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and meat product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31초

다시마와 효소처리 고등어육 조미소재의 저장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Seasonning Material of the Mixture of Laminaria and Enzyme Treated Mackerel Meat during Storage)

  • 이강호;정인학;홍병일;정병천;정우진;민진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2-556
    • /
    • 1998
  • 새로운 형태의 천연조미소재를 개발하여 저장에 따른 품질변화를 갈변도, 아미노질소, TBA가, Chlorophyll a 함량, 관능검사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갈변도는 저장 초기에 제품 A와 제품 B의 산패가 제품 C보다 빨리 진행되어 저장 30일경에 최대값을 보인 반면 제품 C는 저장 40일경에 최대값을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아미노질소의 경우 세 시료 모두 큰 차이없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는데, 저장기간 동안 제품 C가 비교적 안정된 값을 보였고, 제품 A와 제품 B는 다소 변화의 차이는 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chlorophyll a의 함량 변화는 아미노질소값의 결과와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저장 50일 후 초기값의 약 $10{\sim}20%$ 정도 감소하였다. 구성지방산 함량은 모두 monoene산, 포화산, polyene산의 차례였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C_{16:0},\;C_{16:1},\;C_{18:1},\;C_{20:1},\;C_{20:5}$$C_{22:6}$ 등이었다. 특히 시제품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대표격인 $C_{20:5}$$6.0{\sim}6.5%,\;C_{22:6}$$10.8{\sim}11.4%$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저장 30일 후에도 이 두 지방산의 합이 $13.8{\sim}14.6%$로 소폭 감소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 PDF

고추장 숙성 전복의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alone Meat Aged in Kochujang)

  • 고소미;김해섭;조영철;강성국;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73-779
    • /
    • 2009
  • 전복의 대량 양산 체제에서 전복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복 가공품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복을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의 형태로 전처리하고 얇게 슬라이스를 한 후 이를 고추장과 함께(1:3 w/w) 섞어 제조한 후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각각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을 첨가한 고추장을 1일 숙성 후, 고추장에서만의 수분(43%)은 각각 57.9%, 53.7%, 50.8%로 증가하였고, 2주후에는 모든 제품에서 수분함량이 약 $53{\sim}54%$에 도달하였다. 고추장의 색도는 밝기에 해당하는 L-값과 적색도인 a-값, 황색도인 b-값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고추장 숙성전복제품의 초기일반미생물은 고추장에서 각각 5.74, 5.70, 5.83 log CFU/g로 검출되었고, 숙성 28일후에는 0.28, 0.30, 0.11 log CFU/g 정도만 증가하였다. 고추장 숙성 증숙전복에서 전복육의 산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의 저하와 함께 14일째는 5.40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원료인 생전복, 구운전복, 증숙전복육의 초기 휘발성염기질소는 각각 약 1.4mg%, 0.9 mg%, 2.7 mg%로 나타났으나, 고추장전복을 제조하여 숙성 1일 후에 전복에서는 각각 14.0 mg%, 13.8 mg%, 11.6 mg% 나타났다. 숙성 8일 후 전복육의 휘발성염기질소는 각각 15.5 mg%, 13.3 mg%, 11.3 mg%로 보통 선도의 어육에 해당되는 값을 나타내었고, 증숙전복육이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고추장전복을 제조할 때 전처리 가공방법은 증숙전복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Linseed oil supplementation affects fatty acid desaturase 2,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gene expression in turkeys (Meleagris gallopavo)

