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inal soybea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해동방법에 따른 냉동매실의 품질특성 변화 (O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according to Thawing Method)

  • 권대준;김미향;이난희;권오준;손동화;최웅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6-432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maesil according to thawing methods. The quality of maesil thawed in microwave oven was superior to those thaw in refrigerating temperature(5 $^{\circ}$) and in room temperature(25 $^{\circ}$). Drip loss of maesil thawed in microwave oven was 3.2${\pm}$0.2%. The total content of free sugars of maesil was 426.6 mg%, and 3% of them was decreased during thawing in microwave oven. The total content of organic acids was 5,297.2 mg%, and 2.5% of them was decreased during thawing in microwave oven.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was 281.4 mg%, and 2.1% of them was decreased during thawing in microwave oven. The principle ingredients of frozen maesil was stand for the lost contents of free sugar and a content loss of free organic acid and free amino acid were the fewest by thawing. Antioxidant effect for soybean oil and linoleic acid of maesil extract were expressd POV and TBA values. Antioxidative activity of fresh maesil extract was highest followed by maesil thawed in microwave oven, thawed in refreezing temperature (5$^{\circ}$)and room temperature (25$^{\circ}$)

두충잎 추출물 처리농도가 콩나물의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 Concentration 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김희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20
    • /
    • 2005
  • 생장조절제가 아닌 천연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세근형성과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세근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두충잎 추출물의 처리농도(0, 5, 10%)가 콩나물 (풍산나물콩, 소원콩, 준저리)의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농도를 5%에서 10%로 증가할 경우 하배축 길이가 7 cm 이상의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하배축 길이가 7 cm이상의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에 비하여 준저리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7 cm이상의 비율과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2. 세근형성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에서 처리효과가 미미한 반면, 준저리에서는 10%의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아주 낮았다. 한편 개체당 세근수는 공시품종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소원콩,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적어졌다. 3. 콩나물의 전체 길이는 차이가 없었던 풍산나물콩과 소원콩보다는 준저리에서 짧았으며, 공시품종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배축 직경은 품종간 반응에서 이와 유사하였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4. 개체당 전체생체중은 주로 하배축 생체중의 증가로 소원콩에서 가장 많았으며,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적어졌다. 전체생체중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하배축 생체중의 감소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다양한 항생제 대체제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조직 중량, 장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 of Various Antibiotics Alternatives on Performance, Organ Weight, Cecal Microflora,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s)

  • 홍의철;김동욱;강환구;박기태;전진주;김현수;박성복;김찬호;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3-122
    • /
    • 2017
  • 본 연구는 항생제 대체제(유산균, 약용식물 추출물, 허브 추출물)가 Salmonella gallinarum(SG)에 대하여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5주령 육계(Ross) 100수를 공시하였으며, 평균 체중($2,512{\pm}4.3g$)에 해당하는 개체를 처리당 20수씩 선발하고, 10수씩 나누어 배치하였다. 시험처리는 항생제 무첨가구(NC)와 항생제 첨가구(PC)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유산균 0.1% 첨가구(LB), 약용식물 추출물 100 ppm 첨가구(MPE) 및 허브 추출물 100 ppm 첨가구(HE)를 처리구로 두었다. 배치 후 1주 동안 시험사료를 급여하고, 이후 SG를 음수 내 $1.0{\times}10^6cfu/L$로 첨가하여 경구투여하고 2주간 사육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 대두박을 기초로 대사에너지 3,100 kcal/kg, 조단백질 함량 20%가 되도록 배합하였다. SG 공격접종 시종료 체중 및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면에, 유산균, 약용식물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 첨가 급여 시육계의 생산성은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SG 공격접종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감소되었다(P<0.05). SG를 공격접종한 경우, coliform bacteria와 Salmonella 수가 증가하였으나(P<0.05), 유산균 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산균 첨가 급여 시 장내 유산균 수는 무항생제 및 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SG 공격접종 시간, 비장 및 F낭의 상대적 중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공격접종 후 4일차에 WBC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다. Coliform bacteria와 Salmonella 수, 조직 중량, WBC의 수에 대한 유산균, 약용식물 추출물 및 허브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유산균이나 식물 추출물은 항생제 대체제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이들의 복합사용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분말의 영양소 및 생리활성물질 분석 (Analysis of Nutrition and Antioxidants of Yak-Kong Chungkukjang Powder Added Black Foods)

