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idi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1초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구조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고학룡;심기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99-50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aste soulble browning reaction prodcuts (WS-BRP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They all showed the maximum absorbances at near 280 nm. Their IR spectra suggested the presence of hydroxyl, amide carbonyl and aliphatic methine groups. From sugar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L and S-1 contained two kinds of suggar, glucose and xylose, and S-2, a fructose together with glucose and xylose. Thirteen different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L. Ten amino acids from S-1 and seven amino acids from S-2 were identified using Auto Amino Acid Analyzer. Glycine, serine and glutamic acid in S-1 and one unknown amino acid and glycine in S-2 were detected as the major amino acids, respectively. From the 1H-and 13C-NMR spectra, it was identified that a number of sugar moieties, carbonyl and carbon double bonds (only in S-2) were contained in the three WS-BRP components. Approximate number of sugar moiety of L, S-1 and S-2 was determined to be 8∼10, 9∼11 and 4∼5, respectively. Contents of nitrogen, carbon and hydrogen showed L>S-1>S-2.

  • PDF

FT-IR and X-Ray Diffraction Characterization of Melanoidins Formed from Glucose and Fructose with Amino Acid Enantiomers in the Maillard Reaction

  • Kim, Ji-Sang;Lee, You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46-551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metry and the X-ray diffraction (XRD) characterization of melanoidins formed from glucose and fructose with amino acid enantiomers in the Maillard reaction. Before dialysis, FT-IR spectroscopy of all the sample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 absorption intensities appeared as a broad and intense band of the stretching vibration of the -OH group at 3,400/cm for a high pH. The absorption bands of the melanoidins sharply decreased in intensity after dialysis as compared to those before dialysis. In particular, the absorption bands at 992 and 575/cm disappeared. The XRD confirmed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melanoidins disappeared after dialysis and a new crystal structure was formed at 9 and $28^{\circ}$ ($2{\theta}$. In particular, broad diffraction peaks were formed in the $10-21^{\circ}$ ($2{\theta}$) range for a high pH, while other sharp diffraction peaks disappeared.

간장과 어육장의 색도 및 갈색색소 패턴 (Chromaticity and Brown Pigment Patterns of Soy Sauce and UHYU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 Sauce)

  • 김지상;문갑순;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42-649
    • /
    • 2006
  • 본 연구는 전통적 방법으로 간장 및 어육장을 제조하고 담근 용기는 투명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숙성온도(4$^{\circ}C$, 20$^{\circ}C$)와 숙성 기간(360일)에 따라 색도 및 갈색색소의 패턴을 측정하여 간장과 어육장의 색소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pH는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났고 간장 5.52${\sim}$6.26, 어육장 5.11${\sim}$6.13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20$^{\circ}C$에서 어육장은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현저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42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시료 종류와 숙성 온도에 상관없이 숙성 기간 180일까지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흡광도는 간장 4$^{\circ}C$(240일), 어육장 20$^{\circ}C$(360일), 간장 20$^{\circ}C$와 어육장 4$^{\circ}C$의 경우 숙성 180일에 나타났다. 흡광도 400/500 nm에 대한 흡광 비율은 간장 4$^{\circ}C$(1.37${\sim}$5.29), 간장 20$^{\circ}C$(1.37${\sim}$5.02), 어육장 4$^{\circ}C$(1.37${\sim}$5.02), 어육장 20$^{\circ}C$(1.37${\sim}$4.32)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기간 증가에 따라 간장의 경우 비율이 일정하지 않았으나 어육장 20$^{\circ}C$는 300일까지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계 측정 결과 L값은 간장의 경우 숙성 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4$^{\circ}C$(240일), 20$^{\circ}C$(18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이후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어육장의 경우 4$^{\circ}C$(60일), 20$^{\circ}C$(360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값은 어육장 20$^{\circ}C$를 제외한 간장에서 숙성기간 120일까지 녹색도가 커졌으며, 특히 간장 20$^{\circ}C$, 어육장 4$^{\circ}C$는 120일 이후 녹색도가 작아지는 경향으로 모든 시료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적색보다는 녹색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b값은 간장 20$^{\circ}C$과 어육장 4$^{\circ}C$는 180일까지 증가하였으나 숙성 기간에 따른 b값은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UV-VIS Spectra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에 상관없이 220${\sim}$320 nm 부근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다. 간장 4$^{\circ}C$(240일), 20$^{\circ}C$(180일), 어육장 4$^{\circ}C$와 20$^{\circ}C$는 360일에서 가장 높은 최대흡수파장을 나타내었으며 220${\sim}$320 nm에서 완만한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model melanoidin의 특성은 간장 4$^{\circ}C$(240일), 20$^{\circ}C$(120${\sim}$300일), 어육장 4$^{\circ}C$(360일), 20$^{\circ}C$(240일)에서 나타나 어육장이 간장보다 melanoidin 형성 기간이 길며, 어육장 20$^{\circ}C$에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melanoidin 색소 특유의 패턴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aillard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유도체(2.4-DNPH)와 3DG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도체(2.4-DNPH)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14.36 mg), 20$^{\circ}C$(0${\sim}$11.76 mg), 어육장 4$^{\circ}C$(0${\sim}$12.48mg), 20$^{\circ}C$(0${\sim}$8.56 mg)으로 나타났으며 3DG 함량범위는 간장 4$^{\circ}C$(0${\sim}$5.65 mg%), 20$^{\circ}C$(0${\sim}$5.34 mg%), 어육장 4$^{\circ}C$(0${\sim}$3.74 mg%), 20$^{\circ}C$(0${\sim}$3.01 mg%)으로 어육장보다는 간장의 3DG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육장의 갈색 색소 형성이 간장의 갈색색소 형성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생리기능적 특성- 돌연변이원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Bio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Study on the Antimutagenic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 이종원;배영일;심기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118-121
    • /
    • 2001
  • 고려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생리기능적 특성 중 항돌연변이원성 및 아질산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성 갈변물질을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 98과 TA 100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투석내액과 투석외액 물질을 각각 400$\mu\textrm{g}$/$m\ell$을 첨가 했을시 L분획 61% 및 55%, S-1분획 56% 및 52% 그리고 S-2 분획 49% 및 45%로 억제하여 투석내액 갈변물질이 투석외액 갈변물질 보다 억제능이 높았다. 수용성 갈변물질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실험한 결과 L분획 38.7%, S-1분획 27.6% 그리고 S-2분획 15.9%로 억제하여 투석내액 갈변물질이 투석외액 갈변물질 보다 억제능이 높았다. 따라서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투석내액이 투석외액 물질보다 항돌연변이원성 및 아질산 소거능 조사에서 물질의 분자량이 높을 수록 억제능 증가되었다.

