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cury content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3초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 유정미;황재삼;구태원;윤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49-254
    • /
    • 2013
  • 국산 및 중국산 갈색거저리 유충의 일반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갈색거저리의 동결건조 분말은 고함량의 단백질(50.32~52.99%)을 포함하고 있었고, 중국산 분말이 약 2.67% 정도 국산에 비해 높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갈색거저리의 필수 및 비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었고, 분석된 아미노산의 함량은 국산과 중국산이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비필수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가장 높게 존재하였다. 지방산의 분석 결과, 갈색 거저리 분말은 총 지방산 중 76.80~80.55%의 많은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불포화지방산 중 linoleic acid는 국산 $20.80{\pm}1.1%$, 중국산 $34.69{\pm}1.9%$로 13.89% 차이, oleic acid는 국산 $51.40{\pm}0.47%$, 중국산 $40.20{\pm}1.5%$로 11.2%의 차이, linolenic acid는 국산 0.5%, 중국산 1.4%로 명확한 함량 차이와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유해물질인 식중독균(E. coli O157:H7, Salmonella spp.)은 국산과 중국산 분말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중금속 검사 결과에서 수은(Hg)이 국산과 중국산에서 각각 0.03 mg/kg, 0.08 mg/kg으로 검출되었으나 일반식품의 기준치 이하로 확인되었고 그밖의 중금속은 존재하지 않았다.

양식지역의 차이에 따른 비규격 넙치 연육 (Surimi)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urimi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as Affected by the Region where Cultured)

  • 허민수;신준호;박권현;이지선;노윤이;전유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98-60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enzymatic properties of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cultured in different regions (i.e., Jeju, Wando, and Geoje) as a potential source of surimi and surimi gel.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different reg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t P<0.05. Compared to Alaska pollock muscle, all of the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had a 4%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and 5% lower moisture content. The collagen content of bastard halibut muscle cultured in Jeju was 1.96 g/100 g, which was higher than in fish cultured in other regions. Regardless of the region where cultured or pH, the enzymatic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ranged from 0.30.0.48 U/mg for casein and hemoglobin, 11.9.13.7 U/mg for LeuPNA, 5.6.6.7 U/mg for ArgPNA, 2.8.4.7 U/mg for SAAPFNA, and 0.1.0.2 U/mg for BAPNA. Regardless of region, no mercury or lead was found in any of the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muscle, except for lead in fish cultured in Geoje. The strength of surimi gels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Jeju, Geoje, and Wando was 1059, 988, and 900 g${\times}$cm, respectively. The surimi gel from unmarketable bastard halibut cultured in Jeju was stronger than commercial Alaska pollock surimi, which was grade SA.

도금 유물에서 확인되는 확산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l Diffusion in Gilded Artifacts)

  • 전익환;이재성;박장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금동유물 각 한 점과 제작시기를 알 수 없는 금동유물 한 점 그리고 고려의 금은유물 한 점을 선택하여 도금층과 바탕금속 간에 일어나는 금속원소의 확산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유물에서 확산에 관한 직간접적인 증거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의 금동장식에 대한 분석결과로부터는 이러한 확산현상이 도금공정에 의도적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확산이 일어난 금동유물의 도금층에서는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차 금함량이 감소하면서 구리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말미암아 도금층과 바탕금속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점진적 조성변화는 열에 의한 확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도금층 전체에 산소함량이 매우 낮은 점으로 보아 이것이 매장도중 부식에 의하여 초래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확산정도에 따라 금동유물의 표면색조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확산에 의한 색조변화는 표면의 미소형태나 화학조성 면에서 부식에 의한 것과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은유물에서는 금은의 확산과 더불어 도금층의 수은도 바탕금속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대체 먹이원으로 한약재 부산물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medicine by-products on the larval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60-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부산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먹이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영양성분 함량, 중금속 함량, 유충의 생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먹이원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섬유를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이 미발효, 발효조건 한약재 부산물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단백질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먹이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약재 부산물의 카드뮴, 납, 수은 등의 중금속 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로 먹이원으로써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먹이원에 따른 생육 비교에서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한 대조구와 한약재 부산물을 급이한 실험구는 1~3주차까지 큰 차이가 없다가 4주차 유충의 중량이 대조구는 0.137 g, 실험구는 0.671 g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한약재 부산물 첨가별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중량을 비교한 결과 7주차에서 HMB40이 가장 높은 중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5주차의 HMB40, HMB80의 각각의 중량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용곤충의 출하시기를 3령 유충으로 보았을 때 5주차에 이미 출하시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HMB40, HMB80 조건의 급이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Food Hazard Analysis During Dried-laver Processing

  • Son, Kwang-Tae;Lach, Thea;Jung, Yeounjoong;Kang, Shin-Kook;Eom, Sung-Hwan;Lee, Dae-Sung;Lee, Myung-Suk;Kim, Young-Mo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97-201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and assess food hazards during dry laver processing. Samples including raw materials, intermediates, and finished products during dried-laver processing were collected from seven dried-laver processing facilities, and microbial analyses were conducted. Microbial levels such as total coliforms and total viable cell count (TVC) increased as the processing steps progressed. TVC and total coliforms ranged from <30 to $9.1{\times}10^7$ CFU/g and <18 to 27,600 MPN/100 g for intermediates and finished products obtained during dried-laver processing, respectively. However, no fecal coliform was detected in the samples. Additionally, food-borne bacteria including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not identified in finished products. For heavy metal content, arsenic ranged from 30.18 to 39.05 mg/kg, mercury from 0.005 to 0.009 mg/kg, and cadmium from 0.076 to 0.318 mg/kg dry mass in all finished products. However, lead was not detected in samples test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dried-laver products were safe based on the levels of food-borne bacteria and heavy metal conten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duce total viable cell counts and total coliforms during dried-laver processing.

