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ing of housing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가로 보행자공간의 활성화 측면에서 바라본 청계천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연구 (The Survey Study on ChungGyeCheon users's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Utilization Aspects of the Pedestrian Space of the City Street)

  • 곽승미;강부성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7-331
    • /
    • 2009
  • Covering structures and elevated road of Cheonggyecheon are the by-products of the developing era when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were emphasized. Historic river restoration project around Cheonggyecheon which had been emerged as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citizens due to its corrosion and structural defects as time passes had been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03 through October, 2005 under the slogan of future-oriented urban environment creation. By dint of this river restoration project, its value is being heightened as almost all the rivers of Seoul including Seongbukcheon, Chungreungcheon and Honghaecheon have been arranged by inter-active linkage. In addition, this river is becoming a place frequented by the numerous visitors at home and aborad by providing the citizens with an attractive space for utilizing leisure time. Currently in the diversified areas, an academic research on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is under progress. In this study, sampled questionnaire for the visitors was carried out by site visit with the necessity of users' satisfaction survey in terms of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space of the city street. As a result of this, natural restoration and provision of leisure space were surveyed to be highly assessed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insufficient provis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including toilet and parking space was pointed out as a matter to be improved. As Cheonggyecheon is invigorated from the obstacle of urban environment through its epochal restoration, its value provided to us will be evaluated and by supplementing the deduced problems, we intend to find its meaning in our hope that this would become a sustainable future assets providing a basic data.

  • PDF

단면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상류주택 안마당의 시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북지방 'ㅁ'자형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Upper-class Hous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Sectional Analysis - Focused on the Kyeong Buk Region 'ㅁ' Shape of House -)

  • 성재중;이승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1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oss-sectional ratio of the courtyard, an external space that not only was used as a workplace, shelter, and playground in our lives, but also gave symbolic meaning to Koreans. Since the beginning of 2000, Hanok began to receive rapid attention from people, and Hanok construction and remodeling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urban and rural areas. In particular, Bukchon and Seochon in Seoul, around Cheonmachong in Gyeongju, and Hanok Village in Jeonju became popular places related to hanok, and Gyeongju, Buyeo, Gongju, and Iksan were designated as ancient district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hanok. However, although hanok is being built with national trends, support, and interest, attention is focused only on the external form, materials, and convenience of use, and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the external space have not been properly review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yard in traditional housing, and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surrounding the yard and the depth of the yard in terms of closure and opening. In addition,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felt by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signing traditional architecture.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Mixed-use School and Park with Parking Facility in Urban Residential Area)

  • 김윤선;양우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3-158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f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the more city has highly developed, the more concentrated urban function. That is, city is required for adding infra structure. But, both of limited land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made it impossible to add infra structure. So,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of urban infra structure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Urban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secure parking area, It is on the increase that mixed-use of the playground of school in the high density area and the empty space of park. School and park is closely connected with town community, playing a central role on t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demanded for providing space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nd also expected to be effective. However, people using park and school are almost young students and the elderly, it needs to consider not only the parking convenience also the safety of users in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mixed-use of school and park. and then evaluated the case in the point of convenience and safety. For this, first we selected the case among the sites constructed in seoul, and divided 2type of 'slope type' and 'flatland typ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lementary standards for design in the point of multi-dimensional land use planning.

  • PDF

전기 접속장치인 분전반과 배전반의 효율적인 부스바 절연 피복 레이저 커팅기 연구 개발 (Efficient Busbars for Distribution Boards and Distribution Boards R & D Laser Cutting Machine)

  • 임연정;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2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부스바(busbar)의 절연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기에 관한 기술로써, 연구 결과, 첫째, 커팅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레이저기가 부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팅유닛 및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부스바의 피복 커팅거리를 조절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부스바 피복 레이저 커팅기이다. 둘째, 프레임은, 테이블의 후방 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바가 놓여 설치되고 상부 중간 부분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 상으로 포스트가 설치되며, 전방 포스트의 외측부에 위치하도록 테이블에 커팅 홀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셋째, 서포터는, 프레임에 배치된 가이드 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와 지지 판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의 의미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커팅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스바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데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농촌마을 주택대문의 경관구성요소 설정 및 실태파악 - 충남 청양군을 중심으로 - (A Establishment of Visual Component Elements and Investigation Analysis for a House-Gates in Rural Villages)