  • Szalai, Klaudia;Tempfli, Karoly;Zsedely, Eszter;Lakatos, Erika;Gaspardy, Andras;Papp, Agnes Bal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62-669
    • /
    • 2021
  • Objective: Effects of linseed oil (LO) supplementation on the fat content and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meat, and the expression of three genes in the liver, breast muscle and fat tissues of commercial 154-day-old hybrid male turkey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were fed a commercially available feed and received no LO supplementation (n = 70), whereas animals in the LO group (n = 70) were fed the same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LO (day 15 to 21, 0.5%; day 22 to 112, 1%). The effect of dietary LO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was examined by gas chromatography, and the expression of fatty acid desaturase 2 (FADS2),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genes was analysed by means of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LO supplementation affect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uscle. Hepatic FADS2 levels were considerably lower (p<0.001), while adipose tissue expression was higher (p<0.05) in the control compared to the LO group. The PPARγ expression was lower (p<0.05), whereas IGF1 was higher (p<0.05) in the fat of control anim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FADS2, PPARγ, and IGF1 gene expressions of breast muscle; however, omega-6/omega-3 ratio of breast muscle substantially decreased (p<0.001) in the LO group compared to control. Conclusion: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LO supplementation without deterioration of fattening parameters. Remarkably, increased FADS2 expression in the liver of LO supplemented animals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decreased omega-6/omega-3 ratio, providing a potentially healthier meat product for human consumption. Increased PPARγ expression in fat tissue of the LO group was not associated with fat content of muscle, whereas a decreased IGF1 expression in fat tissue was associated with a trend of decreasing fat content in muscle of the experimental LO group.

성숙도와 근내지방도가 국내산 비육 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urity and Marbling Score on Meat Quality Properties in Korean Native Fattening Hanwoo)

  • 강세주;문윤희;박경숙;박현숙;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8-253
    • /
    • 2010
  • 본 연구는 성숙도와 근내지방도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성숙도와 근내지방도에 따른 pH, $L^*$값, $a^*$값, $b^*$값, 가열 감량, 근원섬유 단백질 추출성, 경도, 탄력성, 뷰착성, 검성 몇 저작성윤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보수력의 경우 성숙도가 6 및 7이고, 근내지방도가 8 및 9인 것이 높았다(p<0.05). 전단력은 성숙도 9이고 근내지방도 7인 것이 가장 높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숙도와 근내지방도가 한우 등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이 았다고 판단된다.

Reaction Flavoring에 의한 진주조개 (Pinctada fucata) 추출물의 풍미개선 (Enhancing the Flavor of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Extract Using Reaction Flavoring)

  • 강정구;남기호;강진영;황석민;김정균;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50-355
    • /
    • 2007
  • The optimal substrates and reaction flavoring conditions were examined to develop pearl oyster extract (POE) flavor using the Maillard reaction under a model system. The sugar for the Maillard reaction was glucose, and the amino acid was cysteine, with glycine as the reaction substrate. A three-dimensional response surface method was used to monitor the dynamic changes of the substrates during the Maillard reaction. To enhance the flavor of POE, a two-step enzymatic hydrolysate (Brix $20^{\circ}$) was reacted with the precursors (1:1, v/v). A 2:1:1 mixture of 0.4 M glucose:0.4 M glycine:0.4 M cysteine (v/v) was selected as a suitable reaction system for the reappearance of baked potato odor and boiled meat odor, and masking the shellfish odor. The two-step enzymatic hydrolysate and selected precursors were reacted in a high-pressure reactor to optimize the reaction parameter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150 minutes at $120\;^{\circ}C$ and pH 7.0. The pH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response of the baked potato odor and masking the shellfish odor, while the reaction time affected the reappearance of the boiled meat odor.

오징어 가공품의 냄새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Processed Squid Product)

