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menu development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영양균형식단 작성을 위한 식품교환표와 식사구성안 개발 (Development of a Food Exchange Table and Food Pattern for Nutritionally Balanced Menu Planning)

  • 안윤;여익현;이상윤;남기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1-423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ew meal planning tools for a nutritionally balanced diet. Methods: Based on the food exchange list for diabetes, we adjusted the food group classification system to reflect the suggested nutritional factors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We developed a nutritionally balanced dietary profile for adults and compared it with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and the food pattern recommended by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Results: The newly developed menu planning tools are the LOHAS food exchange table and the LOHAS food pattern. Our recommended daily 1,800 kcal dietary composition for adults is as follows: The carbohydrate food group consists of 4 'whole grains', 3 'refined grains', 2 'sugars', 9 'vegetables', 3 'starchy vegetables', 2 'fruits' and 1 'high sugar fruits'. The protein food group includes 3 'plant protein foods', 3 'animal protein foods (low-fat)', and 1 'animal protein foods (high-fat)'. The fat food group consists of 2 'oils and nuts' and 1 'solid fats'. The total number of calories is estimated at 1,840 kcal and the energy ratio is 62% carbohydrate, 18% protein, 20% fat, 6.8% saturated fat and 13.2% sugars. Using the LOHAS food exchange table, it is possible to estimate values of saturated fat, unsaturated fat, dietary fiber, and sugars besides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It is also possible to compose a dietary design considering carbohydrate, sugars, saturated fat and dietary fiber. The LOHAS food pattern provides benefits for the management of both institutional food services and individual meals, as it can help reduce the levels of saturated fat and sugar intake and help develop healthy meals rich in unsaturated fats and dietary fiber. Conclusions: The LOHAS food exchange table and LOHAS food pattern are expected to be practical tools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nutritionally balanced diets.

영양분석 API를 이용한 메뉴 라벨링 시스템 (MLS) 개발 (Development of Menu Labeling System (MLS) Using Nutri-API (Nutrition Analys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홍순명;조지예;박유정;김민찬;박혜경;이은주;김종욱;권광일;김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97-20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양분석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인 Nutri-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영양표시를 위한 메뉴 라벨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영양표시에 표시되는 각 항목들은 영양성분이 추가 또는 변경이 될 수 있도록 유연한 설계를 하였으며 본 메뉴 라벨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사항들을 사용자가 직접 수정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식품단위의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음식 또는 식단의 영양표시 정보도 제공한다. 주요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 및 메뉴 검색 메뉴 라벨링 시스템의 식품 및 메뉴의 검색은 유의어 검색 기능과 의미 정보 및 분류 정보를 통한 검색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영양소를 검색할 수 있으며 영양소 함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missing 표시 (-)을 하였다. 메뉴작성 및 식품관리 메뉴 라벨링 시스템은 기존 데이터베이스화된 기본 식품만을 사용하여 영양 표시에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식품의 조합인 메뉴를 포함하여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Nutri-API의 NutriMenu 기능을 확장하여 메뉴 작성 기능과 추가 및 관리기능을 추가하였다. 메뉴 라벨링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로는 메뉴설명, 메뉴이미지, 재료중량, 열량 등의 영양소, 3대 영양소비율과 원그래프 제공뿐만 아니라, 메뉴의 구성분류에 따른 영양소 정보도 제시하고 있다. 메뉴 라벨링을 위한 영양소 정보로는 농촌진흥청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여 당류,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등이 있다. 그리고 메뉴의 영양섭취기준과 영양소기준치에 대한 비율 (%) 정보도 제공하며, 동시에 메뉴의 그리고 메뉴의 구성분류의 식품이나 중량 등을 입력/수정/변경 할 수 있다. 식품 추가 기능 본 시스템에서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식품 정보 외에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은 식품 또는 식품의 정보를 수정을 위해 식품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식품을 추가하여 식품설명, 사진과 영양소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본 제공되는 식품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자 식품으로 별도 저장 및 관리한다. 메뉴 라벨링 정보 메뉴 라벨링 정보에서는 메뉴의 식품재료 중량뿐만 아니라 메뉴의 조리 후 중량, 1회 제공량 (portion size), 총 제공량 (total serving size) 등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메뉴 라벨링을 위해 추가된 식품 및 메뉴는 라벨링 항목에서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다. 메뉴 라벨링에서 추가 및 수정된 정보는 기본 메뉴 정보와는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한다. 메뉴 라벨링 형식으로는 사용자는 표준형, 가로형, 선형, 쌍방형, 영양성분 전면표시형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식당의 메뉴판 영양표시형태도 출력할 수 있다. 메뉴 및 라벨링 관리 사용자가 작성한 메뉴 및 라벨링 정보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별도의 관리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메뉴의 히스토리뿐만 아니라 이미 작성된 메뉴를 복사하여 새로운 메뉴를 작성하거나, 새로운 메뉴를 구성하는 기본 메뉴로 사용할 수 있다.

