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modalit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능동적 미디어를 통한 시각 미디어 적응 변환 시스템 구현 (Realization of visual Media Adaptation System for Active Media)

  • 이재욱;정용주;;노용만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423-142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컨텐츠에 접근하고 소비 할 수 있는 포괄적인 솔루션을 갖는 시각 미디어의 능동적인 적응 변환 시스템 구현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능동적 미디어는 PDA, PC, Mobile phone, HDTV둥과 같은 다양한 기기들과 사용자 특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미디어가 능동적으로 적응변환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능동적 미디어 적응변환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미디어 양식 변환(Modality Conversion), 시각 정보 적응변환, 그리고 세션정보를 이용한 적응변환과 같은 주요한 특징을 갖는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결과를 통해 이러한 주요한 특징들이 제안된 적응변환 시스템 프레임워크 내에서 잘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다른 여러 적응변환 서비스를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 PDF

백남준의 오디오비주얼아트 연구 : 음악적 공감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udiovisual Art of Nam June Paik with Focus on Musical Synesthesia)

  • 윤지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603-614
    • /
    • 2020
  • Analyzing various works of Nam June Paik who pioneered the world of video art, we can find a number of audiovisual art pieces - in a broad sense -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 that are not clearly identified as one genre. Especially, his career as a musician becomes an important clue for us to discuss the unique originality found in Paik's works. Nevertheless, examples of research that specifically explore how Paik's musicality is reflected in his artistry and could be deeply understood is still rare. This article examines Paik's audiovisual art world, and reviews how his musicality is express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form, as well as contributed to the ultimate technical and aesthetic realizations of his pieces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al synesthesia. The fact that Paik expanded the concept of music through technology, and fused different media to visualize music, is an important achievement in the context of aesthetic, synesthetic music in the field of audiovisual art.

개에서 비뇨기계 질환의 진단영상 (Diagnostic Imaging of Urological Diseases in Dogs)

  • 장동우;정주현;장진회;정우조;원성준;이기창;최호정;이희천;윤화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9-464
    • /
    • 2001
  • Excretory urography is a procedure where opacification of the kidneys, renal pelvic diverticula, ureters, and urinary bladder is a result of renal excretion of an intravenously administered iodinated contrast agent providing both anatomical and functional assessment. And ultrasonography is a non-invasive modality to evaluate the important anatom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size, shape, and internal architecture of kidney even in the presence of impaired renal function or abdominal fluid. We describe four dogs with urological signs diagnosed with excretory urography and ultrasonography. Parients showed a variety of clinical signs including vomiting, hematuria, anorexia, abdominal pain, and abdominal distension. The hydronephrosis was diagnosed in case 1, 2, and 3 that had pelvic dilation, dilation of pelvic recesses, ureteral dilation. In case 3, proximal ureteral rupture was diagnosed with evidence of contrast media leakage was seen in proximal ureter. In case 4, the rupture of urinary bladder was diagnosed with leakage of contrast media through its ventral portion.

  • PDF

데이터방송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방송 서비스 기획 가이드라인 (A Data Broadcasting Service Design Guideline based on the Survey on Viewer's Modality of Using Data Broadcasting Services)

  • 고광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32
    • /
    • 2012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탄생하게 된 디지털방송은 기존 영상 중심의 방송 콘텐츠뿐만 아니라 게임, 날씨정보, 증권거래 등의 다양한 데이터방송 서비스 (디지털TV 상에 운용되는 응용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멀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을 포함한 대부분의 데이터방송 서비스들이 리모컨 조작의 불편함과 시청자의 한정적인 시간을 대상으로 방송 콘텐츠와의 경쟁으로 인해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TV가 게임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인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활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방송 서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형식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방송 서비스 이용의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청자의 시청활동을 저해하지 않고 방송 콘텐츠와의 경쟁도를 낮추는 데이터방송 서비스 기획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흉부질환의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horacic Disease)

  • 송군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345-352
    • /
    • 1993
  • The role of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thoracic disease has been limited Nontheless, MR has inherent properties of better contrast resolution than CT allowing tissue-specific diagnosis. MR has capability of direct imaging in sagittal, coronal, and oblique planes which provide better anatomic information than axial images of CT such as lesions in the pulmonary apex, aorticopulmonary window, peridiaphragmatic region, and subcarinal region. MR is sensitive to blood flow making it an ideal imaging modality for the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system of the thorax without the need for intravenous contrast media. Technical developments and better control of motion artifacts have resulted in improved image quality,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MR imaging in thoracic diseases have been expanded. Although MR imaging is considered as a problem-solving tool in patients with equivocal CT findings, MR should be used as the primary imaging modality in the following situations: 1) Evaluation of the cardiovascular abnormalities of the thorax 2) Evaluation of the superior sulcus tumors 3) Evaluation of the chest wall invasion or mediastinal invasion by tumor 4) Evaluation of the posterior mediastinal mass, especially neurogenic tumor 5) Differentiation of fibrosis and residual or recurrent tumor, especially in lymphoma 6) Evaluation of brachial plexopathy With technical developments and fast scan capabilities, clinical indications for MR imaging in thorax will increase in the area of pulmonary parenchymal and pulmonary vascular imaging.

