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in contents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1초

복령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Poria cocos Bark Extract on Melanogenesis)

  • 이응지;배성윤;손락호;이용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50
    • /
    • 2009
  • 천연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복령피 추출물과 복령피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복령피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free radical 소거능(DPPH)과 superoxide radicals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_{50}=19.4{\pm}2.21{\mu}g$/mL, $IC_{50}=103{\pm}3.33{\mu}g$/mL을 나타내었다. $50{\mu}g$/mL 농도에서 B16 melanoma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34 % 저해 하였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50{\mu}g$/mL 농도의 복령피 추출물을 72 h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51 % 억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복령피 추출물의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1H$-NMR, $^{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triterpene류의 3-$\beta$-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로 동정되었고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3-$\beta$-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의 free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radicals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_{50}=4.3{\pm}0.15{\mu}g$/mL, $IC_{50}=54{\pm}1.67{\mu}g$/mL을 나타내었다. $10{\mu}g$/mL 농도에서 세포내 tyrosinase의 활성을 43 % 저해 하였으며, 멜라닌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IC_{50}=3.6{\mu}g$/mL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RP-2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복령피 추출물과 3-$\beta$-hydroxylanosta-7,9(11),24-trien-4-oic acid는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광곽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Pogostemon cablin Bentham Extract on Melanogenesis)

  • 배성윤;이응지;손락호;이용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39
    • /
    • 2009
  • 본 연구는 천연 미백소재 개발을 위하여 광곽향 추출물과 광곽향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광곽향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free radical 소거능(DPPH)과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_{50}=24.2{\pm}2.85{\mu}g/mL$, $IC_{50}=118{\pm}0.43{\mu}g/mL$을 나타내었다. B16 melanoma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20{\mu}g/mL$ 농도의 광곽향 추출물을 72 h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멜라닌 억제율이 23 %로 나타났으며, $50{\mu}g/mL$ 농도에서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18 % 저해하였다. 이러한 광곽향 추출물의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1}H$-NMR, $^{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sesquiterpene 계열의 활성물질인 patchouli alcohol으로 동정되었고, patchouli alcohol의 free radical 소거능과 superoxide radical 소거능 결과는 각각 $IC_{50}=3.14{\pm}0.12{\mu}g/mL$, $IC_{50}=49{\pm}3.24{\mu}g/mL$을 나타내었다. 또한 멜라닌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IC_{50}=3.9{\mu}g/mL$으로 나타났으며, $10{\mu}g/mL$ 농도에서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40 % 저해하였다.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단백질의 발현 감소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광곽향 추출물과 patchouli alcohol은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용성 아크릴 변성 알키드 수지의 합성과 물성 2. MA 및 TMPTA 공중합체에 의한 변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crylic-Modified Water-Reducible Alkyd Resin 2. Modification by MA and TMPTA Graft Copolymerization)

  • 조영호;강기준;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98-705
    • /
    • 1994
  • Linseed oil fatty acid(LOFA), phthalic anhydride(PAA) 및 maleic anhydride(MA), trimethylol propane(TMP)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유장(oil length) 50%의 중유성 기본 알키드를 합성하고 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TMPTA)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수지의 산가는 MA 첨가량으로 제어하였으며, 수용화에는 N,N-dimethylethanol amine(DMEA)를 사용하였다. TMPTA의 첨가량 변화에 의한 분자량, 유리 전이온도, 수용화 후의 점성도 및 그라프트율을 측정하였으며, 가교도막의 경화온도별 겔분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멜라민 수지 경화 도막의 내열성, 내자외선성, 내수성 및 저장 안정성을 측정하고,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의 물성과 비교하였다. TMPT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용화 후의 점성도, 겔분율, 그라프트율 및 분자량이 증가하였으며, 유리 전이온도(Tg)는 감소하였다. 고형분 함량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고형분 30%일 때보다 40%일 때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중화도에 따른 점성도 변화는 중화도가 높을수록 낮은 점성도를 나타내썼다. 내열성, 내자외선성, 내수성은 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가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보다 우수하였으나, 저장 안정성은 TMA/TMPTA 변성 알키드 수지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육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어피 부산물의 활용을 위한 Cosmeceutical 활성 평가 (Evaluation of Cosmeceutical Properties of Fish Skin By-product Hydrolysates Collected During Surimi Manufacturing Process)

  • 오재영;이효근;제준건;왕뢰;김현수;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7-307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smetic effects of enzymatic hydrolytes of an aquatic by-product, fish skin. The ski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PO) and Alaska pollock Gadus chalcogrammus (AP) were hydrolyzed using pepsin, Alcalase, and Protemax. Three enzymatic hydrolytes were obtained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hydrolytes on the aging-related enzymes tyrosinase, elastase, and collagenase were deter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psin hydrolytes of PO and PA had stronger activities than the other hydrolytes. PO and PA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in and improved the viability of H2O2-treated Vero cells; decreased nitric oxide production by and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lipopolysaccharide-treated RAW 264.7 cells; and re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and improved the viability of ultraviolet B irradiated HaCaT cell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Furthermore, PO and PA remarkably reduced the intra- and extracellular melanin contents of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B16F10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O and PA have potential for use in the cosmetic industry.