  • 공현주;박현숙;김태훈;신승렬;홍주연;양경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27-1735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분말, 약콩청국장분말, 그리고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분말의 일반성분과 영양소 및 항산화 물질을 분석 비교하여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관리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랙푸드가 첨가된 청국장분말의 in vivo 실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두와 약콩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유리당 중 sucrose, fructose, glucose, maltose 함량이 높았다. 또한 수용성과 조단백질 함량은 P<0.05 수준에서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높았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두청국장에 비해서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대두청국장이 가장 높았으나 약콩청국장에서는 Zn, Cr, Mn이,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는 Fe의 함량이 높았다. Isoflavone 중 diadzein 함량은 약콩청국장에서 가장 높았으나, genistein과 anthocyanin 함량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및 영양적 특성에서 대두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이 유리당과 뇌조직의 구성과 기능에 필요한 수용성 및 단백질 함량과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력으로 보고되고 있는 diadzein, genistein 그리고 anthocyani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 및 치료기전으로 보고되고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조절에 대한 in vivo 실험에 블랙푸드청국장분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body weight and fiber sources on fiber digestibility and short 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 in growing pigs

  • Zhao, Jinbiao;Liu, Xuzhou;Zhang, Yi;Liu, Ling;Wang, Junjun;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2호
    • /
    • pp.1975-1984
    • /
    • 2020
  •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ody weight (BW) and fiber sources on nutrient digestibility, fiber fermentation and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concentration in different intestinal segments of growing pigs fed high-fiber diets. Methods: Nine barrows with initial BW of 25.17±0.73 kg and 9 barrows with initial BW of 63.47±2.18 kg were allotted to a duplicate 9×2 Youden Square design with 3 dietary treatments and 2 period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formulated with 3 different high-fiber ingredients: corn bran, sugar beet pulp, and soybean hulls, respectively. Each diet was fed to 3 barrows with different stage of BW in each perio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of most nutrients between pigs at different BW stages. Pigs at 60 kg had greater (p<0.05)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total dietary fiber (TDF), soluble dietary fiber (SDF) and insoluble dietary fiber (IDF), and had greater (p<0.05) hindgut disappearance of IDF and cellulose than pigs at 25 kg. The acetate, propionate and total SCFA concentrations in ileal digesta and feces of pigs at 60 kg were greater (p<0.05) than those of pigs at 25 kg. In addition, fiber sources affected (p<0.05) the AID of gross energy (GE), organic matter (OM), ether extract (EE), crude protein, SDF and hemicellulose, the hindgut disappearance and ATTD of dietary fiber components, the lactate and propionate concentrations in ileal digesta and the butyrate, valerate and total SCFA concentrations in feces. There were interactions (p<0.05) between BW and fiber sources on the AID of GE, OM, EE, SDF, hemicellulose, the ATTD of EE, TDF, and IDF, and the hindgut disappearance of SDF and hemicellulose. Conclusion: Increasing BW mainly improved the digestibility of dietary fiber fractions, and the dietary fiber sources influenced the digestibility of almost all the dietary nutrients in growing pigs.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유 및 비막치어(Dissostichus eleginoides) 근육지질이 흰쥐의 혈청지질 및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friendly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and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Muscle Oils on the Serum Lipids and Adipose Tissues of Rats)

  • 문수경;이수정;성낙주;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45-75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oil on the serum lipids and adipose tissue weight of rats. The rats in the soybean oil (SO) group received a basic diet prepare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IN-93G), with 7% SO as lipid source. The rats in the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muscle oil (PTFO) group received 5% PTFO and 2% SO as the lipid source, while the rats in the eco-friendly squid liver oil (EFSO) group received 5% EFSO and 2% SO. EFSO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utlined in the author's patent. PTFO was extracted from muscle using a physical method in the author's laboratory. The prominen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dietary oils were 18:2n-6 (54.3%) and 18:3n-3 (5.64%) in SO, DHA (6.77%) and EPA (3.61%) in PTFO, and DHA (26.2%) and EPA (9.94%) in EFSO. After feeding for 4 weeks, the serum lipid levels (e.g.,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f the rats in the EFSO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SO group (P<0.05); those of the rats in the PTFO group were also reduced, albeit not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SO group. On the other hand, the total white adipose tissue (visceral, epididymal, and perirenal)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FSO and PTFO groups compared to the SO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FSO is an effective lipid modifying agent in rat blood, and that EFSO and PTFO have greater anti-obesity effects than SO.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 증상 개선에 미치는 한약재 첨가 청국장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Herbal Medicine-added Cheonggugjang extract on Improvement of the Symptom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조창숙;김소영;최문열;김미형;고경아;김미려;서부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9-57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diabetic effects of chunggugjang with medicinal herbal complex (CJ)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animal models. Method : STZ (65 mg/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induce diabetes. Then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 NG (normal diet + 0.9% saline), COS (STZ +saline 5 mL/kg), COB (STZ + fermented soybean(100 mg/kg), CJ 100/200 (STZ+CJ(100 and 200 mg/kg), CJ 300/600 (STZ+CJ(300 and 600 mg/kg). 4 weeks late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After sacrificing rats, serum levels of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alanine amino transferase (ALT), total cholesterol (TC), and triglyceride (TG) were measured and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Result : Body weight change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water intake. Serum levels of glucose, AST, ALT and BUN were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Also, TG, TC, and creatinine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According to OGTT, 120 minutes postprandial glucose levels were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S group. In addition, administration of CJ extracts restored histopathological damag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CJ can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diabetes treatment as it has the effect to improve pathological symptom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성충의 예찰을 위한 최적 성유인제 조성 (Optimal Composition of Sex Attractant for Monitoring Adults of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in Korea)