  • Chiaki Koiiumi;Toshiaki Ohshima;Lee, Eung-H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7-554
    • /
    • 1990
  • 오징어 가열향기의 전구물질부를 탐색하고, 연속증류장치로써 가열향기 성분을 추출한 후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구분으로 분획하여 GC 및 GC-MS로써 분석 동정하였다. 오징어 가열향기의 생성에는 80% 메탄올로서 추출되는 성분이 중요하였으며, 지질은 가열향기에 관여하지 않았다. 4가지 획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중성구분에서는 은은하면서 감미로운 냄새를, 염기성구분에 서는 탄매, 배소취 및 어취를 느낄 수 있었다. 오징어 가열향기로서 44성분이 동정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탄화수소 2종, pentanal, furfurylalcohol, hexanol, 2-phenylethanol 등 알데히드 5종, 케톤류 1종, 퓨란류 1종, dimethyl sulfide, dime-thyl-thiazole 등 함황화합물 3종. pyrazine류 7종, pyridine류 2종 및 아민류 1종 둥 10종의 함질소 화합물, 페놀류 2종, propionic acid, isopentanoic acid 및 n-hexanoic acid 등 10종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PCR-RFLP를 이용한 한우 Leptin gene의 유전자형 변이와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of Genetic Missense Mutation and Economic Traits of Leptin Gene using PCR-RFLP in Korea C밟le(Han-Wo이)

  • 임현진;오재돈;공홍식;전광주;이학교;이승수;윤두학;김종대;조병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95-300
    • /
    • 2004
  • 본 연구는 도체성적을 보유하고 있는 제 31차, 32차 한우 후보종모우 집단 228두를 선발하여 DNA를 분리 정제 후 exon 2에 위치한 bovine leptin gene 염기서열 가운데 특정 염기서열을 갖는 2좌위의 primer를 합성하여 PCR 수행 후 PCR-product를 이용하여 2 종류의 제한효소 Kpn 2 I, Msp I 으로 반응시킨 후 두 가지 형태의 대립 유전자를 검정하여 경제형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PCR-RFLP를 통하여 얻어진 leptin gene의 유전자형 빈도는 Kpn2 I의 경우 C 유전자 빈도(0.25)보다 T 유전자 빈도(0.75)가 높게 나타났으며 Msp I으로 처리한 경우 M 유전자 빈도(0.35)보다 m 유전자 빈도(0.65)가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각 유전자형에 대한 경제형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한효소 Kpn2 I으로 처리한 경우 도체율에서 CT 유전자형과 CC 유전자형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P < 0.05), Msp I의 경우 도체중 Mm 유전자형과 mm 유전자형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P < 0.05).

육류가공품의 고압처리가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Freshness of Meat Products)

  • 황성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2-279
    • /
    • 2018
  • 바다속 60 km 깊이의 수압과 같은 압력을 사용하여 순간적이고 균일한 압력전달로 가열공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신선한 맛과 향, 텍스처, 비타민의 유지 등 품질보존을 할 수 있는 기술인 HPP는 식중독과 부패미생물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기존의 열처리가 단백질의 변성, 화학적 변화, 전분의 호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서 보존성을 유지한다면 HPP는 열처리의 장점은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 열처리에서 야기되는 원치 않는 화학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보존기간이 길어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첨가물의 사용이 필수적인 육류가공품에 대해서는 초고압처리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육가공품인 슬라이스햄에 대해 600 MPa 초고압처리(0분, 4분, 6분)가 이들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수분함량은 48~69%, 염도 1.07-1.11%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었고, pH는 처음 6.4-6.5에서 6.1-6.15까지 낮아졌으나 대조군과 처리군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고압처리 후 $20^{\circ}C$에서 보관한 일반세균 결과는 4주까지 모든 군에서 미미한 수준에서 일반미생물이 발견 되었으나 5주부터는 대조군과 HPP 6분 처리군에서 $10^5$을 초과하였고 7주에는 4분 처리군, 6분처리군에서 식품으로 섭취가 불가능한 $10^6$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20^{\circ}C$ 가중실험으로 7주간 관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군에서 대장균군이 발견되지 않았다. 육류의 단백질 신선도 판정에 사용되는 방법인 VBN은 4주차까지는 1 mg% 미만의 VBN값을 보였고 5주부터는 1~2 mg%의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군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육의 조직내 지방 산패 정도의 지표로 사용되는 TBA는 7주가 끝날 때까지 0.18 mgMA/kg 이하였고 이 수치는 신선육의 범위에 들며, 처리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포장재의 변성이 발생하지 않았고 가스의 발생으로 인한 부풀어 오름도 발생하지 않았는데, HPP의 효과가 전혀 관찰되지 않은 사실은 포장재의 밀착으로 인한 공기와의 차단만으로 기본적인 보존 효과를 보인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소.돼지 도체표면의 미생물학적 고찰 (Survey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meat in Seoul)