RMR(레스토랑간편식) 상품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taurant Meal Replacemen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Image and Satisfaction)

  • 김찬우;이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71-481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외식 소비자의 RMR 상품에 대한 관심과 이용 빈도가 상승함에 따라 RMR(레스토랑간편식)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브랜드이미지,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에서 출시 된 RMR상품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8월 10일부터 약 20일간 진행되었으며, 최종 2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1의 위생(��=.160), 메뉴(��=.203), 포장(��=.291)은 신뢰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고, 가설2의 메뉴(��=.270) 편의성(��=.201), 포장(��=.195)은 차별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브랜드 이미지의 중 신뢰성(��=.328)과 차별성(��=.443)은 만족도(��=.42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4의 위생(��=.388) 메뉴(��=.229), 편의성(��=.243)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RMR 상품 관련 기초 연구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하고 외식기업 및 레스토랑의 RMR 상품개발에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의 활용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자 한다.

농촌거주 노인정 급식도입을 위한 식생활 비교 평가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 김행란;주민정;문현경;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65-774
    • /
    • 2007
  • Aging rate of rural area in our countr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urban area. Thus, the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for the elderly residing in the rural area is necessary for their better living quality. Food habit, health and the nutritive intake conditions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were surveye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the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Chungnam, Kangwon, Jeonnam and Kyungbuk was performed for basic reference data of meal service introduction to the pavilion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In general subject, the male elder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e and showed that 79.4% was married and 20% was separated by death(P<0.05). In allow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most of them lived with less then three hundred thousand won and especially, female lived with less then one hundred thousand won. In health state, the female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difficulty with every day activity but with small trouble although they had to prepare their own meal(P<0.05). The condition d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female elderl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showing bad conditions in following order; Kangwon(48%)>Chungnam(38.1%)>Kyungbuk(22.9%)>Jeonnam(22.5%)(p<0.05). The femal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age of denture and number of the female elderly without using the denture were very high(p<0.05). In nutrition intake condition, amount of sodium was very high but intakes of fiber and calcium were relatively 1ow(P<0.05). Meal service introduction in the pavilion of the elderly is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When developing the menu for them, conditions such as shortage of the fiber and calcium in diets, the dental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가정간편식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의 요구도 및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Domestic Consumers' Need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elective Attributes for Develop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 박성배;이현준;김혜영;황혜선;박대섭;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2-3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s well as it examined the consumers' needs and willingness to buy HMR products to explore the need for developing more HMR produc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domestic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s, in the age range from the 20s to the 50s, and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HMR products. From the 490 surveys retrieved, 472 (96.3%) valid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nsuming HMR produc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247 respondents answered '1-3 times a month' (52.3%); 167 respondents stated '1-2 times a week' (35.3%). With respect to the reason of purchase, 'simplicity of the recipe' was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188 respondents (39.8%), followed by 'time efficiency' accounting for 172 respondents (36.4%). Analysis of the demand for bibimbap (mixed rice) HMR products showed that 'chicken bibimbap' had the highest preference with 5.32 points, followed by 'bulgogi bibimbap' (5.08 points), and 'kimchi bibimbap' (4.96 points). In the case of HMR products that need to undergo further development, 'low-sodium products' received the highest points of 5.41 points, followed by 'small packaged products' (5.05 points), and 'functional products' (4.98 points). The factor analysis of the 13 selective attributes showed that they can be divided into 3 factors. The IPA analysis of the selective attributes of HMRs showed 'hygiene', 'taste', 'easy to go packaging', 'convenience in intake', and 'accessibility' in the 1st quadrant. In the 2nd quadrant, 'price' and 'freshness' were shown as the factors. In the 3rd quadrant, 'easy to serve', 'familiar food menu', and 'consistent menu' were shown as the leading factors, and in the 4th quadrant, 'saving labor' was the only facto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with respect to developing HMR products, there is a high demand for low sodium, low calorie, small packaged products; thus, showing the need to develop various HMR products for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developing HMR products that can maintain freshness at an affordable price.

