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staff

검색결과 906건 처리시간 0.026초

환자 의료정보 접근을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uthentication Service Model Based Context-Awareness for Accessing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 함규성;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99-107
    • /
    • 2021
  • 최근 유비쿼터스 기반의 의료 및 헬스케어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상황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의료정보시스템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식 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에서는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상황을 정상 또는 응급으로 판별이 가능하며, 또한 의료진은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ID와 Password를 이용한 간단한 사용자인증이후 환자정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인증서비스 및 환자정보접근서비스는 의료진 중심의 시스템이며, 유비쿼터스 기반의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해 기존 의료진 중심의 인증과는 달리 상황정보 중심의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은 센서들을 통해 환자상황을 인식하여 환자상황에 의하여 의료진의 인증방식 및 권한부여를 다르게 진행하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상황정보 측정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웨어러블 및 생체데이터측정모듈, 카메라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환자상황이 응급상황일 경우, 의료정보서버는 담당의료진의 스마트기기에 응급메시지를 전송하고, 응급메시지를 받은 담당의료진은 환자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증을 시도한다. 모든 인증이 완료되면 의료진은 상위등급 의료정보 접근권한을 부여받아 정상상황에서 볼 수 없었던 환자 의료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상황인식 기반의 인증서비스 모델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의료정보시스템 환경을 충분히 고려할 뿐만 아니라, 환자중심의 시스템적인 보안 및 접근투명성을 강화하였다.

한방의료기관평가에 대한 한방의료기관 근무자의 인지도 (A Study on Cognition of Oriental Medical Hospital Employees on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 전현숙;정상혁;유승흠;정우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4-122
    • /
    • 2008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assessment of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under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System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and alternative measures for assessment of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researcher sampled 320 people employed by 26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designated as model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subject to assessment in 2008 and 2009 and thereupon, used a structured and open-ended survey table for them to collect the data. The size of the final sample was n=302. Results: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staff were highly aware of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OMIA), After adjusting the other factors by multiple regression, the factors affecting such recognition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those in their 30's), types of job (nurses and treatment assistants) and locations of hospital (GyeongSang-do). The staff expected the OMIA could helpful for improving facilities and system of hospitals, thus promoting satisfaction of patients. To do so, they fel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reflecting the special conditions besetting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indices for improvement of Oriental medical service quality.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comparatively analyz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staff'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before and after its operation and thereby, suggest some ideal policy alternatives for assessment of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Furthermore, future studies are requested to research into Oriental medical institution staff's needs and consumers' needs as wel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medical institutions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continued educati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s, methods and policies.

  • PDF

의료인의 의료 행위 경험을 위한 정맥 수액 요법용 의료 소모품 키트 디자인 (The Medical Supplies KIT Design based on the Intravenous Fluid Therapy for Experience of Medical Staff)

  • 이혜민;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21-128
    • /
    • 2019
  • 의료 서비스는 환자 뿐 만 아니라 의료 행위의 주체인 의료진에게도 제공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에스노그라피를 통해,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의료인들의 행태를 살펴보고 처치를 위한 물리적인 의료 행위 중 가장 많은 빈도로 수행하는 행위를 도출하였다. 특히,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의료인의 침습 의료 행위 시, 인지하는 행위의 중요성과 수행과정의 니즈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진의 신속한 물리적 의료 행위와 환자와의 관계를 위한 심리적 의료 행위를 포함하는 4가지의 경험적 가치 요소를 정의하였다. 정맥 수액 요법용 의료 소모품 키트 디자인 제안과 함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디자인 요소를 검증하였다. 의료 소모품의 키트화는 처치 전체 과정에 있어 준비 및 폐기 과정을 간소화함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힐 수 있다.

일부지역 119 구급대와 사설이송기관의 이송 서비스 이용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Realities and Satisfaction with Transport Services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and Private Transport Agent in Some Areas)

  • 박상섭;박재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5
    • /
    • 2008
  • Purpose : Centering on users(patients) who are offered the patient transport service by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in our country, the use and satisfaction are analyzed with the transport service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and Private transport agent. Results : 1. As for personnel in ambulance cars, 119 emergency staff showed a higher boarding rate of the first-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an private transportation centers : 48.4% and 17.7%, respectively. 2. Private transportation centers showed higher user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service than 119 emergency staff,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s for the case that needs to receive the transport service in the future, the ratio with the will to us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70.9%) was indicated to be much higher than the ratio of the private transport agent(29.1%). Suggestions : First, Centers transporting first-aid patients should essentially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first-clas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s professional emergency medical staff to reinforce qualitative improvement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119 emergency staff. Third, the government or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positively support and guide the private transport agent, which is in charge of the public medical service.

  • PDF

Effectiveness of a Training Program Based on Stress Management on NEDSA Staff and Line Staff

  • Azad, Esfandiar;Hassanvand, Bagher;Eskandari, Mohs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2호
    • /
    • pp.235-239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 based on job stress management in NEDSA and line staff. Methods: The study method of this study was quantitative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From the statistical population (all employees of the NEDSA and line staff in 2020-2021), 30 of these people were selected by judgmental sampling method and consider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participants were first matched based on age and education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irst, pre-test was taken from both groups (Job Stress Questionnaire).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a job stress management training package and no protocol was presented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essions, post-test was received from both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After two months, a follow-up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were entered into SPSS-24 software and analyzed.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showed high effectiveness of the job stress management package (researcher-ma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b stress management training package showed 67.5% effectiveness and also the training effect of job stress management training was stable for two months (follow-up).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raining program based on stress management can be effective in military staff.