  • PDF

Development of Scent Display and Its Authoring Tool

  • Kim, Jeong Do;Choi, Ji Hoon;Lim, Seung Ju;Park, Sung Dae;Kim, Jung Ju;Ahn, Chung Hyun
    • ETRI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88-9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authoring tool and a corresponding device for an olfactory display that can augment the immersion and reality in broadcasting services. The developed authoring tool allows an olfactory display to be properly synchronized with the existing video service by applying the standardized format using ISO/IEC 23005 (MPEG-V) and the corresponding developed scent display device. To propose the proper data format for the olfactory display, we have analyzed both the multimodal combination and the cross-modality related to the olfactory displa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erived a set of olfactory parameters for the olfactory display that are related to emotion. The analyzed parameters related to emotion in an olfactory display are synchronization, scent intensity, scent persistence, and hedonic tone. These parameters should be controlled so that the olfactory display can be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media to augment emotion. In addition, we developed a 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generate many kinds of scents and that satisfies design conditions for olfactory parameters that are for use with broadcasting services.

W3C 기반 상호연동 가능한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 (W3C based Interoperable Multimodal Communicator)

  • 박대민;권대혁;최진혁;이인재;최해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0-152
    • /
    • 2015
  • 최근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양방향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연구를 위해 인간의 의사소통 체계와 유사한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모달리티라고 부르며, 다양한 단말기 및 서비스 환경에 따라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모달리티를 활용하는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에는 각각의 모달리티가 갖는 정보 형식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호 연동이 어려우며 상호 보완적인 성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EMMA(Extensible Multimodal Annotation Markup language)와 MMI(Multimodal Interaction Framework)표준에 기반하여 복수의 모달리티를 상호연동할 수 있는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를 제안한다.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는 W3C 표준에 포함된 MC(Modality Component), IM(Interaction Manager), PC(Presentation Component)로 구성되며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설계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모달리티의 수용 및 확장이 용이하다. 실험에서는 시선 추적과 동작 인식 모달리티를 이용하여 지도 탐색 시나리오에 멀티모달 커뮤니케이터를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메시지 조절목표와 메시지 형식 간 적합성이 메시지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 (The Persuasive Impact of Fit between Message Goals(Promotion vs. Prevention) and Modality of Message on Social Media)

  • 김동후;송영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04-621
    • /
    • 2021
  •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소셜미디어의 성장은 소비자가 영양학적 선택과 건강한 음식 소비를 하는 데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역시 증가시켰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에서 건강한 식습관과 관련한 메시지 목표(향상 vs. 예방)와 메시지 형식(텍스트 vs. 이미지)이 메시지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향상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들은 소셜미디어 메시지 형식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예방메시지에 노출된 참가자들은 텍스트 (vs. 이미지) 형식의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메시지에 대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해당 메시지에 대해 더 높은 클릭 의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 상 건강메시지의 형식과 메시지 목표의 적합성이 메시지 효과에 영향을 미침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다. 더불어 효과적인 건강메시지 작성 및 전달 방식에 대한 실무적 지침 역시 제공하리라 예상한다.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평가 요소 분석 -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평가에 관한 연구 (2) (Analyzing evaluation factors of multimedia interface design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ultimedia interface design (2))

  • 이지수;임창영;권은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53-160
    • /
    • 1998
  •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제반 요소들 가운데 사용자,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간에 교환되는 내용이나 지식, 그리고 양자를 연결하는 매체가 주요 축이 되고 이들간의 접점에서 디자인 해결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중 사용자는 가장 중요한 디자인 영향요소인데 멀티미디어의 다중양식의 특성에서 볼 때 인지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디자인 평가의 주요 원리로 삼았다. 매체는 정보전달의 전체 과정 중에서 다양한 수준의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 구분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매체들의 정보 전달 시 나타나는 특징, 표현방법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의 체계적 분석은 평가 및 디자인 개발의 주요한 대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를 내용, 매체, 표현요소의 복합체로 보고 이의 체계화된 하부요소들을 파악하여 일련의 디자인 원리에 부합되는지를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체계화하였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특징과 정보 전달 효과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디자인 개발과 연계시킴으로써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통합적 시스템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PDF

PVDF Dynamic Tactile Event Sensor for Ubiquitous Computing

  • Kim, Tae-Hee;Park, Mi-Keu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67-780
    • /
    • 2004
  • Interaction requires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the environment is implied. Tactile interaction has so far been less addressed, while tactile sensation should be an important topic in the field of multimedia study. This paper describes development of a novel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dynamic tactile sensor and associated experiments. PVDF dynamic tactile sensors detect touch events applied to the sensor skin by low frequency components of the signal. Rubber skin-covered sensing material was mounted on the bones. Robust performance with low noise was figured out in our robotic experiment. Whereas most conventional sensors are interested in measurement, our dynamic tactile sensor is sensitive to change of state, which could be a key for economic understanding of happenings in the dynamic world. We note that dynamic sensing uses motion as a part of sensing modality We suggest that dynamic sensing be understood in technological terms in the perspective of interactive media and ubiquitous compu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