  • PDF

분말청국장에서 알코올로 추출한 물질의 항상화능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ookjang Powder)

  • 이재중;조창훈;김지연;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7-181
    • /
    • 2001
  • Bacillus licheniformis Bl을 이용하여 청국장발효를 거쳐 보존성이 높은 분말청국장을 제조하였다. 분말청국장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 중에서도 항산화물질의 존재여부와 그 효괴를 결정하였다. 분말청국장을 증류수로 추출하여, Sephadex G-75 Bel filtration chromatography 작업을 수행한 후, 390 nm에서 광범위한 분자량의 갈변물질을 검출 할 수 있었다. 1,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이용하여 갈변물질의 항산화도를 결정하였다. 분자량이 큰 갈변물질의 항산화도는 매우 약하였으나, 분자량이 작은 갈변물질에서는 10-20%의 항산화능이 결정되었다. 체내에서는 분자량이 작은 갈변물질의 흡수가 더 유리할 수 있다. 분말청국장의 항산화물질 추출에 ethanol을 이용했을때는 60.1%, methanol을 이용했을 때는 58.97%의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주어, 증류수로 추출했을 때에 비해 휠씬 효 율적이었다. 또한 분말컹국장을 ethanol 5%이상 되게끔 녹였을 때 항산화도가 가장 컸다. 본 분말청국장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은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는 데, 앞으로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식용류, 주류에 첨가하는 천연 항산화물질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Bacillus licheniformis B1에 의한 청국장 및 간장 발효 (Fermentation Patterns of Chungkookjang and Kanjang by Bacillus licheniformis B1)

  • 이재중;이동석;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6-301
    • /
    • 1999
  • 충남 아산시 호서대 주변 토양에서 Bacillus 균주를 분리하고, 생화학적 검사, VITEK, MIDI system을 이용해 Bacillus licheniformis B1으로 동정하였다. B. licheniformis B1은 amylase와 protease를 세포 외로 분비하였다. 본 균주를 증자 대두에 접종해서 청국장과 간장발효 과정을 추적하였다. 당과 아미노산의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갈변물질이, 청국장 발효에서는 초기에 비해 8배 이상, 간장에서는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청국장 발효에서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발효시작 하루만에 최대치에 이르렀다. 간장발효에서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발효시작 하루만에 50% 감소했으나 그 후로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는 데, 이는 salt의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청국장과 간장이 발효되면서, 증자대두에 존재하지 않던 안정된 고분자 핵산이 확인되었다. 호서대 주변 토양에서 분리한 B. licheniformis B1으로, 청국장과 간장발효를 연속적이면서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아울러 갈변물질과 핵산 기능성 물질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기능성 연구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및 Fe$^{2+}$ ADP/NADP system에서 항산화 활성 중심으로 (Function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2.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and Fe$^{2+}$ ADP/NAD system)

