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synthesis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31초

시호소간산가감방(柴胡疎肝散加減方)이 멜라닌 생성 및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hosogansangagambang (SS) on Melanin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 김주영;임현정;신선미;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5-109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Sihosogansangagambang (SS)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B16F10). Methods: The inhibitory effects of Sihosogansangagambang on melanin synthesis were used by in vitro assay. To elucidate inhibitory effects of SS on melanin synthesis, we determined the melanin release in B16F10. An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inhibitory effect of SS, we assessed the gen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TRP-2 and ERK-1 in B16F10. Results: 1. SS decreased the release of melanin in B16F10 melanoma cells. 2. SS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3. S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2 in B16F10 melanoma cells, but did not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RP-1 in B16F10 melanoma cells. 4. S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ERK-1 in B16F10 melanoma cell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suggested that SS is possesed of the antimelanogenetic effects.

B16 흑색종세포에서 싸이클로스포린 A에 의한 멜라닌 합성 촉진효과에 미치는 칼슘-활성 염소 통로의 역할 (Role of Ca2+-activated Cl- Channels in the Stimulation of Melanin Synthesis Induced by Cyclosporin A in B16 Melanoma Cells)

  • 이용수
    • 약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177-183
    • /
    • 2015
  • The mechanism of melanogenesis induced by cyclosporin A (CsA) was investigated in B16 melanoma cells. CsA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melani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cells. In addition, CsA increased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in a dose-related fashion. Treatment with BAPTA/AM, an intracellular $Ca^{2+}$ chelator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sA-induced intracellular melanin synthesis. CsA profoundly induced $Cl^-$ efflux, which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niflumic acid (NFA) and flufenamic acid (FFA), specific and nonspecific inhibitors of $Ca^{2+}$-activated $Cl^-$ channels (CaCC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se inhibitors of CaCC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sA-induced stimulation of melanin synthe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CaCC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sA-induced stimulation of melanin synthesis in B16 cells. Thes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CaCCs may be a good target for the management of hyperpigmentation of the skin reported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CsA.

The inhibitory effect of egg white lysosome extract (LOE) on melanogenesis through ERK and MITF regulation

  • Park, Jung Eun;Hwang, Hyung Se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2호
    • /
    • pp.93-99
    • /
    • 2022
  • Lysosome organelle extract (LOE) was derived from egg whites. The lysosome is an intracellular organelle that contains several hydrolysis enzyme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LOE performs important functions, such as melanin de-colorization and anti-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However, its principal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have not been elucidated till date. In non-cytotoxic conditions, LOE significantly inhibited α-MSH induced melanin synthesis of murine B16F10 cells. The anti-melanogenic activity of LOE was mediated by suppressing the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enzyme, tyrosinase related protein-1/2 (TRP-1/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genes. By performing western blot analysis, we found that LOE significantly attenuated melanogenesis. In this case, LOE helped in increasing extracellular receptor kinase (ERK) phosphorylation in α-MSH induced B16F10 cells. Furthermore, MITF is found to be a key regul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melanin synthesis; it was down-regulated by LOE through ERK phosphorylation. In this experiment, PD98059 (MEK inhibitor) was used to check whether LOE directly regulated the activity of ERK. Although LOE exerted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synthesis, we could not observe this effect in PD98059-treated α-MSH induced B16F10.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LOE is related to ERK activation and MITF degradation in anti-skin pigmentation. Hence, LOE should be utilized as a whitening agent of skin in the near future.

백강잠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nd Whitening Effect of Bombysis Corpus)

  • 오한철;임규상;황충연;윤인환;김남권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
    • /
    • 2007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whitening effect of Bombysis Corpus on melanin synthesis. Methods : The whitening effects of Bombysis Corpus were examined by in vitro melanin production assay. We assessed inhibitory effects of Bombysis Corpus on melanin-release from B16F10, on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on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effect of Bombysis Corpus on the expression tyrosinase, TRP-1, PKA, ERK-1 ERK-2, AKT-1, MITF in B16F10. Results : 1. Bombysis Corpus inhibited melanin-release,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2. Bombysis Corpu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F10. 3.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in B16F10. 4.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KA in B16F10. 5.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ERK-1, ERK-2, AKT-1 in B16F10. 6.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ITF in B16F10. Conclusion : The study shows that Bombysis Corpus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on the melanogenesis.

  • PDF

곡물과 적하수오를 혼합한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Mixed with Grains and Fallopia multiflora on Melanogenesis)

