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fluidit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Dopamine.HCI on Structural Parameters of Bovine Brain Membranes

  • Bae, Moon-Kyoung;Huh, Min-Hoi;Lee, Seung-Woo;Kang, Hyun-Gu;Pyun, Jae-Ho;Kwak, Myeong-Hee;Jang, Hye-Ock;Yun, 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53-661
    • /
    • 2004
  • Fluorescence probes located in different membrane region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opamine$.$HCI on the structural parameters (transbilayer lateral mobility, annular lipid fluidity, protein distribution, and thickness of the lipid bilayer)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bovine cerebral cortex. An experimental procedure was used based on selective quenching of 1,3-di(1-pyrenyl)propane (Py-3-Py) by trinitrophenyl groups, and radiationless energy transfer from the tryptophan of membrane pro-teins to Py-3-Py and energy transfer from Py-3-Py monomers to 1-anilinonaphthalene-8-sulfonic acid (ANS) was also utilized. Dopamine$.$HCI increased both the bulk lateral mobility and annular lipid fluidity, and it had a greater fluidizing effect on the inner monolayer than on the outer monolayer. Furthermore, the drug had a clustering effect on membrane proteins.

trans 지방산 함유 지방이 콜레스테롤대사와 간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 Fatty acid containing Fats on Cholesterol Metabolism and Hepatic Membrane Fluidity in Rats)

  • 김찬희;원미숙;송영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69-779
    • /
    • 2002
  •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fast food 및 가공식품의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trans 지방산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유지중 trans 지방산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마가린, 버터의 장기간 섭취가 횐쥐의 콜레스테롤 대사와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옥수수유와 비교하여 trans 지방산 함유 식품의 생리기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유 직후의 흰쥐(S.D. male)를 trans 지방산 함량이 다른 마가린(25%)과 버터(8.5%), 옥수수유를 포함하는 식이로 각각 8주간 섭취시켜 사육한 결과, 체중증가와 1일 식이 섭취량은 식이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trans 지방산을 함유한 식이군(마가린, 버터)의 식이효율이 감소하였다. 혈장 지질 조성에서 중성지방 농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콜레스테롤 농도는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해 trans 지방산을 함유한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지단백 획분 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해 마가린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버터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버터 식이군이 다른 식이군에 비해 낮았으며 그 결과 버터 식이군의 동맥경화지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간 중성지방 함량은 마가린과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해 버터 식이군에서 낮았으며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옥수수유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다. 간 조직으로의 trans 지방산의 축적 정도는 마가린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간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버터와 마가린 식이군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trans 지방산을 함유한 마가린과 버터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배설되는 trans 지방산 함량은 마가린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다. 세포막 유동성은 옥수수유군에 비해 마가린과 버터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trans 지방산 함유 지방 섭취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trans 지방산의 섭취가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키고 HMG-CoA reductase 활성을 저하시켜 혈장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버터군에서 동맥경화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버터의 포화지방산, 특히 미리스틴산과 팔미트산의 높은 함량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마가린과 버터식이군의 세포막 유동성이 현저히 감소한 것은 세포막에서 trans 지방산이 포화지방산과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때문으로 풀이된다.

