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genesis inhibition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19초

홍화자, 향부자, 형개 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igmenting Effect of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olia Extracts)

  • 황은영;김동희;황주영;김희정;박태순;이인선;손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6-8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가지 홍화자, 향부자, 형개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연구하였다. 멜라닌 생성 첫 단계인 tyrosinase 억제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홍화자 에탄올 추출물이 tyrosinase 활성과 B16F10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하였다. 그 결과, 홍화자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melanogenesis 따른 tyrosinase 형성 억제에 따른 멜라닌 합성 관련 인자 MITF, tyrosinase, TRP-1, TRP-2 의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홍화자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홍화자는 미백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재료로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열처리에 의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 (Changes i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cutellariae baicalensis by Heating)

  • 최명락;이진승;임현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81-1386
    • /
    • 2007
  • 황금에 대한 수 추출물의 열 변환에 의한 생리활성 변화를 보기 위하여 HPLC를 통한 peak분석과 기능성 평가를 하였다. 열처리 전의 시료 (CW)와 열처리 후의 시료 (CHW)간의 peak분석에서 CW와 CHW의 비교 시 A와 B가 없어지고 열처리 후에 C라는 다른 물질의 peak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기능성 평가에서 항산화성에서는 CW와 CHW 별 차이가 없었고, 항고혈압 활성은 CW가 높았다. 항암성에 있어서 폐암에서는 CW가 높았고, 위암, 간암, 후두암 등에는 CHW가 높게 나왔다. 그리고, 멜라닌 생성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는 CHW에서 약 8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열처리를 통한 시료 내 구성성분의 변환이 기능성 차이를 보여주며, 이는 새로운 열 변환 물질의 생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들 변화된 물질은 황금의 주성분인 Baicalin 외의 물질이 열 변환 된 것으로, 생성된 물질에 대한 구조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Nootkatol prevents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photoaging via ORAI1 and TRPV1 inhibition in melanocytes and keratinocytes

  • Woo, Joo Han;Nam, Da Yeong;Kim, Hyun Jong;Hong, Phan Thi Lam;Kim, Woo Kyung;Nam, Joo H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1호
    • /
    • pp.87-94
    • /
    • 2021
  • Skin photoaging occurs due to chronic exposure to solar ultraviolet radiation (UV), the main factor contributing to extrinsic skin aging. Clinical signs of photoaging include the formation of deep, coarse skin wrinkles and hyperpigmentation. Although melanogenesis and skin wrinkling occur in different skin cells and have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their initiation involves intracellular calcium signaling via calcium ion channels. The ORAI1 channel initiates melanogenesis in melanocytes, and the TRPV1 channel initiates MMP-1 production in keratinocytes in response to UV stimulation. We aimed to develop a drug that may simultaneously inhibit ORAI1 and TRPV1 activity to help prevent photoaging. We synthesized nootkatol, a chemical derivative of valencene. TRPV1 and ORAI1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whole-cell patch-clamp techniqu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i was measured using calcium-sensitive fluorescent dye (Fura-2 AM). UV-induced melanin formation and MMP-1 production were quantified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HaCaT cell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nootkatol (90 μM) reduced TRPV1 current by 94% ± 2% at -60 mV and ORAI1 current by 97% ± 1% at -120 mV. Intracellular calcium signaling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nootkatol in response to ORAI1 activation in human primary melanocytes (51.6% ± 0.98% at 100 μM). Additionally, UV-induced melanin synthesis was reduced by 76.38% ± 5.90%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UV-induced MMP-1 production was reduced by 59.33% ± 1.49% in HaCaT cells. In conclusion, nootkatol inhibits both TRPV1 and ORAI1 to prevent photoaging, and targeting ion channels may be a promising strategy for preventing photoaging.

포도송이가지 추출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에 대한 연구 (Studies on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 of Grape Fruit Stem Extract)

  • 최안나;이현서;김장호;조병옥;신재영;정승일;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1-78
    • /
    • 2017
  • Objectives : The various grape extracts derived from grape pulp, seed and skin, containing various type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have been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improve cardiovascular condition as well as sun's damaging effects. However, there have been rare reports of various beneficial effects of grape fruit stem extract (GFSE), one of the waste products of grapes.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GFSE. Methods : One-hundred gram of grape fruit stem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After filtration, the ethanol was removed using vacuum evaporator, then lyophilized to obtain the dry extract which was stored at $-20^{\circ}C$ until used. NO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Greiss reagent.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was measured by ELISA assay.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COX-2, TRP-1 and TRP-2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GFSE reduced the level of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Expressions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were also effectively inhibited by the GFSE. In a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GFSE significantly reduc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GFSE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known as a melanocyte-specific gene product involved in melanin synthesis. Conclusions :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FSE had powerful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effects.

