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oxybenzaldehyd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Synthesis and evaluation of antimicrobial-antitumor activities of methylthiosemi-carbazones and thiocarbohydrazones

  • Rhee, Shang-Hi
    • 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2-175
    • /
    • 1972
  • Fifty six compounds of 4-methylthiosemicarbazone and thiorcarbohydrazone derivatives were prepared and subjected to biological tests. The following five compounds, 2-hydroxybenzaldehyde monothiocarbohydrazone (2),4-methylbenzaldehyde monothiocarbohydrazone (8), 1-(2-hydroxybenzaldehyde)-5(4-hydroxy-3-methoxybenz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45), 1-(2-hydroxybenzaldehyde)-5-furfural dithiocarbohydrazone (46) and 1-benzaldehyde-5-cinnam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49) exhibited mark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St. aureus and P. chrysogenum. In addition to these compounds, 3-methoxybenzaldehyde monothiocarbohydrazone (12) and 4-methylbenz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29) showed marked inhibition of HeLa cell growth at the concentration of 10 ${\nu}$g/ml. It was generally observed that most compounds demonstra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 chrysongenum but only one compound, 3-hydroxy-4-methoxybenzaldehyde dithiocarbohydrazone (39), exerted antituberculosis activity against M. tuberculosis H$_{37}$ RV at the concentration of 10 ${\nu}$g/ml.

  • PDF

천마 성분인 4-히드록시-3-메톡시벤즈알데히드 및 파라-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의 흰쥐에서의 약물동태 (Pharmacokinetics of 4-hydroxy-3-methoxybenzaldehyde and p-hydroxybenzaldehyde, Constituents of Gastrodia Elata, in Rats)

  • 용철순;권기철;김정애;하정희;이동웅;허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1호
    • /
    • pp.47-53
    • /
    • 1999
  • Gastrodia elata (GE) is an oriental medicinal herb which has been used traditionally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rain diseases including convulsion and epileps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4-hydroxy-3-methoxybenzaldehyde (HMBA) and p-hydroxybenzaldehyde (PHBA), constituents of GE, in rats. Male rats were cannulated in the femoral vein, femoral artery, bile duct and ureter. They received a single i.v. bolus dose of either HMBA or PHBA through the femoral vein. The concentration of HMBA or PHBA in plasma, bile and urine samples were analyzed by reversed-phase HPLC. HMBA and PHBA have very short half-lives, i.e. 4.03 and 2.26 minutes respectively. Most of HMBA and PHBA were thought to be eliminated through metabolism as the metabolized fraction approaches unity. Derivatives of HMBA or PHBA with longer biological half-lives should be designed to develop better anticonvulsants and more complet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pharmacokinetic fate of these compounds awaits further investigation.

  • PDF

천마성분인 4-hydroxy-3-methoxybenzaldehyde와 2,3-dihydroxy-benzaldehyde의 병용투여에 의한 진정효과 (Sedative Effects of Combined Administration of 4-Hydroxy-3-methoxybenzaldehyde, a Component of Gastrodia elata, and 2,3-Dihydroxybenzaldehyde in Rats)

  • 이동웅;최형철;이광윤;이수관;김정애;용철순;김진숙;허근;신손문;구병수;하정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14-1218
    • /
    • 2006
  • 페놀성 화합물들의 병용투여가 rat의 진정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천마성분으로서 positive GABAergic neuromodulation을 보이는 4-hydroxy-3-methoxybenzaldehyde와 강력한 항산화물질인 2,3-dihydroxlrbenzaldehyde를 동량 투여한 결과, pentyleneterazole에 의해 유발된 사망률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pentobarbital에 의해 유도된 수면시간은 유의하게 연장되었으나 항불안효과와 근육이완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항경련효과를 가진 화합물과 항산화 효과를 가진 화합물을 병용투여 함으로서 경련이나 불면 등의 신경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rie-point pyrolyzer-GC/MSD를 이용한 4-hydroxy-3-methoxybenzaldehyde의 열분해물 분석 (Analysis of 4-hydroxy-3-methoxybenzaldehyde pyrolyzates by Curie-point pyrolyzer-GC/MSD)

  • 유의경;김옥찬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8-15
    • /
    • 1997
  • 바니린을 Curie-point pyrolyzer-GC/MSD 장치를 사용하여 920, 740, 500, $333^{\circ}C$에서 각각 열분해하고, 열분해 생성물을 분리 및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중에서 $920^{\circ}C$에서는 95개 성분, $740^{\circ}C$에서는 40개 성분, $500^{\circ}C$에서는 17개 성분, $333^{\circ}C$에서는 11개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열분해 반응생성물 중 주요 생성물인 벤젠, 페놀, 2-히드록시 벤즈알데히드, 2-메톡시페놀,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메톡시벤젠, 1,3-시크로펜타디엔 등은 바니린의 작용기가 해리되었거나, 분해된 생성물로 생각되며, 1,3-benzodioxole-5-carbox-aldehyde, 메틸벤젠, 스틸렌, 메틸페놀 등은 $500^{\circ}C$ 이하에서도 바니린의 메톡시 작용기가 해리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xpeditious Synthesis of Natural Benzofuran, Eupomatenoid-6 by Umpolung of α-Aminophosphonates