  • 변정옥;모의원;문호판;이양수;이병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2
    • /
    • 2000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beef and pork products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9. A total of 107 beef and 157 hog carcasses were collected from two abattoirs located in Seoul. The result showed that beef carcasses had an average bacterial loading around 139,000 bacteria/$\textrm{cm}^2$ of carcass surface, indicating a little bit higher count than the results reported in USA and Australian meat. However, overall hygienic status was found to be acceptable for all examined carcasses because 84.4% of product rated excellent, good or acceptable comparable to USA of 91.6% and Australia of 88%. The analysis of data on overnight-chilled to weekend-chilled carcasses indicated that the microbiological growth occurred in the chiller during the weekend chill with increases in total viable count from 130,000cfu/$\textrm{cm}^2$ to 400,000cfu/$\textrm{cm}^2$. Qualitative testing for escherichia coli, EC + MUG was used as a most probable number (MPN) method along with the petrifilm method. The average of MPN/$\textrm{cm}^2$ of E coli biotype 1 was 29MPN/$\textrm{cm}^2$ for beef carcasses and 1,100 MPN/$\textrm{cm}^2$ for hog carcasses, respectively. However, 41% of beef and 16.3% of hog carcasses were shown to be less than < 3 MPN/$\textrm{cm}^2$ in E coli biotype 1 examination. Although salmonella enteritis, S typhimurium and E coli O157:H7 were all negative, listeria monocytogenes was recovered from only one hog surface samples of the 89 carcasses tested.

  • PDF

인젝션과 텀블링 염지촉진처리에 따른 염지우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jection and Tumbling Methods on the Meat Properties of Marinated Beef)

  • 구수경;김희주;유승철;전기홍;김영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4-250
    • /
    • 2013
  • 본 연구는 염지촉진 방법인 인젝션 및 텀블링 처리에 따른 한우 우둔 염지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인젝션과 텀블링 단일 처리구 및 복합처리구로 텀블링 처리구의 경우 진공과 비진공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구는 6시간 침지하였다. pH는 5.26-5.51의 범위로 인젝션 후 텀블링 처리구가 5.51로 가장 높았고 텀블링 단일 처리구에서 5.26으로 가장 낮았으며 인젝션 및 텀블링 복합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p<0.05) 보수력 증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염도와 당도 측정결과 pH가 높게 측정된 인젝션 및 텀블링 복합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염지 촉진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감량은 대조구에서 22.08%로 가장 많았으나 인젝션 후 텀블링 진공 처리구와 비진공 처리구 및 텀블링 진공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젝션 처리구는 13.98%로 유의적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 결과 hardness는 8.01-13.99 kg의 범위로 인젝션 후 진공텀블링 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인젝션 후 진공 및 비진공 텀블링 처리구가 텀블링 진공 및 비진공 처리구보다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인젝션 처리구의 경우 단일 텀블링 진공 및 비진공 처리구와 비교할 때 텀블링과 인젝션 처리는 연도향상에 유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단일 텀블링 진공과 비진공 처리구 및 인젝션 후 진공 및 비진공 텀블링 복합 처리구의 결과로 볼 때 진공과 비진공의 차이 또한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색도는 염지 및 가공방법에 따른 가열 전후의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인젝션 및 텀블링 공정으로 제조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연도정도, 조직감의 기호도 및 맛의 영향으로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인젝션 후 비진공 텀블링 복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인젝션 및 텀블링 공정은 육의 가공에 있어 가열수율, 연도 및 관능적 기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