경북 일부지역 영유아보육시설 급식의 나트륨 함량 실태조사 (Study on Sodium Contents of Kindergarten Lunch Meals in Gyeoungsangbuk-do Area)

  • 송단비;이경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8-65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lunch meals served at foodservice center for children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Methods: Five foodservice centers for children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for salt and sodium content and salt content contributing rate per meal. Results: Average salt content of every meal was $1.78{\pm}0.54g$, and average sodium content was $680.99{\pm}175.97mg$. The 98 of 100 meals served in 5 foodservice centers for children exceeded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recommendation for adequate intake of sodium per meal of 333 mg. The highest sodium content was 1,369.85 mg. Samples from lunch meals were classified into 14 food items and investigated for one serving size, salinity, salt and sodium content. Total average salinity was 0.31%, kimchi (0.49%), followed by soup (0.45%), hard-boiled foods (0.39%), stir-fried foods (0.39%), and fresh-vegetables (0.32%). Total average salt content was 0.39 g, the most salty dishes were one-dish rice noodles, followed by soup (0.65 g), hard-boiled foods (0.49 g), stir-fried foods (0.48 g), and broth stew (0.43 g). Samples from lunch meals were classified into 6 menu groups, including cooked rice, one-dish rice noodles, soup stew, main dish, side dish, and kimchi. Contributing rate for total average salt content was high in one-dish rice noodles (48.97%), soup stew (38.47%), main dish (27.28%), side dish (21.02%), kimchi (18.56%), and cooked rice (3.95%).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reducing total dietary sodium content to less than 333 mg in children who are provided lunch meals at foodservice centers. To achieve this goal, development of low-sodium recipe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foodservice employees is required.

중년 주부의 연중 음식 섭취 및 식단 패턴 조사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Menu Patterns of Middle-aged Housewives for 1 Year)

  • 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64-778
    • /
    • 2003
  • 본 연구는 주부(30~59세)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추정량기록법으로 연중 음식 및 식단 패턴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섭취 빈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상용 음식은 4계절 모두에서 쌀밥, 배추김치, 열무김치, 커피, 김구이, 된장찌개 등이었고, 음식군별 섭취빈도는 밥류, 김치류, 음료류, 과일 및 주스류, 국 및 탕류, 찌개류, 나물 및 무침류 순으로 섭취를 하고 있었다. 앞선 모든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주요 식생활의 패턴인 밥을 주식으로 하는 전통 식생활을 보여 주고 있다. 음식 군별 섭취량을 보면 국.탕류, 찌개류는 가을, 겨울에, 전.부침류는 원료가 되는 채소류 등 농산물이 많이 생산되는 여름에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나물 무침류는 겨울에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김치류는 4계절 모두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가장 자주 섭취한 음식 군은 밥류, 김치류, 음료류, 과일 및 주스류, 국 및 탕류 순이었다. 음식 군별 다빈도 음식을 살펴보면 밥류의 경우 모든 계절에서 쌀밥의 섭취 빈도가 다른 종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면.만두류의 경우 모든 계절에서 라면을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국.탕류의 경우 봄, 여름, 겨울에서는 미역국, 가을은 배추된장국이었다. 찌개류는 봄과 여름, 겨울에서 된장찌개, 가을의 경우 김치찌개 등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계란찜은 모든 계절에서 섭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이류의 경우 김구이가 4계절 모두 1위를 보여주어 가장 많이 먹는 구이류임을 보여 주었다. 전.부침류의 섭취 빈도는 사계절 모두 계란 후라이가 1순위를 차지하였고, 볶음류의 경우 멸치볶음이 4계절 모두 가장 섭취 빈도가 높았고, 조림류는 봄의 경우 콩조림, 여름은 깻잎조림 , 가을과 겨울은 고등어조림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물.무침류는 봄은 취나물, 여름은 콩나물, 가을은 무생채, 겨울은 시금치나물, 김치류는 4계절 모두 배추김치가 섭취 빈도가 높았고, 열무김치와 깍두기, 총각김치도 모든 계절에서 섭취 빈도가 높았다. 조사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상위 10위 권에 드는 대부분의 식단이 밥과 반찬으로 이루어진 식단이었다. 봄.여름.가을 겨울 모두 가장 많이 사용한 식단의 형태는 밥+국+김치로 각각 그 비율이 6.84%, 6.10%, 7.18%, 6.84%이었다. 2위는 봄이 밥+김치(5.56%)인 반면, 나머지 여름, 가을, 겨울은 면(만두)+김치형태였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수가 다소 적다는 점이 있지만, 식사를 직접 준비하는 주부가 기록하였고 지금까지의 단기간 조사의 단점을 보완한 365일의 식품 및 음식섭취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강원, 충남지역의 농한기 농촌 노인의 급식식단 개발과 적용 (Menu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Rural Elderly of Gangwon and Chungnam Areas at Agricultural Off-season)