  • Damodar, Kongara;Jun, Jong-Ga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2호
    • /
    • pp.3618-3622
    • /
    • 2014
  • Simple and practical synthesis of natural benzofuran derivative eupomatenoid-6 via Horner-Emmons type condensation as the key step is described. The umpolung property of aldehyde derivative, ${\alpha}$-aminophosphonate was efficiently employed in this reaction. ${\alpha}$-Aminophosphonate of anisaldehyde subjected to Horner-Emmons type condensation with 5-bromo-2-methoxybenzaldehyde to yield the deoxybenzoin, which was further methylated and then underwent tandem demethylation-cyclodehydration to afford the benzofuran scaffold in excellent yield. Finally Suzuki coupling with propenyl boronic acid afforded eupomatenoid-6 with an overall yield of 56.8%.

항진균제 Naftifine 구조와 관련된 알릴아민류의 합성 (Synthesis of Naftifine-Related Allylamine as a Potential Antimycotics)

  • 김욱;박은주;서희경;신부안;최보길;정병호
    • 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47-253
    • /
    • 1993
  • Eight new derivatives of allylamine which are related to naftifine and expected to have antifungal activity were synthesized. Schiff base 2a-2d and 2'e-2'h were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using trans-cinnamylamine or trans-cinnamaldehyde. The reduction of azomethine linkage with NaBH$_{4}$ yielded secondary amine 3a-3h, which were then methylated by means of HCHO and excess NaBH$_{4}$ or HCOOH to give 4a-4h.

  • PDF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38-643
    • /
    • 1998
  • 찹쌀 및 보리쌀을 원료로 주모를 첨가하여 담금한 발효과정 중의 탁주술덧을 고체상 추출법으로 추출 농축한 후 극성 column을 사용하여 GC 및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alcohol 10종, ester 9종, acid 2종, aldehyde 7종 등 28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향기성분 수는 담금 직후에 $13{\sim}14$종이었으나 발효 16일에 $27{\sim}28$종으로 증가되었고 찹쌀 탁주는 보리쌀 탁주 술덧보다 향기성분이 다소 많았다. 찹쌀 및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 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iso-amyl alcohol, n-hexyl alcohol, hexen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ethyl acetate, ethyl succinate, 2-phenylethyl acetate, butyic acid, benzaldehyde, 3-methoxybenzaldehyde의 12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ethyl propion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phenyl acetate 및 acetaldehyde 등 5종의 aldehyde는 발효 16일에서만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 %)은 시험구와 발효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2-phenylethyl alcohol, 2-phenylethyl acetate, hexenyl alcohol, iso-butyl alcohol이 찹쌀 및 보리쌀 탁주술덧에서 공통으로 높아 탁주술덧의 주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추측된다. 이들 성분 외에 ethyl acetate, benzaldehyde는 찹쌀 탁주에서, hexenyl alcohol은 보리쌀 탁주 술덧에서만 높았다. 찹쌀 탁주 술덧에서 발효 16일에 ethyl acetate의 면적비율이 ethyl alcohol보다 다소 높아 보리쌀 탁주술덧과 다른 특색을 보였다.

  • PDF

시설 고추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 효능의 한계성 (Limitation in Attraction Efficacy of Aggregation Pheromone or Plant Volatile Lures to Attract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festing the Hot Pepper, Capsicum annuum, in Greenhouses)

  • 김철영;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69-377
    • /
    • 2021
  •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 전략 가운데 하나로 대량유살 기술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 해충에 적용되는 상용유인제의 효능을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총채벌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점착트랩의 경우 청색과 황색 색상에 따른 유인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트랩의 위치는 큰 변수로서 기주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포획 밀도가 높았다. 또한 상하 위치도 중요한 변수로서 기주 작물 수관 부위에서 가장 높은 포획 밀도를 보였다. 이를 기준으로 황색 점착 트랩을 설치한 경우 전체 총채벌레 밀도의 약 1%를 유살하였다. 이러한 낮은 유살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용유인제를 황색트랩에 추가하였다. 집합페로몬 또는 식물 휘발성 유인제(4-methoxybenzaldehyde) 성분의 두 가지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는 황색트랩 단독 처리에 비해 크게 유인력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Y-튜브 실내 행동분석은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methyl isonicotinate)들이 각각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높은 유인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이들 유인물질 은 기주 고추 꽃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이는 꽃이 없는 시설 대파(Allium fistulosum) 재배지에서는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가 황색트랩 단독 처리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하여 높은 유인력을 가지는 것을 미뤄 이 곤충의 꽃에 대한 높은 선호성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꽃노랑총채벌레에 사용되는 상용유인제들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추후 고추 꽃을 중심으로 새로운 유인물질의 탐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뇨중 대사체 정량에 의한 capsaicinoid의 생화학적 섭취지표 개발 연구 (Capsaicin Intake Estimated by Urinary Metabolites as Biomarkers)