  • 이은빈;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1-46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흑모 성장과 관련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흑미, 흑임자, 현미, 서목태 및 적하수오의 에탄올 추출혼합물의 melanin 합성에 대한 효능을 조사한 것이다. 흑모가 백모로 변화되는 원인으로 $H_2O_2$가 모낭 주위에 축적되어 melanin 합성이 저하되어 백모가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MIXEE는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력과 활성산소에 대한 환원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내 $H_2O_2$ 수준을 감소시켰는데, 이러한 결과는 MIXEE는 산화를 억제하여 $H_2O_2$에 의하여 감소된 melanin 합성을 촉진 시킬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한편 in vitro에서 MIXEE는 tyrosinase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L-dopa에서 melanin 합성을 촉진하였다. 더욱이, B16F1세포에서 MIXEE는 melanin 생성을 세포수준에서 촉진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에서 MIXEE는 SOD-2 및 SOD-3. 특히 DOPA에서 melanin 이 생성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TRP-2 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MIXEE가 백발화과정을 가역화시키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melanin 생성을 촉진하는 하나의 약학 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바나나 껍질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Positive Effect of Musa paradisiaca Peel Ethanolic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 김재련;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02-810
    • /
    • 2018
  •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몸의 변화로 검은 머리가 흰 머리로 변하는 백발화, 과산화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생성되는 검버섯, 주름 등으로 나타난다. 멜라닌은 tyrosine에서 DOPA를 거쳐 산화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로 인체 내에 존재하는 머리카락 및 피부 색을 결정한다. 이러한 멜라닌은 melanocyte에서 합성되며, 활성산소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되면 노화를 일으킨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합성에 대한 바나나 껍질 추출물(MPEE)의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MPEE는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와 reducing power assay를 수행한 결과, 두 실험 모두 양성대조군인 vitamin C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실험에 앞서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B16F1 세포에서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MPEE는 $32{\mu}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PEE는 invitro에서 tyrosinase 활성과 DOPA-oxidation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더욱이, $H_2O_2$로 세포를 노화시켜 L-DOPA 실험을 수행한 결과, MPEE는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단백질 수준의 발현을 위한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한 결과, TRP-1, TPR-2와 SOD-2의 발현 수준은 MPEE의 존재 하에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MPEE가 항산화 소재로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Effects of Kojic acid, Arbutin and Vitamin C on cell viabil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BL6 cells

  • Park, Yumi;Lee, Jongsung;Park, Junho;Eunsun Jung;Park, Deokhoo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63-173
    • /
    • 2003
  • Research objective:To exactly evaluate their functions of kojic acid, arbutin and vitamin C as a whitening agent, we performed experiments to compare their abilities to inhibit melanin synthesis. Experimental methods and techniques: The effects of kojic acid, arbutin and vitamin C on cell viability and melanin synthesis were evaluated by the level of melanin content and the number of viable cells upon treatment of them.

  • PDF

The effects of some natural products on mouse melanoma cells in vitro

  • Cha, Eun-Jung;Kim, An-Ke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21.1-321.1
    • /
    • 2002
  • To indentify inhibitors of melanogenesis. we compared the effect of some natural products on mushroom tyrosinase. human melanocytic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The cytotoxicity of the component were also tested on cultured mouse melanoma cells, Each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vitro and B 16 melanoma cell lines. In B 16 cell lines, watermelon's inner shell extract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s strong as kojic acid at 150${\um}g$/${\mu}\ell$ concentration. And morning glory'seed extract inhibited melanin synthesis more than kojic acid at 150${\um}g$/${\mu}\ell$ concentration. Each extract were strong inhibitors of tyrosinase activity and total melanin synthesis in B 16 mouse melanoma cell lines at less than 100${\um}g$/${\mu}\ell$ concetration. These result show that extract of watermelon's inner shell. lettuce. morning glory's seed and licorice root could be developed as skin whitening component of cosmetics.

  • PDF

백복령 주정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억제를 통한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of Poria cocas Ethanol Extract by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 박혜정;권은정;김문무;이경록;홍일;이도경;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5-490
    • /
    • 2014
  • 백복령(Poria cocas)은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지금까지 melanin 합성에 대한 백복령의 직접적인 효과는 과학적으로 잘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백복령 주정 추출물(PCEE)의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기 위해, 쥐의 B16F1 세포를 이용하여 DOPA synthesis assay, tyrosinase activity assay, Western blotting for melanogenic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and TRP-2]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PCEE가 3,4-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OPA)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록 tyrosinase의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TRP-1 과 TRP-2의 단백질 발현 수준은 PCEE에 의해 조절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PCEE가 미백 효능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품 개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삼백초 추출물이 항산화활성과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 정소미;박혜정;김재호;오영희;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51-859
    • /
    • 2020
  • 뿌리, 잎, 꽃이 하얀색인 삼백초는 항균 활성 및 항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CEA의 항산화 활성과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SCEA를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증류수로 분획 하였다. 용매 분획 중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64 ㎍/ml의 SCEA는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62%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 시험에서 64 ㎍/ml의 SCEA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타민 C보다 33% 더 낮은 감소력을 보였다. Tyrosinase 활성은 공시험군에 비해 64 ㎍/ml의 SCEA 처리군에서 26% 증가했다. 또한, 64 ㎍/ml의 SCEA는 Dopa 산화력 분석에서 공시험군과 비교하여 44%의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MTT 분석 결과 SCEA는 0.5 ㎍/ml 이상의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 1 ㎍/ml의 SCEA는 멜라닌 합성을 살아있는 세포에서 69% 증가시켰다. 또한 SCEA 분획을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13 개의 분획으로 분리 하였다. 특히, Fr. 2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멜라닌 합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SCEA는 살아있는 세포인 B16F1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켰다. LC-MASS는 Fr. 2의 분자량이 239임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SCEA가 멜라닌 합성 촉진과 관련된 천연흑모 모발화장품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