mojavensis 97.54%, Bacillus vallismortis 97.46%, Bacillus nanillea 97.45%, Bacillu smethylotrophicus 97.37%, Bacillu ssiamensis 97.37%로 분석되었다. 추후 JKM-3의 신종 균주 확인과 균체 물질 규명 및 분석을 통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양식 산업에 적용시켜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이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주요 식용꽃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카테킨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enol and Catechin Levels on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Edible Flower Extracts)

  • 이미경;박정숙;송희자;천상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8
    • /
    • 2014
  • 주요한 꽃차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백목련, 매화 및 홍화의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각종 시료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페놀 함량을 Folin-Denis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준물질을 catechin, chlorogenic acid, tannic acid로 각각 달리하여 측정한 결과 백목련이 72.6 ~ 118.0 mg/kg 범위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매화와 홍화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백목련이 25.1 mg/k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꽃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250 mg/kg의 추출물 농도에서 백목련과 매화는 각각이 93.0과 92.6%로 높게 나타났으나, 홍화는 23.0%로 낮은 활성을 보였다. 총 catechin 함량에 있어서 백목련이 총 8종의 카테킨류 중 6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고 9,425.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매화와 홍화는 각각 5종과 2종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각각 3,407.8과 190.6 mg/kg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카페인 함량은 매화에서 비타민 C함량은 매화와 홍화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백목련 꽃은 다른 꽃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항산화성이 높아 유망한 기능성 꽃차로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꽃차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카테킨류 함량은 그들의 항산화성과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임으로써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온도가 저서규조류 광합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 형광을 이용한 추정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Benthic Diatoms: Fluorescence Based Estimates)

  • 윤미선;이춘환;정익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2호
    • /
    • pp.118-126
    • /
    • 2009
  • 저서규조류는 하구역 먹이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생물로서 그들의 광생리 특성에 따라 일차생산력이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 온도 변화가 저서규조류 4종(Navicula sp., Nitzschia sp., Cylindrotheca closterium, Pleurosigma elongatum)의 광합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Diving PAM을 이용한 엽록소 형광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광생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온도 조건(10, 15, 20, 25, 30, $35^{\circ}C$)에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엽록소 형광을 측정하여 P-I 곡선을 도출하였다. 제2광계의 유효양자수율($\Phi_{PSII}$)은 대부분의 종에 있어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상대 최대 전자전달율(rETRmax)은 최적 온도까지 증가한 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최대 빛이용 효율($\alpha$)은 다른 광합성 매개변수에 비해 온도에 덜 민감하였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감소하였으며, 광포화 계수($E_K$)는 상대 최대 전자전달율의 반응과 매우 유사하였다. 종별 광생리 특성을 분석한 결과, Navicula sp.와 Cylindeotheca closterium가 광생리적 조절을 통하여 단시간의 온도 변화에 광순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의과대학 4학년 학생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Senior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 강미정;이충원;진규복;서은정;안재석;서석권;이미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95-100
    • /
    • 1999
  • Objectives. This study surveyed medical students attending clerkship to assess their attitude toward and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and self-confidence to manage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323 medical students at four medical colleges in Taegu in May 1997. The response rate was 92.9%, but the respondents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were 245 (75.8%) due to missing variables. Results. Overall, respondents showed equivocal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mean score 2.9 on a 6-point scale).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was substantially low with the median % correct 39.2%. Of nine knowledge areas, weak areas were especially 'contraindications and barriers to breastfeeding', 'use of breastfeeding aids', 'expression and storage of breast milk'. Those reported to be confident to manage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were only 25.7%.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in college A (r=0.35, p<0.05).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attending clerkship in Taegu show equivocal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low self-confidence to manage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and have substantially limited level of knowledge. There should be more concerted efforts to improve this situation on the part of those involved in breastfeeding education.

  • PDF

First Record of Three Uronychia Species (Ciliophora: Spirotrichea: Euplotida) from Korea

  • Kim, Se-Joo;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1호
    • /
    • pp.25-33
    • /
    • 2011
  • Three morphospecies of the genus Uronychia, i.e. U. setigera Calkins, 1902, U. binucleata Young, 1922, and U. multicirrus Song, 1997,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Gumjin-ri on the East Sea and the public waterfront of Incheon on the Yellow Sea in Korea, respectively. These species are described based on live observation, protargol impregnation, silver nitrate impregnation, and their morphometrics. Diagnostic keys for these species are also provided. In addition, their small subunit ribosomal DNA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previously known sequences of Uronychia species. Diagnostics of three Uronychia species are as follows: U. setigera: $50-80\;{\mu}m$ long in vivo, oval-shaped, 2 macronuclear nodules (Ma), 1 spur on the left margin, 11 adoral membranelles (AM) 1, 4 AM2, 1 buccal cirrus (BC), 4 frontal cirri (FC), 3 left marginal cirri (LMC), 2 ventral cirri (VC), 5 transverse cirri (TC), 3 caudal cirri (CC), 6 dorsal kineties (DK), and approximately 23 cilia in the leftmost kinety. U. binucleata: $70-110\;{\mu}m$ long in vivo, oval to slightly rectangular shaped, 2 Ma, 1 micronucleus (Mi), 2 spurs on the posterior region, 11 AM1, 4 AM2, 1 BC, 4 FC, 3 LMC, 2 VC, 5 TC, 3 CC, 6 DK, and approximately 37 cilia in the leftmost kinety. U. multicirrus: $140-200\;{\mu}m$ long in vivo, oval to slightly rectangular shaped, ca. 7 Ma, 1 Mi, 11 AM1, 4 AM2, 1 BC, 4 FC, 3 LMC, approximately 8 VC, 5 TC, 3 CC, and 6 DK. This study presents the first record of this genu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