THE STUDY ON TISSUE CULTURED WILD MOUNTAI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ADVENTITIOUS ROOTS EXTRACT AS A COSMETIC INGREDIENT

  • Jung, Eun-Joo;Park, Jong-Wan;Kim, Joong-Hoi;Paek, Kee-Yoeup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11-616
    • /
    • 2003
  •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known as a oriental miracle drug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Ginseng has been used for geriatric, tonic, stomachic, and aphrodisiac treatments for thousands years. Also, it is an antibiotic and has therapeutic properties against stress and cancer. Ginseng is widely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Among them, Korean mountain ginseng has the most valuable effect on pharmaceuticals. The roots of mountain ginseng contained several kinds of ginsenosides that have many active functions for the human body. However, the study of mountain ginseng has a limit because the mountain ginseng is very expensive and rare. So, we artificially cultured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using the bioreactor culture system. We induced callus from original mountain ginseng, directly dug up in mountain and aged about one hundred ten years. Separated adventitious roots were precultured in 500ml conical flasks and then, transferred in 20L bioreactors. The adventitious roots of mountain ginseng were harvested after culturing for 40days, dried and then,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effect, anti-wrinkle effect and the safety of tissue cultured adventitious roots extract of mountain ginseng in order to identify the merit as a cosmetic ingredient. Particularly, extract of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showed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The inhibitory effect of this extract on the melanogenesis was examined using B-16 melanoma cell. When B-16 melanoma cells were cultured with adventitious root extract, there was a dramatically decrease in melanin contents of 8-16 melanoma cell. And we identified this extract inhibited Dopa auto-oxidation significantly. Also, when transformed mouse fibroblast L929 cells were treated with this extrac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llagen synthesi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inhibited melanization and wrinkle without inhibiting cell viability.

  • PDF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multiflora Ethanol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 Jo, Ha Neul;Kim, Hyun Woo;So, Yangkang;Yoo, Byoung Wan;Kim, Ji Hyo;Lee, Tae Bu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18
  • The Rosa multiflora, a well-known plant belonging to Rosacea, is widely used in orthodox medicine in worldwide.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y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have not yet been studied. Accordingly, an investig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trributes was performed on a 50%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were analyzed. Also, th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PLC. The melanogenesis regulatory effect was evaluated using melanin content an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for anti-wrinkle effe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enoted by the $SC_{50}$ value was found to be $123.1{\mu}g/ml$, whereas that of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was $27.5{\mu}g/mL$.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202 mg/g and 86.77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astragalin and gall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 Also,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cells. For anti-wrinkle effec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53.2%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observed to be 0.5 - 5%, and no significant activity was noted against C. albicans. Therefore, the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can be used effectively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 PDF

B16F10 멜라닌 세포에서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ractions from Glycine soja Siebold et Zucc.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김보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1-2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 티로시나제 발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콩 분획 추출물 0.125, 0.25, 0.5, 2.0 mg/mL 농도에서 82% 이상의 높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을 처리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약콩의 EtOAc 분획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티로시나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콩 분획 추출물이 멜라닌생합성과 관련되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옻나무 추출물 첨가에 따른 영지버섯의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 증대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Enhancement of Ganodermanondiol and Anti-melanogenesis Effect of Ganoderma lucidum by Rhus verniciflua Extract Supplementation)

  • 정용운;김홍일;김종현;박영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65-371
    • /
    • 2017
  • 본 연구는 옻나무 추출물의 첨가가 영지버섯 미백활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옻나무 열수 추출물을 1, 5, 10, 15%의 비율로 영지버섯 균사발효 시 첨가하고 발효 균사 추출물의 HPLC분석을 수행한 결과,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옻나무 열수 추출물이 첨가되어 발효된 영지 균사 추출물의 B16F10 세포주에 대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한 결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MTT분석을 통해 B16F10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옻나무 추출물이 영지버섯균사의 미백활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을 촉진하여 향후 옻나무 추출물 첨가 영지버섯균사 발효 추출물이 효과적인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Hyssopus officinalis Extracts)

  • 신서연;김하늘;강세원;조홍석;김은지;박선화;박경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5-201
    • /
    • 2016
  • 히솝(Hyssopus officinalis)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방부제, 기침, 거담제 등 일반적으로 방향족 허브와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미백소재의 개발을 위해 히솝을 열수와 주정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in vitro 상에서의 항산화 효과 및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assay 시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히솝 추출물은 tyrosianse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B16F10 세포에서 UVB로 증가된 활성산소와 ${\alpha}$-MSH로 유도된 멜라닌 또한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한 결과 히솝 추출물에 의해 MITF, tyrosinase, TRP-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히솝 추출물은 미백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