뇌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Brain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배승진;박시향;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2-698
    • /
    • 2003
  • 뇌 세포막 유동성의 촉진 및 LPO생성의 억제효과는 중풍 등 뇌혈관질환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성치매의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6,18]. 따라서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중의 세포막 유동성 (membrane fluidity :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용량의존적으로 MF가 증가효과가 나타났지만,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 획분에서만 약 10%의 유의적인 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의 mitochondria에서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9.2∼10.2% 및 17.1∼24.0%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crosomes에서 BOR 및 IOR의 생성은 EtOAc-50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11.6∼16.6% 및 12.1∼16.1%의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mitochondria 및 microsomes획분에서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각각 8.5∼12.0% 및 11.6∼18.5%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뇌조직의 두 획분에서 OP의 생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뇌조직에서 LF의 축적도 EtOAc획분의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나타났지만,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LP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현재의 투여농도에서는 OP 및 LF의 생성을 방지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백승진;박시향;김남주;최민경;조원기;김창목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84-691
    • /
    • 2003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체중으로서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획분의 세포막 유동성(membrane fluidity MF),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 LPO) 및 산화단백질(oxidized protein : OP), 그리고 리포푸신(lipofuscin : 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솔잎 EtOAc획분의 투여에 의하여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에서 어느 정도 MF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EtOAc-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획분에서만 인정되었다. 기초 및 유도활성산소로서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는 간장의 두 획분의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산소의 생성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mitochondria획 분에서 는 EtOAc-100투여그룹에서, 그리고 microsome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mitochondria 획분에서는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microsome 획분에서는 아무런 유의성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클로로포름층에서 측정한 LF의 축적은 EtOAc-25, EtOAc-50 및 EtOAc-100 투여그룹에서 다같이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평가하여 볼 때 솔잎 EtOAc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급원이 다른 식이 지방이 흰쥐의 적혈구 성상 및 Ca 함량에 미치는 영향 -참깨유, 들깨유, 미강유 중심으로- (The Changes of Erythrocyte Feature and Ca Concentration in Rat Fed the Diet Containing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 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524-531
    • /
    • 1993
  •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erythrocyte feature and Ca concentration in rat fed the diet containing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for different feeding periods(4 weeks or 12 weeks), using Korea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W-3/w-6 ratio of each group was 0.001, 1.44, 0.03 and 0.112, respectively. P/S ratio of each group was 9.64, 10.49, 5.58 and 1.68, respectively. Perilla oil(w-3 rich) increased w-3/w-6 ratio of erythrocyte membrane, decreased the amount of trapped Ca and inhibited the decrease of cell volu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maybe increase erythroyte fluidity and deformability, and affect erythrocyte function. In conclusion, w-3 rich perilla oil affects erythrocyte feature.

  • PDF

도라지 분획성분이 인지질막 Liposome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mbrane Fluidity of Bellflower(Platycodon grandiflorum A.) Fractions on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s)

  • 배송자;강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8
    • /
    • 2002
  • 세포막 유동성은 생체의 항상성 유지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기능으로서,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의 첨가로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열시차 열량분석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하였다. DPPC liposome에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 첨가시 첨가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서서히 상전이 온도가 저하되었고 thermogram도 넓어졌으며 이에 따라 협동 단위($\Delta$ $H_{vH}$ /$\Delta$ $H_{cal}$)수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라지 분획물의 첨가로 DPPC liposome의 유동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 되어진다. 시료의 각 용매별 분획물의 유동성 효과는 ethyl-ether 분획층인 PGMEE의 경우 상전이온도 Tm이 시료첨가 최고농도에서 DPPC liposome 만의 경우보다 4.3$^{\circ}C$가 저하되어 다른 분획물보다 그 정도가 두드러졌으며 그 순서는 hexane 분획층 PGMH, ethylacetate 분획층인 PGMEA 및 methanol 분획층 PGMM의 순이었으며 butanol 층인 PGMB는 그 효과가 미미하여 앞서의 열역학적 요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GMB를 제외한 시료의 각 분획물 성분 중 분자내 hydrophobicity가 큰 물질들이 DPPC liposome 이중층의 소수성부분에 더 깊숙히 침투됨으로써 인지질 liposome의 유동성을 증가시킨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도라지의 용매별 분획물의 막유동성 증가는 이온, 약물, 영양물의 흡수, 수송 및 교환등 생체막의 주요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막유동성을 증가시키는 도라지 분획물들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기대되어 진다.

흰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송엽(松葉) 추출물(PNE)의 영향 III. 뇌세포막의 유동성 및 신경전달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NE의 투여효과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Physilolgical Activity of SD Rats III. Feeding Effect of PNE on Fluidity and Neurotransmitter-Related Enztm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 최진호;김정화;김동우;황찬호;김대익;이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7-172
    • /
    • 1998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membrane fluidirt and neurotransmiter-related enzymes in brain of Spragu-Dawley(SD), male SD rats were fed basic diets (control group), and experimantal diets (PNE group)with 0.5% and 0.1% fo PNE for 6 weeks. pine (pinus tabulaeformis C$_{ARR}$ is one of the popular plant drugs which has used as a medicine in Asia. Cholesterol levels in brain mitochondria of 0.5%-PNE and 0.1%-PND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15% and 25%,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cholesterol levels in brain microsomes of these PNE groups howed almost no chan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ofuscin accumulations in brain membranes of 0.5%-PNE and 0.1%-PNE groups were sgnificantly inhibited in 18% and 21%,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rain memberance fluidity was also activated in 50% and 100% by the administration of 0.5%-PNE and 0.1%-PNE. higher acetylcholinesterase(15% and25%) and lower monoamine oxidase B (25% and 15%0 activities were effectively modul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0.5%-PNE and 0.1%-PN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beneficial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cholesterol and lipofuscin, increase of membrane fluidity, higher acetylcholinesterase and lower monoamone oxidase activiti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may be effectively modulated by administration of pine needle extract (PNE).