식품가공소재용 꽃게의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위생 특성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n Sanitary of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as Sources for Seafood Products)

  • 강영미;박선영;이경돈;손재학;최재석;이정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3-249
    • /
    • 2017
  • Crabs are a popular seafood item. However, they can harbor many microorganisms, heavy metals, radioactivity, and benzo(a)pyrene, which are potential health risks to huma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otential of swimming crabs for use in foods such as Ganjang-gejang, by measuring their sanitary 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Viable microbial cell counts in swimming crab samples were $3.4{\times}10^2-6.7{\times}10^4CFU/g$, but no coliform, Escherichia coli, or pathogenic bacteria, such as Vibrio parahaemolyticus, Enterohemorrhagic E. col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or Salmonella spp., were detected.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wimming crab samples were non-detectable to 0.112 mg/kg for total mercury, non-detectable to 0.435 mg/kg for lead, and 0.115-0.836 mg/kg for cadmium. Benzo(a)pyrene concentrations ranged from $0.025-0.060{\mu}g/kg$, and the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ranged from 8.7-15.6 mg/100 g. No radioactivity was detected in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imming crabs are viable for use in seafood products.

극청정 가스필터용 다공성 니켈 멤브레인의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nickel membrane for high precision gas filter)

  • 송한복;양재교;성기훈;서동문;강두홍;좌용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10-216
    • /
    • 2007
  • 극청정 가스필터용 다공성 멤브레인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산화물 분말의 in-situ한 환원/소결 공정을 이용하였다. 또한 기공도의 향상을 위해 solid pore forming agent로써 구형의 폴리머 입자를 첨가하여 금속 섬유를 사용한 멤브레인과 비슷한 52%의 기공도를 가지는 니켈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니켈 멤브레인은 폴리머의 첨가에 따라 평균기공크기와 기공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환원/소결 온도가 $800^{\circ}C$에서 $1000^{\circ}C$로 상승함에 따라 평균기공크기와 기공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환원/소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격자확산 및 입계확산이 진행되어 멤브레인의 수축률 증가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유해성분이 없는 고품질 소금의 새로운 제조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manufacturing processes of high quality salt without hazardous ingredients)

  • 김경근;문수범;소예덕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6호
    • /
    • pp.458-467
    • /
    • 2016
  • 소금은 인간의 생리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물질로서 섭취한 영양소를 혈액 안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금에는 카드늄, 수은, 납, 비소와 같은 유해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소금은 모든 물질이 용존 되어 있는 해수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기술적 한계로 불가불 미량의 유해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법적으로 용인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수의 농도증가에 따른 순차석출 현상을 응용하여 '$15^{\circ}C$ 저온진공건조기술'로 유해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식탁염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전통적인 천일염의 제조공정에 확장 적용하면 세계적 명품 소금의 제조도 가능하다.

유통 마른 김(Porphyra sp.)의 중금속(Hg, Pb, Cd) 함량과 위해성 평가 (Heavy Metals (Hg, Pb, Cd)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Commercial Dried Laver Porphyra sp.)

  • 손광태;권지영;조미라;최우석;강성림;하나영;신진월;박큰바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54-459
    • /
    • 2012
  • To investigate heavy metals (Hg, Pb and Cd) and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in commercial dried laver (Porphyra sp.), we collected 45 samples from the major production areas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Hwaseong, Seocheon, Gunsan, Muan, Shinan, Jindo, Haenam, Wando, Jangheung, Goheung and Busan). The Hg, Pb and C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ry (ICP-MS) or a mercury analyzer. The average Hg, Pb and Cd concentrations in the dried laver were $0.006{\pm}0.0017$, $0.196{\pm}0.0614$ and $0.894{\pm}0.4882$ mg/kg, respectively. Based on the 2007 Korean Public Nutrition Report, these levels are 0.02, 0.11 and 2.47% of the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 for Hg, Pb and Cd, respectively, established by the FAO/WHO. The hazard quotient (HQ) determined from the ratio of exposure and safe levels were less than 1.0. Therefore, the levels of overall exposure to Hg, Pb and Cd for dried laver were below the recommended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levels, which indicate safe levels for public health.

수은이 계배 대뇌의 신경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III) (Effects of Mercury on the Differentiation Cerebral Neuron of Chick Embry (III))

  • 정해만;김생곤;조광필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1호
    • /
    • pp.87-100
    • /
    • 199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rcuric chloride $(HgCl_2)$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rebral neuron of chick embryo 10 days,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nerve cells injected with a various doses of mercuric chloride were observ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enzyme activity of the some dehydrogenases, cerebral proteins and adenosine triphosphate (ATP)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1.0 mg-injected group, the nuclear membranes were irregular, outer of mitochondria membrances dispressioned, their cristae were destroyed. In 2.0 mg-injected group, the nuclear envelops were destroyed and divided, were not observed organelle except of few ribosome, the RER and mitochondria. The number of polypeptide bands were separated by SDS-PAGE in the normal group were 38 bands. According to the in creased dose of mercuric chloride, contends of the bands were increased in 4 bands, but were decreased in 1 band. The activities of dehydrogenases were declined by increasing the dose of mercuric chloride.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fatted to 61% in 2.0 mg-injected group. Malate dehydrogenase (MDH) activity fatted to 90% in 1.0 mg-injected group, greatly to 76% in 2.0 mg-injected group. Succinate dehydrogenase (SDH) activity decreased to 79% in 1.0 mg-injected group and greatly to 62% in 2.0 mg-injected group. ATP content in 1.0 mg-injected group was almost near to the normal level, but it was increased greatly in 2.0 mg-inject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