  • 이종원;손형옥;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00
  • 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linoleic acid, Ox-brain autoxidant, Fe$^{2+}$ ADP/NAD 및 cumene hydoperoxide 시스템에서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Linoleic acid :투석내액의 갈변물질보다 투석외액의 갈변물질 쪽에서 hydroperoxy radical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S-2의 산화저해율은 S-1, L시험구보다 적은 농도에서 저해율이 높았다. S-2의 산화저해율은 49,52, 62.44 및 97.5%로 나타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inoleic acid 산화저해율은 높았다. 2. Ox-brain autoxidant : 자동산화에의한 항산화활성을 조사한 결과, 투석내액의 갈변물질보다 투석외액의 갈변물질 쪽에서 자동산화에 의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S-2의 항산화 활성은 22.5, 31.7, 31.9 및 33.5%로 나타났다. 3. Fe$^{2+}$ ADP/NAD 및 cumene hydroperoxide : 횐쥐 간의 microsome 분획을 분리하여 수용성 갈변물질의 ADP/NABP 및 cumene hydroperoxide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반응 초기에 항산화 활성이 있으나, 반응 시간이 길수록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그 활성의 순서는 S-2>S-1>L순으로 나타났으나 항산화 활성의 강도는 전체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 PDF

보리차(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가 수산화인회석에 대한 우식유발성 세균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ED BARLEY TEA ON THE ADHESIVE PROPERTIES ON SALIVA-COATED HYDROXYAPATITE BEADS OF CARIOGENIC MUTANS STREPTOCOCCI)

  • 김영재;김종철;김각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8-624
    • /
    • 2002
  • 시판되는 보리차 3종(티백형 2종 알곡형 1종)이 우식유발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Streptococcus sobrinus가 타액피복 수산화인회석에 부착되는 정도와 이들 세균의 체표소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보리차로 처리하였을 때 수산화인회석에의 부착능과 세균의 체표소수성은 감소하였고 이 값은 보리차의 종류와 처리방법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차에 함유된 활성성분인 catechins와 melanoidins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보리차로 전 처리한 수산화인회석에 세균이 부착하는 정도가 감소한 것은 활성물질이 흡착되어 치아표면의 수용체가 세균의 부착소와 작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치아우식증 병인론의 초기 단계인 부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 보리차가 우식유발 세균의 주요 독력인자 중 하나인 부착능을 억제하므로 보리차가 이러한 세균이 일으키는 치아우식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Effects of Soybean Sauce and Pre-rigor Muscl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ozen Hanwoo Patties

  • Kim, Hyun-Wook;Choi, Ji-Hun;Choi, Yun-Sang;Han, Doo-Jeong;Kim, Hack-Youn;Lee, Mi-Ai;Kim, Si-You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6
    • /
    • 2011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frozen Hanwoo beef patties prepared from prerigor and post-rigor muscle with soybean sauce or sodium chloride. The pH of the soybean sauce treatments was lower than the sodium chloride treatments (p<0.05); however, the Hanwoo patty prepared from pre-rigor muscle with soybean sauce had a lower cooking loss and smaller diameter than the Hanwoo patty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from post-rigor muscle (p<0.05). The addition of the soybean sauce inhibited lipid oxidation due to the antioxidative materials in soybean sauce such as melanoidin. The hardness of patties prepared from pre-rigor treatment was lower relative to those prepared from post-rigor muscle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p>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patties prepared from pre-rigor muscle with soybean sauce had a significantly high score in all traits (p<0.05); thus, pre-rigor muscle with soybean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Furthermore, the addition of soybean sauce to pre-rigor muscle produced similar effects as those observed for the addition of sodium chloride in regards to psychochemical properties. Moreover, meat products produced from pre-rigor muscle will have better antioxidative and sensorial properties.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 1. DPPH의 수소공여능 및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중심으로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 1. DPPH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 이종원;도재호;심기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76-181
    • /
    • 1999
  • 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항산화 활성을 DPPH 수소공여능 및 hydrogen peroxide 시스템에서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DPPH 수소공여능 수용성 갈변물질 S-1, S-2는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L은 S-1, S-2보다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감소폭이 증가하였다. L의 경우 BHT, BHA $5{\times}10^{-4}M,\;{\alpha}-tocopherol\;1{\times}10^{-4}M$ 및 ascorbic acid $5.7{\times}10^{-3}M$ 보다 감소폭이 증가하였으나, S-1, S-2는 합성 항산화제와 감소폭이 비슷하였다. 2. Synergist 효과 L, S-1 및 S-2 와 상기의 합성 항산화제 농도와 시너지스트 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반응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감소폭이 증가하여 시너지스트 효과가 나타났다. 3.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수용성 갈변물질의 hydrgen peroxide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L은 $50\~80\%$, S-1은 $70\~100\%,$ S-1은 모든 첨가구에서 반응 초기부터 $100\%$로 완전히 소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