  • PDF

고들빼기 추출물이 인지질막 Liposome의 안정성 및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dulbaegi Extracts on the Stability and Fluidity of Phospholipid Liposomal Membranes)

  • 배송자;노승배;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08-517
    • /
    • 1998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odulbaegi extracts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membranes as membrane stability and fluidity employing the phospholipid liposomal membrances as a biomembrane-mimetic system. The addition of the godulbaegi extracts to the phospholipid exterted great effects stagbilized the barrier function of the liposomal membrane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the additive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embranes fluidity. The values of the fluorescence polarization of 1,6-diphenyl 1,3,5-hexatriene (DPH) decreased gradually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decreased abruptly near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m) of the liposome from gel to liquid crystalline state as usu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ities of the godulbaegi extracts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fluidity of the liposomal membranes have implication in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PDF

지방산 첨가가 리포좀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Fatty Acid on the Membrane Fluidity of Liposomes)

  • 이진선;지경엽;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77-1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스테아르산(SA), 올레산(OA), 리놀레산(LA) 등의 지방산이 지질 소포체 막과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지방산 종류 및 농도 변화에 따른 리포좀 평균 입자 크기 및 제타 전위, 리포좀 막의 deformability, fluorescence anisotropy ratio 등을 측정하고 TEM 관찰을 통하여 지방산 첨가가 리포좀 막의 유동성 변화에 미치는 역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SA, OA, LA 등의 지방산 첨가는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지방산을 첨가함에 따라 리포좀이 보다 치밀한 패킹을 갖게 되어서 리포좀의 크기는 감소하고 제타 전위 값은 증가하였으나, 지방산의 과도한 첨가는 리포좀에서 다형(polymorphic) 구조를 가지는 지질 입자 응집체로의 전이를 일으켰다. SA, OA 및 LA 지방산 시스템에서의 최소 리포좀 크기와 가장 치밀한 리포좀 패킹은 레시틴 대비 지방산의 몰 비율이 각각 0.70, 0.50, 0.25인 조건에서 관찰되었으며, 리포좀 막의 deformability와 fluorescence anisotropy ratio 측정에 의한 리포좀 막의 유동성 측정 결과는 TEM 및 입자 크기 측정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Ethanol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Neuronal Membranes

  • Bae, Moon-Kyoung;Jeong, Dong-Keun;Park, No-Soo;Lee, Cheol-Ho;Cho, Bong-Hye;Jang, Hye-Ock;Yun, Il
    • Molecules and Cells
    • /
    • 제19권3호
    • /
    • pp.356-364
    • /
    • 2005
  • Intramolecular excimer formation of 1,3-di(1-pyrenyl) propane(Py-3-Py) and fluorescence polarization of 1,6-diphenyl-1,3,5-hexatriene (DPH)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thanol on the rate and range of lateral and rotational mobilities of bulk bilayer structures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SPMVs) from the bovine cerebral cortex. Ethanol increased the excimer to monomer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I'/I) of Py-3-Py in the SPMVs. Selective quenching of both DPH and Py-3-Py by trinitrophenyl groups was used to examine the range of transbilayer asymmetric rotational mobility and the rate and range of transbilayer asymmetric lateral mobility of SPMVs. Ethanol increased the rotational and lateral mobility of the outer monolayer more than of the inner one. Thus ethanol has a selective fluidizing effect within the transbilayer domains of the SPMVs. Radiationless energy transfer from the tryptophans of membrane proteins to Py-3-Py was used to examine both the effect of ethanol on annular lipid fluidity and protein distribution in the SPMVs. Ethanol increased annular lipid fluidity and also caused membrane proteins to cluster. These effects on neuronal membranes may be responsible for some, though not all, of the general anesthetic actions of ethan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