국내 종합병원의 병상규모에 따른 의료자원 분석 (Analysis of Medical Resources according to number of beds in Korean General Hospitals)

  • 조준영;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7-35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general hospitals as an expanded concept of medical resources including medical staff and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for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scale and establishment of facility guidelines at the planning stage of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general hospitals. The status of medical resources was based on the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beds, doctors, nursing grades and major medical equipment were surveyed in 335 general hospitals. Results: 1) The characteristic of general hospitals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inpatient beds. To be concret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edical staffs and equipments in general hospitals based on 300 500 800 1,000 beds. 2) As the number of hospital beds increases, the number of medical staff increases more than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remain constant, even when the number of bed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medical staff increased about 1.5 times in each level. Implications: Architectural plans for medical staff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beds. In particular, architectural planning and facility guideline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based on 300 and 500 beds.

A Study on Finding Emergency Conditions for Automatic Authentication Applying Big Data Processing and AI Mechanism o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 Ham, Gyu-Sung;Kang, Mingoo;Joo, Su-Ch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8호
    • /
    • pp.2772-2786
    • /
    • 2022
  • We had researched an automatic authentication-supported medical information platform[6]. The proposed automatic authentication consists of user authentication and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and the authentication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patients' emergency conditions. In this paper, we studied on finding emergency conditions for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by applying big data processing and AI mechanism on the extended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with an added edge computing system. We used big data processing, SVM, and 1-Dimension CNN of AI mechanism to find emergency conditions as authentication means considering patients' underlying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arrhythmia. To quickly determine a patient's emergency conditions, we placed edge computing at the end of the platform. The medical information server derives patients' emergency conditions decision values using big data processing and AI mechanism and transmits the values to an edge node. If the edge node determines the patient emergency conditions, the edge node notifies the emergency conditions to the medical information server. The medical server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to the patient's charge medical staff. The medical staff performs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fter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medical staff can access the patient's upper medical information that was not seen in the normal condition.

지능형 의료 정보 제공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플랫폼 (A Mu1ti-Agent Platform for Providing Intelligent Medical Information)

  • 최원기;김일곤
    • 지능정보연구
    • /
    • 제7권1호
    • /
    • pp.123-133
    • /
    • 2001
  • 의료 정보 시스템은 많은 지식과 의료 인력과의 연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활용 영역으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의료 정보 제공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능형 의료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FIPA(Foundation for Intelligent Physical Agent)가 제안하는 에이전트 플랫폼 모델을 따르고 있다. 윈도우 기반에서 컴포넌트 활용을 위해 COM(Common Object Model)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인코딩된 ACL(Agent Communication Language)을 메시지 교환에 이용하고 있다. 치료 영역의 특성상 의료 전문 인력과의 연계가 아주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의료 인력을 하나의 휴먼 에이전트로 개념화하여 시스템에 연결하고,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와 휴먼 에이전트들이 지식을 공유하기에 적합한 물리적 기반을 제공하여 지능형 의료 정보 서비스를 용이하게 한다.

  • PDF

상급종합병원 서비스디자인 적용 단일 사례연구 -권역응급의료센터의 환자와 의료진 경험 데이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in a tertiary care hospital - Focusing on patient and Medical staff experience data at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

  • 최정민;안진호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3-130
    • /
    • 2023
  • 본 연구는 환자와 의료진의 경험을 중심으로 상급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단일 사례 연구이다.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 경험을 측정 및 개선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자와 의료진으로부터 심층적인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민족지학(ethnography)과 디자인 워크숍을 중심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응급 의료 서비스에서 직면한 문제에 특히 중점을 두고 환자와 의료진 간의 주요 경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센터 환경의 복잡한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환자와 의료진 인터뷰, 디자인씽킹 워크숍을 통해 수집된 정성 데이터를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디자인에 반영했다.연구 결과, 환자와 의료진의 요구를 반영한 디자인 현황을 3가지 주요 측면인 소통 개선, 환자 흐름 관리,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환자와 의료진 두 그룹의 특정 요구 사항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디자인 주도의 실행 과정을 적용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의료 분야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론적인 연구와 실제 디자인 실행 간의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더욱 빠르고 효과적이며 만족도가 높은 의료 서비스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디자인이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만족을 위한 새로운 혁신 과정의 핵심으로 보는 새로운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EHR System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개선된 RBAC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vanced RBAC Model for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EHR(Electronic Health Record))

  • 안은경;김병훈;이동휘;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9-58
    • /
    • 2009
  •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개인건강정보는 진료를 위해 의료진의 정보열람이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의 불필요한 노출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이 있어 민감하게 취급되어야 하며,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사용자들이라 할지라도 접근에 있어 역할에 따른 제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진과 그 이외의 직원들 간의 사용자 식별을 통한 개인건강정보의 접근 통제뿐만 아니라 업무에 따른 조건을 추가하여 사용자 직종 내에서도 상황에 따른 접근 통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응급상황, 담당과 여부에 따른 접근 통제, 그리고 환자가 정하는 본인의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포함하여 확장된 개념의 역할기반 접근제어를 합으로써 의료기관내에서 환자의 개인건강정보의 불필요한 접근이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