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er data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27초

전자식 전력량계와 무선모듈을 이용한 전력품질 표시 및 모니터링 (Power Quality Monitoring with Electronic Watt-hour me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정득일;손영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72-174
    • /
    • 2007
  •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with high-precision measurement technology can provide many valuable metering data of a real-time system measurements, such as per-phase voltage, amper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pparent power, power factor, and system frequency. Also many of accumulated metering data such as active energy, reactive energy, apparent energy, and load profile can be gettable from an electronic watt-hour meter[1].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of the small-sized AMR (Automatic Meter Reading) that provides customers with a very valuable electrical service. This AMR service transmits lots of a valuable metering data by using ZigBee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users resided in their premises can use the information to audit a power quality and improve their electrical conditions by using the PQ monitoring device equipped with ZigBee receiver. This PQ monitoring device shows metering data on LCD and transmits to the PC through an internal network. Also, the device can keep the valuable meter data into a built-in non-volatile memory. The final goal of this paper is to better understand the power quality of electrical systems and offer the power qualify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ce of all power consumers.

  • PDF

PCS망을 연동한 원격영상 검침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mote Image Based Metering System bridging with PCS Network)

  • 이창수;나종래;황진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6호
    • /
    • pp.1041-1048
    • /
    • 2003
  • 본 논문은 계기 영상을 캡처하고, 숫자를 자동인식하며 데이터를 PCS 데이터 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원격 영상 검침 시스템을 구현한다. 기존의 가스/수도 미터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소형, 저가의 흑백 CMOS 카메라를 미터기 계기판 전면에 밀착하여 설치하고 NTSC 카메라 영상을 얻는다. 원격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업적인 PCS 망에서 제공되는 SMS를 이용한다. 계기 영상의 캡처를 위해 DVR 및 숫자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외에 SMS 및 계기 선택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차세대 디지털 적산전력계에 기반한 배전원격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DRMS(Distribution Remo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dvanced Digital Kwh-Meter)

  • 고윤석;이경호;윤상문;서성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241-243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DRMS(Distribution Remot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dvanced digital kwh-meter. The proposed URMS is designed so as to be able to collect the voltage management data, the load management data as well as the used kwh data from advanced kwh-meter remotelly. It make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istribution system possible and enhances highly the economics of the existing remote meter-reading system based on the only used kwh-data. Also it can improve highly the quality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customer by minimizing the volt age management cost and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load management.

  • PDF

생체신호 측정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심전도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The Telemedicine System based ECG Data using Bio-Signal Meter and Smart Device)

  • 김이슬;조진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1-5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lemedicine system based ECG data using a bio-signal meter and a smart device for treating faraway patients. This system is composed of a patch-shaped portable bio-signal meter, patient's smart device application, and doctor's PC software. Using these components, doctors and patients can do telemedicine. First, a patient measures his own ECG signal with a bio-signal meter and send the data to a doctor using a smart device application. Then, the doctor checks the ECG data, and make and send a diagnosis chart to web server. Likewise, doctors and patients can be offered a medical environment without time and space restraints. Applying this system to real medical system can improve the problem of low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and also can reduce medical expenses.

배전원격관리를 위한 차세대 디지털 적산전력계 개발 (Development of ADWHM(Advanced Digital Watt-Hour Meter) for Remote Management of Distribution Systems)

  • 고윤석;윤상문;서성진;강태규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3권6호
    • /
    • pp.316-323
    • /
    • 2004
  • This paper develops an ADWHM(Advanced Digital Watt-Hour Meter) which integrates and implements the voltage management data record function and the load management data record function in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ADWHM is developed based on PIC16F874 which is 8bit micro-controller of RISK type for the easy of programing and maintenance, and electronic power signal processing module is located at front of it to reduce the computing load of processor. Also, a 16kbyte EEPROM is used to record the voltage management data and load management data for a week as well as watt-hour data and USART communication mode is used to transfer data from ADWHM to PC. The accuracy of the voltage and unt measuring for ADWHM is verified by identifying the LCD display values of the ADWHM after the voltage signals of id levels from digital function generator is applied to PT(Potential Transformer) and CT(Current Transformer) output under state which it is separated from real power line. On the its basic functions such as watt-hour data recording function, voltage management data recording function and load management data recording function was verified by showing data for three days among the collected data to PC by RS232C communication from ADWHM which was connected to real power lines for a week.

스마트 가스 계량기 압력 데이터 기반 누출 판단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Leakage Judgment Technique based on Pressure Data of Smart Gas Meter)

  • 김정훈;오정석;이진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7-64
    • /
    • 2023
  • 가스계량기의 검침방식이 발전하면서 원격검침이 가능한 스마트 가스 계량기(누출점검용 계량기 및 다기능 안전 계량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계량기는 부가기능으로 수집하는 유량 및 압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누출 판단을 하는 기능이 있다. 유량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판단 기능은 실제 현장에서 유효한 사례가 있지만 압력 데이터 기반 누출 판단 기준은 누출로 인한 압력 값 변화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정압기 압력 크기, 인접 계량기 연계, 인접 주택 사용량, 계량기 위치 등)으로 압력 크기 변화(레벨)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가스계량기에서 수집되는 압력데이터를 활용하여 누출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기법으로 압력 데이터 전처리 방법과 누출 여부 관련 압력 값 범위 기준, 누출판단 기법 및 적용 사례 검증을 통해 개발하였다.