  • 이경진;조성호;송병화
    • 농촌계획
    • /
    • 제13권3호
    • /
    • pp.83-90
    • /
    • 2007
  • The purpose of main entrance was to protect the house with the wall and working for the house-gate where people come in and go out.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main entrance is changed variously depended on the materials for house and method of construction. Eleven villages in the Chungyang-Gun where the environment of rural villages is well maintained was chosen and researched to make data. These data of visual landscape elements were analysed by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 Relations of the visual component elements were analysed by the analysis for frequency and analysis for crosstab. From the above research we could conclude below results. Through review of the pre-researching and researching literatures, 11 types of visual component elements were selected such as the types of the gate, the looking through degree of the gate, the material of the gate, the color of the gate, the plan of the house, the material of the roof, a material of the wall, a color of the wall, the form of the penetration, the area to put, the area of a site, the year of the constructing a building. For the types of the gate, the gate from without the roof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41.5%. For the looking through degree of the gate, a complete blockade form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63.2%. For the material of the gate, the iron plate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32.1%. For the color of the gate, color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68.4%. For the plan of the house, 'ㄷ' form has beneath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38.3%. For the material of the roof. The Zinc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51.9%. For a material of the wall, A cement mortar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47.7%. For a color of the wall, Without tile color has hem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67.0%. For the form of the penetration. The plain form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54.0%. For tile area of a site, $100m^2{\sim}200m^2$ has been the most popular since it appeared 39.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o use of indicates four rural-housing reform. From now on, the results look forward to offering the meaning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rural house gates.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8-38
    • /
    • 2011
  • 주거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이 총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지속성과 변화를 반영한다.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은 외부공간이긴 하나, 안채와 맞물린 한 짝의 공간으로 내부공간에서 못다 이룬 주거기능의 많은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개화기 이후 우리의 주거문화는 급격한 환경변화의 과정 속에서 가치관과 주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마당의 형태, 기능, 의미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47개 연구대상지를 통해 주택마당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마당의 변용과 분화를 분석, 종합하였다. 연구대상지에 전통주택 마당의 원형과 달리 분화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 대표적인 요소는 재식의 재료와 방법, 점경물의 이용, 포장재료, 물의 이용, 텃밭의 변화 등이었다.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인 분화는 마당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정원 영역의 분화가 나타났고, 경계와 적극성의 정도에 따라 정원 형태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장식성과 실용성의 추구에 의한 정원의 기능 분화와 편리성 추구에 따라 정원의 소재 분화가 나타났다. 그 밖에 상징과 일상적인 의미에서 상업성, 개방정원의 의미가 추가되어 정원의 이용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건설구조물(建設構造物)의 장수명화(長壽命化)와 건설폐기물(建設廢棄物)의 유효이용기술(有效利用技術) (Long- Term Durability of Construction Structure and Effective Use of Technology for Construction Waste)

  • 김규용;최형길;남정수;송하영;이도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11-19
    • /
    • 2009
  • 최근 지구환경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자원절약 및 자원의 유효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부터 각종 산업분야에 이르기까지 재활용과 자원절약에 관한 관심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 온난화 방지, 자연환경파괴의 방지,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등 지구환경보전 측면에서 콘크리트용 골재 자원의 고갈, 시멘트 소성에너지, $CO_2$ 저감 등은 해결이 불가피한 문제로서의 당면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건설 산업의 분야에 있어서도 건축물의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막대한 양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내구수명이 길게 설계된 장수명화 건축물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유지 관리함으로써 불필요한 건설행위를 억제하여 지구자원 및 에너지를 절감하는 창조적인 사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건설폐기물 발생 억제 및 유한한 지구자원의 유효이용과 재활용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지구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건축생산 및 건축물의 성능설계 측면에서 건축적 요구와 지구환경을 고려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방법 및 건설폐기물의 유효이용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셰어하우스 공용 공간에 나타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적(無自性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셰어하우스 공용공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n-Characteristic Spac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Shown in Public Space of Sharehouse)

