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strual cycl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2초

칠제향부환제제(七製香附丸製劑)의 원발성(原發性) 월경통(月經痛)에 대한 임상적 효과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iljehyangbuhwan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 장준복;최윤희;윤영진;조정훈;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6-168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s of Chiljehyangbuhwan in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 patients. Methods : We studied fifty patients who visited Kyung Hee University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July, 2004 to August, 2004. Women with organic disease such as ut. myoma, ov. cyst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treated them with Chiljehyangbuhwan for one menstrual cycle.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were measured by MVRS (Multidimensional Verbal Rating scale), VRS (Verbal Rating scale) and VAS (Visual Analog Scale). Results : Chiljehyangbuhwa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Furthermore Chiljehyangbuhwan had an effect on dysmenorrhea for next menstrual cycle without taking. Chiljehyangbuhwan did not show hepatic and renal virulence.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Chiljehyangbuhwan has remarkable effects on dysmenorrhea patients and that effects continue to next menstrual cycle without taking medicine.

  • PDF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환자의 맥 분석 연구 (A Study on Pulse Diagnosi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 박경덕;배주은;윤영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7-8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lse energy in women with 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 compared with women who have a regular menstrual cycle. Methods: We analyzed the values of pulse energy on 20 patients with PCO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40 patients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as a control group. Control group was divided into 20 women with follicular phase and 20 women with luteal phase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18.0, one way ANOVA and Tukey HS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pulse energy of the Right Ch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Left Kwan and the Right Kwan among PCOS group.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pulse energy among control groups. Conclusions: The pulse energy of Lung is bigger than that of Spleen and Liver in PCOS patients compared with women who have a regular menstrual cycle.

여자 고등학생들의 월경주기에 따른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 (Perceived Stressor and Psychopathology during the Menstrual Cycle in High School Girls)

  • 고경봉;현태영;구민성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233-240
    • /
    • 1999
  • 본 연구는 청소년 여성에서 월경전기, 월경기, 월경후기간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여자 고등학생 341명(인문계 164명, 예능계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가도구는 스트레스인자 지각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과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를 이용하였다. 월경기보다 월경전기 및 월경후기 중에 관계의 변화에 관련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세 기간 중 정신병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인문계 학생들이 예능계 학생들보다 일상생활의 변화유무에 관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는 물론 강박증 척도접수와 positive symptom total(PST)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일부 스트레스인자지각이 월경기보다 월경전기 및 월경후기 중에 더 현저할 가능성이 높으나 정신병리는 월경주기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소년 여성들의 정신병리가 월경주기 이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식이 섭취량 및 체구성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on the Changes of Energy Intake and Body Composition)

  • 장은재;김동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0-19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그룹과 무증상 그룹으로 나누어 여성 24명을 대상으로4주 동안 식이 섭취량 및 체구성성분이 월경주기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에 본 결과를 요약하였다. 월경주기에 따른 식이섭취량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1), 그룹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탄수화물 섭취량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단백질 섭취량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방 섭취량은 PMDD그룹과 NPS그룹에 상관없이 주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월경주기에 따른 체중은 PMDD그룹과 NP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수분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그룹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지방량은 PMDD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그룹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의 식이섭취량, 혈당 및 체구성성분은 월경주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월경주기에 작용하는 변인과를 관련시켜 월경전증후군의 치료 또는 관리방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이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월경주기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염증지표의 변화: 예비 연구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Inflammatory 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 Pilot Study)

  • 박후섭;황수정;조민정;김도경;양선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77
    • /
    • 2012
  • 본 연구는 월경주기에 따른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예비연구로,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지고 있고 월경주기가 일정한 20대 여성 7명과 남성 3명을 대상으로 4주간 8회 추구조사를 하였다. 시진상 치주조직의 상태는 건강하므로 치은열구액 내 바이오마커의 변화를 기준 변수로 하여, 상악전치부 치은열구액 내 MMP-9과 MMP-8, IL-$1{\beta}$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모수 검정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여성대상자에서 월경시기, 배란추정시기에 각 염증지표들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변화정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2. 성별에 따른 각 염증지표들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MMP-9, MMP-8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IL-$1{\beta}$의 농도가 남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 3. 검사시점별 각 염증지표들의 상관관계는 강하거나 상당한 강한 양적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 배란추정 시기와 월경시기에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4. MMP-8과 IL-$1{\beta}$의 관계는 모든 검사시점에서 유의하였으나 MMP-9의 경우, MMP-8과 IL-$1{\beta}$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시점도 있었다. 따라서, 여성대상자도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정도가 남성대상자와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치주병 위험요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의 추구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검사지표 중에 MMP-8이 모든 시점에서 다른 지표와 유의하고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대표 바이오마커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여대생들의 비만지표와 신체활동량 차이에 따른 월경양상 및 월경통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hange of Menstrual Patterns and Dysmenorrhea According to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Activ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임은미;차지혜;김윤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6-170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change of menstrual patterns and dysmenorrhea according to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activ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From March 22nd to May 14th, 2010 we researched 1,407 women students at OO College by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ir menstruation, dysmenorrhea, obesity and physical activity. Results: 1. Triglyceride(TG) was decreased statistically in the regular group of menstrual cycle as compared with the irregular group. 2. Menstrual du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obesity indices. 3. Higher BMI was associated with more menstrual amount. 4. Dysmenorrhea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BMI. 5. Neither menstrual patterns nor dysmenorrhea were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but dysmenorrhea was decreased in minimally activ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f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on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activity. Obesity is related to menstruation and dysmenorrhea, but physical activity isn't related to them.

