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type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3초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species from poultry slaughterhouses in South Korea: carry-over transmission of Salmonella Thompson ST292 in slaughtering process

  • Yewon Cheong;Jun Bong Lee;Se Kye Kim;Jang Won Yo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39.1-39.11
    • /
    • 2024
  • Importance: Salmonella outbreaks linked to poultry meat have been reported continuously worldwide. Therefore, Salmonella contamination of poultry meats in slaughterhouses is one of the critical control points for reducing disease outbreaks in humans.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arry-over contamination of Salmonella species through the entire slaughtering process in South Korea. Methods: From 2018 to 2019, 1,09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nine slaughterhouses distributed nationwide. One hundred and seventeen isolates of Salmonella species were identified using the invA gen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as described previously. The serotype, phylogeny,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isolates were examined. Results: Among the 117 isolates, 93 were serotyped into Salmonella Mbandaka (n = 36 isolates, 30.8%), Salmonella Thompson (n = 33, 28.2%), and Salmonella Infantis (n = 24, 20.5%). Interestingly, allelic profiling showed that all S. Mbandaka isolates belonged to the lineage of the sequence type (ST) 413, whereas all S. Thompson isolates were ST292. Moreover, almost all S. Thompson isolates (97.0%, 32/33 isolates) belonging to ST292 were multidrug-resistant and possessed the major virulence genes whose products are required for full virulence. Both serotypes were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slaughtering process. Pulsed-field gel electrophoret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ven S. Infantis showed 100% identities in their phylogenetic relatedness, indicating that they were sequentially transmitted along the slaughtering processes. Conclusions and Relevance: This study provides more evidence of the carry-over transmission of Salmonella species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es. ST292 S. Thompson is a potential pathogenic clone of Salmonella species possibly associated with foodborne outbreaks in South Korea.

돼지 성장 및 육질 형질에 영향하는 종료웅돈의 효과 (Estimation of Terminal Sire Effect on Swine Growth and Meat Quality Traits)

  • 김효선;김병우;김희열;임현태;양한술;이정일;주영국;도창희;주선태;전진태;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61-17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이 인정된 모돈 F1(YL)에 종료웅돈(Terminal Sire)으로 Duroc종 이외에 생산성 저하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최종 종료웅돈(Terminal Sire) Berkshire종과 Berkshire×Duroc(F1)을 YL(♀) 교배시켜 생산된 비육돈(YLD, YLB, YLBD)의 성장과 육질을 비교 분석 하였다. 성장형질에서는 YL(♀)×BD(♂)가 YL(♀)×D(♂)보다 우수하였으며, 조사된 성장형질 전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육질에서도 pH, 보수력, 육색이 다른 비육돈 보다 유의적으로(p<0.05) 우수하였고, 돼지 육질의 표준이 되는 등심조지방 함량에서 YL(♀)×BD(♂)가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교배조합별 육색에서는 YL(♀)×BD(♂)가 대체로 명도와 적색도가 높았으며,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형질에서는 YL(♀)×BD(♂)가 비교 대상의 교배조합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육질에서도 YL(♀)×D(♂) 보다 좋거나 같아 비육돈 교배조합(YLBD)으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경우 경남 첨단양돈연구소의 계통조성이 완료된 American Berkshire종을 이용하여 경남의 경우 경남 첨단양돈연구소를 활용하여 별도의 비용이 없이 YLBD를 생산이 가능하겠으나, 다른 지역의 경우 Berkshire의 계통 조성하여 활용할 경우 기존의 종료웅돈 Duroc종을 계통 조성하는 비용만큼 더 소요될 것이라 사료된다.

경남지역 일부 인문계 및 전문계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식습관, 영양지식 및 건강관련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between Academic and Specialized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 김성란;김성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05-416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ietary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students by high school type using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586 male students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S); 294,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S); 292) in Jinju, Gyeongnam. The frequencies of eating breakfast and snacks were higher in AS than in SS (p<0.05), whereas the frequency of drinking was higher in SS than in AS (p<0.05). The main reason for skipping breakfast was 'poor appetite' in AS (45.2%) and 'lack of time' in SS (56.5%) (p<0.05). Favorite snacks included 'pizza, hamburger' (33.0%) and 'bread, noddle, ramyun' (31.0%) in AS as well as 'pizza, hamburger' (32.5%) and 'fruit, fruit juice' (26.0%) in SS. A mean of 56.2% of students ate an unbalanced diet, and the main reason was 'untasty' (47.2%).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higher in SS than in AS (p<0.05), and the main menu while eating out was 'Korean food' in AS (96.3%) and SS (90.3%). The frequency of 'meat, fish, egg, beans' was higher in AS than in SS (p<0.05).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ies of 'fruit, fruit juices' (p<0.05), 'milk, milk products' (p<0.01), 'seaweeds' (p<0.05), 'instant foods' (p<0.001) and 'soda and ion drinks' (p<0.001) were higher in SS than in AS. The mean rates of drinking and smoking in students were 84% and 29.5%,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drinking and smoking was 'to relieve stress' in AS (38.0%) and SS (30.9%) (p< 0.001). In general, the nutritional knowledge level of SS was higher than that of AS.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eating breakfast, food intake, drinking and reasons for eating snacks, unbalanced diet, drinking and smoking between AS and SS. Therefore, it's necessary to provid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according to high school type.