Tyrosinase 발현 조절을 통한 마름열매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Water Chestnut Extracts on Melan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 김영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7-31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Trapa natans var. bispinosa 열매인 마름(water chestnut)의 anti-pigmentation 효능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유래 melanocytes인 B16F10세포에 마름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의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200 ㎍/mL 추출물을 처리시 100 ng/mL α-MSH를 처리한 대조군 (100%) 대비 43.26%로 멜라닌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합성에 주요한 단백질인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100 ng/mL α-MSH를 처리한 대조군(100%) 대비 tyrosinase의 활성은 23.65%, tyrosinase의 발현은 62.35%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마름 70% 에탄올 추출물은 α-MSH에 의한 melanin 생성을 방지하여 미백 기능성 소재로써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 이수민;이상진;권이영;백상훈;김종식;손호용;신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95-17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방 발효주 주박의 피부 생리 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준비하고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한방 발효주 주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KSD E4-3)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양한 약재의 발효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KSD E4-3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SD E4-3은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 분비하는 MMP-1, -2, -9의 발현을 억제하여 UV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방 발효주 주박에서 추출한 KSD E4-3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겨 유래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from Corn (Zea may L.) Bran on Melanogenesis)

  • 김미진;임경란;정택규;윤경섭;최상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9
    • /
    • 2009
  • 옥수수겨로부터 분리 정제한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 N,N'-dicoumaroylputrescine (DCP), N-p-coumaroyl-N'-feruloylputrescine (CFP), N,N'-diferuloylputrescine (DFP) 등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옥수수겨추출물은 이들을 각각 함유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천연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옥수수겨에서 유래한 화합물인,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유도체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활성을 알아보았다.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유도체들의 B16-F1 melanoma cells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여 CFP, DFP 50 ${\mu}g/$ mL에서 각각 44.7 ${\pm}$ 6.0 %, 58.5 ${\pm}$ 3.1 %의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은 각각 42.5 ${\pm}$ 14.6 %, 9.0 ${\pm}$ 4.4 %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옥수수겨 유래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들은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N-Linked Glycosylation 저해에 의한 닭의장풀 추출물의 미백효능 (Whitening Effect of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L.) Extract by Inhibition of N-Linked Glycosylation Process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이승현;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78
    • /
    • 2009
  •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Dayflower)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elanin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닭의장풀 추출물은 버섯 tyrosinase 활성 실험에서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melanin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활성시험 결과에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1,000 ${\mu}g/mL$의 농도에서 약 3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능도 우수하여 닭의장풀 추출물 250 ${\mu}/mL$ 이상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의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melanin 합성의 key protein 인 tyrosinase 발현의 우수한 저해 능력을 보였고,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발현 억제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N-glycosylatin 억제를 통해 melanin 합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melanin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tyrosinase, TRP-1)의 발현 저해 및 TRP-2의 N-glycosylation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추출물은 melanin 합성의 효소 경로를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이 멜라닌 생성억제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khwalkisaeng-tang on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nd Gene Express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오원교;김기병;임진영;이수경;권영달;염승룡;송용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75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Dokhwalkisaeng-tang(Duohujisheng-tang) in B16F10 melanoma cells. Dokhwalkisaeng-tang(DKT) was used to develop the effective prescription of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We determined inhibitory effects of DKT on melanin-release, melanin production, and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to explicate the action-mechanism of DKT, melanin-related gene expressions were determined using RT-PCR and real time RT PCR technique in B16F10 melanoma cells. DKT inhibited melanin-release,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considerably. DKT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F10 melanoma cells. DK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RP-2 in B16F10 melanoma cells. DK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KA, PKC, MMP-2 and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On the other hand, DK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ERK-1, ERK-2, AKT-1 in B16F10 melanoma cells.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DKT may have effect on the antimelanogenesis.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Effects of Ginsenoside Rb2 Isolated from Panax ginseng Berry

  • Lee, Dae Young;Jeong, Yong Tae;Jeong, Sang Chul;Lee, Mi Kyoung;Min, Jin Woo;Lee, Jae Won;Kim, Geum Soog;Lee, Seung Eun;Ahn, Young Sup;Kang, Hee Cheol;Kim, Jin 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011-2015
    • /
    • 2015
  • Ginsenoside Rb2 (Gin-Rb2) was purified from the fruit extract of Panax ginseng. Its chemical structure was measured by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HR-FAB-MS, 1H-NMR, and IR spectroscopy. Gin-Rb2 decreased potent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with 23.4% at 80 μM without cytotoxicity. Gin-Rb2 also decreased tyrosinase and MITF protein expression in melan-a cells. Furthermore, Gin-Rb2 presented inhibition of the body pigmentation in the zebrafish in vivo system and reduc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Gin-Rb2 isolated from P. ginseng may be an effective skin-whitening agent via the in vitro and in vivo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