  • 정충렬;부경생;배순도;한경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7-83
    • /
    • 2022
  • 본 연구는 담배거세미나방 국내 개체군의 예찰에 필요한 성유인제의 최적 조성을 찾기 위해 수행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암컷 성충에서 알려진 두 성페로몬 성분인 (Z,E)-9,11-tetradecadienyl acetate, (Z,E)-9,12-tetradecadienyl acetate를 5.5 ~ 10.0 및 9:1 ~ 99.1, 9:1 ~ 39:1 비율 사이에 여러 조성으로 만들어 고무격막 방출제에 담아 펀넬트랩을 이용하여 콩과 땅콩포장에서 수컷 성충에 대한 유인력을 비교한 결과, 두 성분의 19:1 비율이 가장 적절한 유인 조성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Z9E11-14:Ac 단독 성분 미끼에는 수컷 성충이 거의 유인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담배거세미나방 성충 예찰용의 성유인제 구성에는 두 성페로몬 화합물이 반드시 필요한 성분임을 나타낸다. 미끼에 담긴 성페로몬은 0.1 ~10 mg 사이에서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인된 수가 많았다. 적절한 트랩 설치 높이는 1.5 m로 결정하였다.

식물성 기름의 혼합을 통한 지방산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Properties by Blending of Vegetable Oils)

  • 이태성;이영화;김광수;김욱;김관수;장영석;박광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4-632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illus coagulans NRR1207이 생산하는 α-galactosidase에 의한 대두박 비소화성분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Non-digestible Components of Soybean Meal by α-Galactosidase from Bacillus coagulans NRR1207)

  • 라석한;렌친핸드;박민길;김완섭;백승희;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47-135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전통약용식물(구기자, 오미자 잎)의 발효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coagulanse NRR1207의 발효 특성을 파악하고 Bacillus coagulans NRR1207의 ${\alpha}$-galactosidase의 활성과 이를 통한 대두박의 비소화성분의 분해를 확인하였다. Bacillus coagulans NRR1207이 생산하는 효소 중 ${\alpha}$-galactosidase, ${\beta}$-galactosidase, ${\alpha}$-glucosidase가 가장 높은 40 nmol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Bacillus coagulans NRR1207의 발효 특성은 10% skim milk에서 배양했을 때, pH는 급속히 감소했고 적정 산도는 1.9%까지 증가했고 생균수도 발효 24시간에 8.8 log CFU/ml로 증가했다. 유당은 배양 72시간째 완전히 고갈되었고 유산 생산 능력도 탁월했다. Bacillus coagulans NRR1207을 대두박에 접종 후 배양시간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는 배양 시작 시 7.6 log CFU/ml, 배양 16시간에 최고에 도달하여 9.0 log CFU/ml이었고 배양 72시간에 8.3 log CFU/ml로 Bacillus coagulans NRR1207이 왕성하게 잘 성장하였다. 대두박의 비소화성분 분해는 Bacillus coagulans NRR1207 접종 후 발효 24, 48, 72시간이 경과하면서 이 균이 생산한 ${\alpha}$-galactosidase에 의해 비소화성분인 stachyose와 raffinose가 대부분 분해되고 galactose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Bacillus coagulans NRR1207은 대두박의 비소화성분을 분해하는 생균제(Probiotics)로써 이용하여 식품 및 가축 사료 이용성 증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