돈육 젤라틴의 형태와 Transglutaminase의 첨가 유무에 따른 저지방 모델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조직 특성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Low-Fat Model Sausages with Different Types of Pork Skin Gelatin with or without Transglutaminase)

  • 임경훈;이창훈;진구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65-970
    • /
    • 2017
  • 본 연구는 지방대체재로써의 젤라틴의 형태를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와 식품첨가제로써의 TGase의 첨가가 저지방 돈육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지방대체재로써 젤라틴의 첨가는 형태에 상관없이 황색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젤라틴을 분말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가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보다 수분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에서는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젤라틴을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가 분말 형태로 첨가한 처리구보다 기능성 면에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젤라틴을 수화 겔 형태로 첨가하고 TGase를 단독 혹은 젤라틴과 복합으로 첨가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TGase를 단독으로 첨가한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보수력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Gase와 젤라틴을 함께 첨가한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들보다 경도, 검성, 씹힘성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Gase와 젤라틴을 함께 첨가하였을 때 품질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국내 가금티푸스의 발생특징 (Prevalent Characteristics of Fowl typhoid in Korea)

  • Lee, Young-Ju;Kim, Ki-Seuk;Kwon, Yong-Kuk;Kang, Min-Su;Mo, In-Pil;Kim, Jae-Hong;Tak, Ryun-Bi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58
    • /
    • 2003
  • 가금티푸스는 Salmonella gallinarum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조류의 세균성 전염병으로 간장과 비장의 종대, 황갈색의 설사 및 높은 폐사 등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금티푸스의 발생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01년까지 7년동안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병성감정의뢰된 닭가검물을 대상으로 발생역학을 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병성감정 의뢰된 가금전염성 질병중 가금티푸스의 검색율은 10.3%이었으며, 품종별로는 실용산란계, 실용육계, 육용종계 및 산란종계에서 각각 71.4%, 25.0%, 0.2% 및 3.4%가 검색되어 산란계에서의 발생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절별로는 여름 (35.8%)과 가을(33.9%)에 높은 발생율을 나타났으며, 일령별로는 실용산란계는 10-30주령 사이 (45.6%)에서, 실용육계는 2주 이하 (61.6%)에서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원부재료의 투입 순서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Order of Material Addi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fication Sausage)

  • 진상근;김일석;남영욱;조주현;허선진;강석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2
    • /
    • 2007
  • Silent cutter작업 시 T1(지방을 얼음 다음 투입), T2(지방을 얼음보다 앞에 투입), T3(모든 원부재료 일시 투입) 처리구로 하여 모든 처리구들은 4.5분간 커팅하여 최종 유화물의 온도를 15 이내로 제조하여 원부재료의 투입 순서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T1이 가장 높고 T3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전단가는 T1이 다른 두 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경도와 검성은 T1이 다른 두 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맛은 유의적으로 T2>T1>T3 순이었으며, 육색은 T1과 T2가 T3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리수분 및 보수력, 기계 측정 육색 전 항목, 조직감의 표면경도,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 관능평가의 향, 다즙성, 연도 및 전체적 기호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종합적으로 보면 유화물 제조 시 얼음 다음에 지방을 투입한 T1이 다른 두 구에 비하여 육의 품질 특성상 가장 양호한 결과였다.

한우고기 육질등급 선호도에 따른 구매성향 특성 분석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Propensity by Preferences Quality Grade of Hanwoo Beef)

  • 조수현;신정섭;설국환;김윤석;강선문;서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37-544
    • /
    • 2020
  • 쇠고기 소비트랜드는 소비자 요구와 선호도 등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우고기 구매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성향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해 쇠고기 등급제 보완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17년 7월 24일부터 8월 14일에 걸쳐 서울, 경기도 및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무응답 등을 제외하고 최종 362명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등급 선호집단의 구매빈도 증가에는 마블링 형태가, 1+등급에서는 지방색이, 1++등급에서는 소득, 등급제 개선 의견, 마블링 함량, 마블링 형태가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선호등급이 없는 집단에서는 구매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구매빈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소도체 등급기준은 축산농가 및 산업체의 경제적 이익과 소비자 구매력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제도이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 의견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향으로 앞으로도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900년대 이전 문헌에 기록된 전 조리법의 문헌적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f Korean Fan Fried Side dishes(Jeon)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900s)