  • 김혜영;김길훈;김행란;김양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23-435
    • /
    • 2009
  • 농한기의 충남 연기군과 강원 홍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급식 식단선정하여 적용하고 및 급식, 기호도 및 찬반량을 조사하였다. 노인의 한 끼 급식의 열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필요추정량 (64세이상 남자2,000 cal/d, 여자 1,600 kcal/d)의 남녀 평균 수치를 삼분의 1로 나누어 600 kcal로 정하였다. 당질, 단백질, 지질의 한 끼 섭취량은 65 : 15 : 20인 비율을 고려하여 각각 당질 97.5g, 단백질 22.5g, 지질 13.3g으로 선정하였다. 급식의 적용은 점심식사로 5일간 실시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급식 식단은 어육류의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쇠고기와 꽁치, 갈치를 이용하였다. 식단 3은 노인들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다는 점을 고려하여, 요구르트로 유제품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식단 2와 식단 5는 겨울철 농한기의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C를 공급하기 위해 귤을 후식으로 선정하였다. 충남에서 밥의 부드러운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식단 4의 잡곡밥이 8.5로 유의적으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국의 짠 정도의 기호도는 식단 1의 쇠고기무국이 7.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국의 건더기 양은 남자의 경우 식단 4인 참치김치찌개, 여자의 경우 식단 1의 쇠고기무국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국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육개장이 8.0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 동태찌개가 8.3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찬의 전반적인 기호도 조사에서는 모든 식단에서 7.4이상의 높은 값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강원 홍천군에서의 급식 식단은 노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의 섭취를 위해 멸치와 돈등뼈를 활용하였고, 항암 및 면역활성과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주는 파래와 혈중 콜레스테롤의 강하효과를 가져오는 달래로 구성하였다. 또한 유제품을 후식으로 선정하여 노인들의 유제품 섭취를 유도하였다. 밥의 부드러운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차 없이 모든 식단에서 8.5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국의 짠 정도와 건더기의 양은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돼지고기김치찌개가, 여자의 경우 식단 3의 동태찌개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p<0.05). 국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돼지고기김치찌개, 여자의 경우 동태찌개가 가장 높은 점수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다(p<0.05). 반찬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인 새우오뎅볶음, 달래무침, 배추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 식단 3인 파래무침, 등 그랑땡, 배추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식단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는 식단 3이 8.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식단 4가 7.8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충남의 식사 후 1인 잔반량을 측정한 결과 식단 4가 56g으로 가장 많은 잔반량을 보였으며 식단가 역시 식단 4가 2,900원으로 가장 높았다. 강원의 경우 잔반량은 유의차 없이 9g에서 19g사이로 나타났고 식단가는 식단 2가 2,61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을 중심으로 겨울철 농한기 식단을 개발하고, 급식을 통한 기호도를 조사함으로써 농촌 노인 복지활성화 및 노인급식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향후 다방면의 조사와 식재료 가격 안정수급 정책의 뒷받침 등에 의해, 노인들의 입맛에도 맞을 뿐만 아니라 적은 급식비용으로 최대의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과 적은 잔반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임신부의 건강식생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소비자요구도 조사 (A study on Consumer's Needs for Development of Diet Guide Application for Pregnant Women)