저소득층 여성의 스트레스와 월경의 실태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struation among Low-income Women)

  • 김현정;김윤상;임은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5-14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strual pattern among low-income women. Methods: From 5th October to 24th October 2009 we researched 14 low-income mothers by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ir stress and menstrual patterns. Results: The mean level of their stress was $6.71{\pm}2.92$. The less the income was, the higher the stress was. Among the women, the stress of those who do not had husbands was also high. Most of the women's menarche came late and their menstrual cycle was long. The menstrual color was a little dark and they had blood clots and pain during menstruation. Their mental states also often changed over the period and they had pattern of blood stasis. The study observ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was, the worse the menstrual pain was. Conclusion: Low-income women are under stress by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menstrual patterns often change. Stress has correlation with menstruation.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Case Report of 20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Patients due to Polycystic Ovarian Syndrome)

  • 이지현;정소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7-56
    • /
    • 2016
  • Objectives: We evaluated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in case of irregular menstruation (amenorrhea, oligomenorrhea) due to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Methods: 20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Patients with PCOS were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at least 3 months. We analyzed clinical data of 20 patients and checked effectiveness of treatment through the change of menstrual pattern.Results: After Korean medical treatment, Patients who complained menstrual irregularity due to PCOS were improved in menstrual condition. Among 14 amenorrhea patients, 12 patients (85.7%) started menstruation within 3 months. Among 6 Oligomenorrhea patients, 4 patients (66.7%) got better menstruation pattern than before.Conclusions: PCOS Patients who got Korean medical treatment showed better condition in menstruation pattern. Amenorrhea patients started menstruation without contraceptive pill and oligomenorrhea patients got better menstruation cycle.

Effect of Heated Red Bean Pillow Application for College Women with Dysmenorrhea

  • Kim, Jeung-Im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7-74
    • /
    • 2013
  • Purpose: Dysmenorrhea is a menstrual condition characterized by severe and frequent cramps and pain.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dysmenorrhea are not yet fully understood. This research compares the effects of pain killers and heated red bean pillows. Methods: Data were got on demographic data, menstrual cycle statu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limitations, dysmenorrhea severity and menstrual pain scores. Following a 10% drop-out rate, 44 young women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To prevent any bia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rom different campuses. We used two sizes of red bean pillows: $13{\times}11.5cm$, weighing 400g; and $15{\times}18cm$, weighing 220g. For analysis, we used IBM SPSS statistics 19.0. Results: Ninety-nine point seven percentage of total subjects reported moderate to severe dysmenorrhea and 63.6% reported as moderate to severe daily activities limitations. The mean pain score with visual analogue scale was $80.2{\pm}9.42$ of 100 and 86.4% used pain killers to alleviate menstrual discomfort in all the subjects. In both groups, all thre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nd the Moos'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DQ) scores changed significantly between menstrual and post-menstrual time point at within groups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premenstrual and menstrual time point at between groups. However, the MDQ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t post-menstruation time poin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red-bean pillows on the abdomen are effective in assisting the ADL and diminishing pain severity. With regard to its safety the study indicates it can be a convenient and safe option for female students with menstrual discomfort in schoolas a non-pharmacological self-help.

월경 주기에 따른 18F-FDG PET/CT에서 유방 섭취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Changes of Breast Uptake in Menstrual Cycle on 18F-FDG PET/CT)

  • 탁여진;박민수;이주영;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1호
    • /
    • pp.31-38
    • /
    • 2015
  • $^{18}F-FDG$ PET/CT는 당대사로 인한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섭취를 통해 암을 진단하는 유용한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FDG는 암세포와 염증성 질환에 높은 섭취를 보이나, 환자의 생리적 특성에 따라 정상세포에도 비정상적인 섭취를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여성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비정상적인 섭취는 미세한 유방 병변의 정확한 진단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FDG 섭취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대상은 부인과 병력이 없고 6개월 이상 규칙적인 월경 주기를 가진 160명의 여성($34{\pm}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문진과 Pregnancy Calculator 0.14.를 이용하여 월경기, 증식기, 배란기, 분비기로 나누어 각각 40명씩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PET/CT 장비는 Discovery STe(GE Healthcare, Milwaukee, Mi, USA)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월경 주기 별 유방의 SUV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핵의학 전문의 3명을 통해 Blind Test로 육안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유방의 SUV는 월경기($1.64{\pm}0.25$), 증식기($0.93{\pm}0.28$), 배란기($1.66{\pm}0.26$), 분비기($1.77{\pm}0.28$)로 나타났으며 분비기가 가장 높고 월경기와 배란기에서도 높은 섭취를 나타냈다(p<0.05). 또한 육안적 분석에서는 간과 폐의 집적에 대하여 유방의 집적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폐와 유사한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 폐와 간 중간 정도의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I), 간과 같거나 높은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II)로 구분하였으며, 육안적 평가에서도 분비기와 월경기에서 높은 섭취를 보였다(p<0.05). 가임기 여성은 월경 주기에 따라 유방의 18F-FDG 섭취 정도가 변화되며, 특히 미세한 유방 병변을 진단하는데 월경 주기의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전 문진을 통하여 가임기 여성의 정확한 월경 주기를 확인하고 적정한 시기를 유도하여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유방 질환에 대한 위음성 결과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