  • 최영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9-639
    • /
    • 2012
  • Jeon refers to a type of Korean cuisine used as a side dish, made with various ingredients such as meat, vegetables, or fish, mixed with flour batter and coated with egg batter and then pan-fried on both sides with oil so that heat spreads through them wel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rnerstone of further research on Korean dietary life, by reviewing types, recipes and names of Jeon recorded in ancient cookbooks (Korean literatures) and by analyzing changes in recipes to make Jeon, which our ancestors used wisely as one type of side dish. Considering developments and changes recorded in old documents, the Jeon recipe appeared relatively later than the recipes for grilling, steaming et al, which had been developed much earlier, and it had not been recorded until the 1600s. Changes of Jeon recipes by time period are as follows. In the 1600s, there were three recipes: frying only with grain batter after preparation of ingredients, frying right after preparation of ingredients, and putting ingredients on already fried watery batter. These three recipes were still used in the 1700s, in addition to a new recipe, in which ingredients were oil-fried to be skewered. Today's recipe in which prepared ingredients are fried after getting coated with flour and egg only appeared in 1800s. This has been the main recipe for Jeon ever since. In that time period, there was more variety of recipes and ingredients than before. For instance, Jeon was used for soup or steamed dishes instead of being served as a dish itself. Buchimgae with mixed ingredients was also considered Jeon. In the 1900s, there appeared more names for Jeon as more sorts of ingredients got used, even though there were no new recipes for Jeon. The above-mentioned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traditional recipes for Jeon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dishes, using diverse ingredients, and it might be a smart solution to today's problematic dietary habits involving excessive intake of nutrients, in that it provides a healthy way to add fat. In the same sense, the recipe for Jeon can play an active role in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foods, in which healthiness is a main feature. According to ancient documents, the recipes for Jeon were used even for meals that were not side dishes, such as Jun-Gwa (Jung-Gwa), Jun-Yak and fried rice-cake. Also, there were dishes using the same recipes even without carrying the name of Jeon, like Buchim or Jijim. This might be worthy of further examination in culinary science.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 최윤상;정종연;최지훈;한두정;김학연;이미애;김현욱;백현동;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20
    • /
    • 2008
  • 본 연구는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화형 소시지의 수분함량은 미강 추출 식이섬유를 2%와 3%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식이섬유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회분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났다. 가열감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들이 낮게 나타났으며, 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가열감량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pH, 명도와 적색도는 대조구가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미강 식이섬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물성의 경도는 미강 식이섬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고, 탄력성, 검성, 씹음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특성은 색과 연도에서 대조구, 1%, 2% 미강 식이섬유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풍미,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유화형 소시지에 미강 추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하면 이화학적 및 관능적으로 우수한 육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기능성 소시지에 대한 미강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성장 단계에 따른 한국 재래 오골계 근육의 조직학 및 생리학적 특성 (Hist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Korean Native Ogol Chicken Development)

  • 남윤주;김동욱;최영민;류연철;이상훈;김병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1-408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 재래 오골계의 성장에 따른 조직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계군들의 체중, 흉근과 가자미근의 무게 측정 및 시료의 채취는 부화 직후 및 3, 5, 15주령에 이루어졌다. 근섬유 특성은 부화 직후에서 15주령까지의 오골계 흉근과 가자미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NA, RNA 및 단백질 함량은 왼쪽 흉근에서 측정하였다. 체중의 상대적인 증가율은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슴의 무게는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 약 24.46배가 증가했으며, 가슴 중 흉근도 동일한 기간 동안 약 31.14배 증가하였다. 소퇴부 및 가자미근의 무게 역시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시기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다. 모든 근섬유의 단면적은 성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데, 15주의 실험 기간 동안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은 65배 증가($34.06\;{\pm}\;3.08$에서 $2238\;{\pm}\;177\;{\mu}m^2$)하였다.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은 부화 직후에서 3주령까지의 기간에는 약 18배, 3주령에서 5주령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약 1.6배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흉근의 근섬유 단면적과 무게 역시 3주령 때까지 가장 큰 증가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핵산 및 단백질의 함량을 분석한 실험에서도 부화 직후에서 3주령 사이에 가장 큰 증가가 나타났는데, 부화부터 3주령까지의 기간 동안 각각 DNA 총량은 13배, RNA 총량은 21배, 단백질 총량은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