  • 김숙배;김정원;김미현;조영숙;김세나;임희숙;김순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88-59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eeds of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 (App) development for nutrition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on pregnant women. A total of 105 pregnant women were investiga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health behavior and needs for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application.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31.9 years and the mean gestation period was 25.4 weeks. The rate of skipping meal was 39.0% and the rate of irregular meal time was 46.6%. The consciousness of the meal as balanced nutrition and health was 19.9%. Eating out at least forth a week was 35.3%. Obtaining information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internet (35.3%), hospital or health center (19.9%), books (17.1%), experience (15.2%), mobile (8.6%) and friends or acquaintances (4.8%). If the application is developed, subject replied 'frequently use' (51.4%), 'when needed' (47.6%) respectively. The favour topic in developing application were 'nutrition information of pregnant and fetal' (36.2%), 'weight management, feeding' (33.3%), 'food choice and cooking' (21.9%), 'shopping' (5.7%), 'example of menu' (1.9%), 'effect of smoking, drinking, exercising' (1.0%). The favorite content was 'include sufficient amount about information' (44.8%). Depending on the age and education level, the best age for pregnancy group have significantly higher ability for utilize and information gathering than old age pregnant group. Also the best age for pregnancy group have high demands of design, convenience and various contents in App development. Therefore, mobile application (App) for pregnant women could be widely used as an effective dietary guide.

무상급식 전환에 따른 광주지역 중학생과 영양(교)사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school meal servi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dieticians/dietetic teachers in Gwangju area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free meal services)

  • 김숙화;허영란;노희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113-121
    • /
    • 2015
  • 본 연구는 무상급식 전환을 경험한 광주지역 중학생과 학교에서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무상급식 전환에 따른 학교급식의 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급식만족도는 무상급식으로 전환된 후에도 높은 편 (53.8%)이었는데 급식 만족도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학생들의 불만족의 이유는 배식량의 감소 (35.2%)였으며, 만족의 이유는 경제적 이유 (50.0%)가 가장 높았다. 무상급식 전과 비교하여 전체 학생의 69.9%는 학교급식 만족도에서 변화가 없다고 하였는데, 성별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 < 0.05). 전체 중학생의 80.2%는 식단의 변화가 없다고 하였고, 70.6%는 기호도가 높은 음식의 빈도가 변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64.0%는 잔반의 양이 변하지 않았다고 하여, 유상급식에 비해 학교급식의 만족도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무상급식 전환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에 있어 영양(교)사의 85.7%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차이가 없다고 인지하여 중학생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영양(교)사는 학생들의 불만족 이유에 대해 66.7%가 급식 양의 부족이라고 하였고, 만족의 이유로는 79.5%가 식재료의 질적 향상이라고 답하여, 학생들의 만족 이유와는 다소 다른 인식이었다. 무상급식으로의 전환에 따른 식단에 대해 영양(교)사의 40.5%는 변화가 있다고 하였는데, 식품비의 상승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영양(교)사들은 59.5%는 기호도가 높은 음식의 횟수에 대해 변화가 없다고 하였고, 식재료의 질적 변화에 있어 채소의 종류가 증가하였으며, 95.2%의 영양(교)사는 학생의 잔반량이 변하지 않았다고 인지하였다. 영양(교)사들은 무상급식 전환에 따른 급식 업무에 있어 식단을 작성 할 때 식재료의 구매 및 비용 (26.2%)에 의해 제약을 받으며, 식단 선택 시 급식비 (45.2%)를 우선 고려하였다. 무상급식 전환에 따라 달라진 업무의 내용은 사무관리 (26.2%), 조리법 연구 및 개발 (19.0%)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과 영양(교)사가 인식하는 학교급식의 만족도는 무상급식 전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았다. 또한 학생과 영양(교)사 모두 식단과 선호도가 높은 음식 및 잔반에 있어 큰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였다. 다만 영양(교)사는 무상급식에 따라 사무관리 업무량이 변화하였다고 하였고 급식비에 의해 식단선택이 제한되며, 질적 변화를 가져온다고 한 바, 위의 결과를 토대로 급식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이 중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힐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