  • 윤득근;김개천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515-525
    • /
    • 2015
  • 급속한 1인가구의 증가함에 따른 1인 소비, 1인 경제의 개념이 강조되는 현재 한국은 1인 가구 비율이 2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비례하여 수도권의 주택문제와 더불어 이기주의, 개인이 느끼는 외로움, 범죄와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한 대안의 움직임으로 공동체와 커뮤니티 문화, 그리고 공간의 공유와 나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셰어하우스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각 매체에서도 셰어하우스와 같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한다. 일본에 많이 보급되고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셰어하우스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뿐 만 아니라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등 경제적 이점을 넘은 공유가 주는 이점을 대변하는 삶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셰어하우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해보고 이를 공동생활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한국전통주거공간의 무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셰어하우스의 공간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유수면 매립지 내 가로경관 개선 방안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대 머린시티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etscape in Landfill of Public Water Surface and Its Evaluation (Focusing of Marine City in Haeundae))

  • 김종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9-1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유수면 매립지에 조성되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현재 조성된 가로경관의 현황을 분석, 문제점을 도출하여 가로경관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제어된 시뮬레이션과 인자분석을 통하여 보다 개선되고 변화된 가로경관 계획을 모색코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부산광역시 해운대 마린시티를 대상으로 한다. 현재의 마린시티 가로경관을 분석한 결과 주요 문제점은 해안변이라는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연속적인 가로 공간 구성, 해안도로변 보 차 혼용도로로 인한 통행의 불편함과 안전상의 문제, 보행자를 위한 스트리트 퍼니처 요소 부족, 그리고 무질서한 옥외광고물 사용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린시티 가로경관의 문제 원인을 가로구성요소의 부족과 부조화, 비연속성 등에 두고 선별된 가로구성요소들을 적용시킨 시뮬레이션과 요인분석 및 평가를 통하여 공통적인 의미를 가진 주요 인자를 추출하여 보았다. 가로경관 요인분석 및 평가 결과 "스트리트 퍼니처", "주변과 조화로운 가로경관", "자연적 개방감을 지닌 가로경관", "동적인 심볼성을 지닌 가로경관" 요인 순으로 추출되었다. 향후 가로경관 계획 시 스트리트 퍼니처의 적절한 배치 계획과 주변과 조화를 이루면서 개방적, 연속성을 가진 심볼성 가로경관 계획에 더 중점을 두어 마린시티만의 정체성에 더욱 적합한 변화된 가로경관 계획수립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프랑스어 단어 속에 담긴 문화연구 (A Study on the Culture of the French Language)

  • 곽노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48권
    • /
    • pp.135-191
    • /
    • 2017
  • 본 연구는 프랑스 고유의 문화가 담긴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숨겨진 문화 콘텐츠들을 연구하고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 차용되면서 새롭게 탄생한 문화 현상들을 탐구함으로써 프랑스와 한국 간의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별된 '공유문화 적재어'들을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과 상호문화적 관점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우선 프랑스 문화 내부적 관점에서 어휘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어 단어들 가운데 한국어에 차용된 단어들 중에서 의 식 주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공유문화 적재어' 들을 선별하여 그 단어 속에 담긴 프랑스 고유의 문화를 사전적 의미, 문화적 현상, 숙어나 관용어 표현 속에 나타난 특별한 문화 현상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그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뛰어넘는 특별한 공시를 밝혀주었다. 나아가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프랑스 문화와 한국 문화의 접촉으로 동일한 프랑스어 단어가 새로운 의미로 탄생하게 되는 과정들을 차용어의 변용 양상과 문화적 현상을 중심으로 탐구함으로써 두 문화 속에 작용하는 언어적 문화적 요소들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탐구할 수 있었다. 프랑스 '공유문화 적재어' 속에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담겨 있어 개별 단어들에 대한 탐구가 프랑스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할뿐 아니라 이들 단어가 사용된 숙어나 관용어 표현들을 통해 개별 단어 속에서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문화 현상들이 담화 속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한국어로 차용된 프랑스어 단어들은 대부분 문화 간 교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경우보다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데 의미의 왜곡이 일어나는 경우가 상당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