국외 상수도 원격검침시스템의 개발 동향 및 현장 적용 사례 고찰 (Recent Developments and Field Application of Foreign Waterworks Automatic Meter Reading)

  • 주진철;안호상;안창혁;고경록;오현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63-87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수도계량기(smart water meter) 연계형 상수도 원격검침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의 국외 시장동향 및 원격검침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기술의 개발현황과 현장적용 사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국외의 디지털 수도계량기 제조업체는 주로 미국 또는 유럽업체들로서 최근에는 북미뿐만 아니라 아시아 및 유럽에서도 원격검침시스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디지털 수도계량기 제조업체는 원격검침용 디지털 수도 계량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소비량 검침 및 비용 고지, 절수, 누수탐지, 수질 모니터링, 유량제어 등의 기능이 부가된 통합관리시스템(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방식은 디지털 수도계량기, 센서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neighborhood area network)을 통해 수집기(data concentration unit)로 전송 후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을 통해 검침서버로 전송하였으며, 데이터 전송방식은 도시 규모, 계량기의 밀도, 전력공급 여부 및 통신망의 설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일반적인 검침방식은 (1) 고정망(fixed network)을 통한 중앙 검침, (2) 차량(drive by)을 이용한 검침, (3) 사람(walk by)에 의한 검침, 그리고 (4) 비행식(fly by) 검침방식 등이 적용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수도계량기 연계형 원격검침시스템이 확산되어 용수 및 에너지를 절감하고 수도 요금을 절약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변 콘덴서를 이용한 디지털 수도미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Digital Water Meter Using a Variable Capacitor)

  • 박근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41-146
    • /
    • 2016
  • The AMR(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has been increasingly and widely used for its efficient and intelligent management, which is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collects consumption data from a water meter or energy metering device. The digital meter instead of the mechanical meter should be used in the system. Up to now, various types of sensor to measure the water flow rate have been used in the digital water meter, for example, reed switch, photo IR approximate sensor, ultrasonic sensor, electromagnetic sensor, etc. In this paper, a new sensing technology, where a variable capacitor and digital circuit were used for sensing the water flow rate, was proposed. The circuit was designed and verified by Pspice simulation. And a PCB board for the circuit was fabricated. After then, a prototype of digital water meter using a variable capacitor to measure the water flow rate was fabricated. The function tests of the fabricated digital water meter were perform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eter worked properly. Since the new technology has much better properties in terms of cost and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it should be one of the major digital water meter technologies in the future.

LTE와 IoT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미터 데이터 전송장치와 전력 IT 시스템 (Smart meter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IT system using LTE and IoT technologies)

  • 강기범;김홍수;좌정우;김호찬;강민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17-124
    • /
    • 2017
  •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CT기술을 접목하여 소비자와 전력 공급자 간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은 전기사용자가 전력시장 가격이 높거나 전력계통 위기일 때 절약한 전기를 전력시장에 판매하여 금전으로 보상받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 미터(Smart Meter)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요 정보를 계측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장치와 전력 IT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장치는 한국전력 데이터와 측정 오차가 없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Raspberry Pi 3에 연결된 빛 센서를 이용하여 한국전력 계측기의 전력량 단위마다 깜박이는 램프의 횟수를 계측한다.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 장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인 OpenADR 2.0b를 사용한다. 계측된 데이터는 LTE, WiFi 통신망을 통해 VEN, VTN, 계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전력 IT 시스템의 MySQL DB에 저장된다. 개발된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력계통 위기가 발생할 때 급전지시를 내려 피크감축 DR을 실행한다. 개발한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 장치는 기존 스마트 미터링의 계측시간이 15분으로 고정되는 것과 달리 사용자가 1분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Ka 밴드에서 Power Meter 계측 명령어에 따른 측정 정확도와 소요시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Accuracy and Required Time based on SCPI of Power Meter in Ka Band)

  • 조태종;신석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1-56
    • /
    • 2020
  • 측정 명령어에 따른 정확도와 소요시간은 효율적인 Ka 밴드용 자동 시험 장비(ATE)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RF 대표 계측기 Power Meter의 측정 명령어에 대해 연구하였다. 30 G ~ 31 GHz에서 Power Meter의 측정 명령어 FETCH와 MEASURE의 각 측정 레벨에 따른 정확도와 소요시간을 비교하였으며, -70 ~ +20 dBm 영역을 2가지 Power Sensor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신속하게 데이터를 불러오는 FETCH 명령어는 잡음 레벨보다 높은 선형 구간에서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가장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MEASURE 명령어는 FETCH 대비 시간이 많이 소요 되었으며, 최대 13.2초가 소요 되었다. 이를 통해 30 G ~ 31 GHz에서 Power Meter 측정 명령어의 정확도와 측정 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당 연구 결과는 효율적인 Ka 밴드용 ATE를 구축하는데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