  • 추연수;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84-788
    • /
    • 2001
  • 최근 고추섭취량과 위암과의 양의상관도를 보이는 역학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이런 자료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향신료로 쓰이는 고추의 섭취량이 정확히 측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고추의 매운맛 성분 capsaicin의 인체대사산물을 확인하고 이를 응용하여 생리학적으로 의미있는 섭취량을 측정하려는 취지에서 실험을 계획하였다. 먼저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capsaicin의 대사체들을 소변에서 HPLC로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이들 대사체의 신속한 검색을 위해, 이전부터 사용하던 유기용매 추출을 지양하고 효소 glucuronidase 처리한 소변희석액을 바로 HPLC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0대의 젊은 여성 5-6명을 대상으로, 이틀 간의 capsaicin 고갈식이 이후 capsaicin이 포함되지 않은 식사시 capsacin의 제공원으로서 고추장을 섭취하게 하였다. 60g씩 사홀 고추장을 섭취한 실험시 여섯명의 참가자 중 네명에게서 섭취를 시작한지 3일 째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한 명에게서 3일 째 capsaicin이 검출되었다. 80g씩 나흘을 섭취한 2차 실험시는 세 명의 피실험자에게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나흘째 소변에서 검출되었다. 2차 실험에서 나흘째 검출된 4-hydroxy-3-methoxybenzoic acid의 총량은 실험기간 중 섭취한 capsaicinoids 총량의 85% 이상이었다. 따라서 쥐 등을 이용한 capsaicinoid 대사 실험에서는 4-hydroxy-3-methoxybenyl alcohol이 주대사물질이었으나 인체에서는 그와 달리 4-hydroxy-3-methoxybenzoic acid가 주대사산물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1, 2차 실험식이를 충실히 따른 두명의 소변에서는 4-hydroxy-3-methoxybenzoic acid를 포함한 어떤 대사체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개인간의 흡수 대사 차이가 크게 기여한다고 추정되며 생리적으로 의미 있는 capsaicin 섭취의 지표 물질은 인체를 대상으로 처음 얻어진 이 결과에 기반으로 한 계속 실험을 통해 선정되리라 기대한다.

  • PDF

Anti-inflammatory 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astrodia elata Root

  • Lee, Ji-Yun;Jang, Young-Woon;Kang, Hyo-Sook;Moon, Hee;Sim, Sang-Soo;Kim, Chang-J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0호
    • /
    • pp.849-858
    • /
    • 2006
  • Previous screening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Gastrodia elata (GE) root (Orchidaceae) showed that methanol (MeOH) extracts have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properties. The antiinflammatory agents of GE, however, remain unclear. In this experiment, MeOH extracts of GE were fractionated with organic solvents fo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guided separation of GE. Eight phenolic compounds from the ether (EtOEt) and ethyl acetate (EtOAc) fractions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4-hydroxybenzaldehyde (I), 4-hydroxybenzyl alcohol (II), benzyl alcohol (III), bis-(4-hydroxyphenyl) methane (IV), 4(4'-hydroxybenzyloxy)benzyl-methylether (V), 4-hydroxy-3-methoxybenzyl alcohol (VI), 4-hydroxy-3-methoxybenzaldehyde (VII), and 4-hydroxy-3-methoxybenzoic acid (VIII).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se compounds, their effects on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arachidonic acid (AA)-induced ear edema and analgesic activity in acetic acid (HAc)-induced writhing response were carried out in vivo; cyclooxygenase (COX) activit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 2H3) cells and 1,1-diphenyl-2-picryl-hydro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were determined in vitro. These phenolic compounds not only had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properties in vivo, but also inhibited COX activity and silica-induced ROS gen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mong these phenolic compounds, compound VII was the most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Compound VII significantly inhibited silica-induced ROS generation and compound VI significantly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ounds I, II and III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ity of COX-I and I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enolic compounds of GE are anti-inflammatory, which may be related to inhibition of COX activity and to anti-oxidant activity.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the phenolic derivatives from GE on the anti-inflammatory action revealed that both C-4 hydroxy and C-3 methoxy radicals of benzyl aldehyde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inflammator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