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management attitude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인천지역 일부 남녀 중학생의 급식비지원에 따른 급식만족도, 식습관 및 영양 섭취상태 비교 (Comparison of Meal Satisfaction,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School Lunch Support among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Incheon)

  • 박지영;김은진;김명희;최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1호
    • /
    • pp.1-1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health promotion and improvement of the dietary life in students who receive school lunch support (SLS) by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service satisfacti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intakes according to S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58 boys and 233 girls at a middle school in Incheon. The students' average age was 14.9 years, average height was 161.3 cm, and average weight was 52.0 kg. The breakfast eating frequency of the No-SLS (NSLS)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SLS group (P<0.05). The time spent for eating breakfast in the SLS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the NSLS group for 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etary attitudes according to SLS. For satisfaction of the quantity and diversity of the school lunch menu in girls, the SLS group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NSLS group. The daily energy intake of the SL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SLS group in both boys and girls. The majority of daily nutrients intakes in the SLS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NSLS group. In summary, the female students in the SLS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unch service than general students. However, SLS students less frequently ate breakfast and showed lower energy and nutrient intak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life of students who receive school lunch support, consistent nutrition management and support in schools are required.

중년기 여성의 영양교육이 식습관, 식행동, 영양지식 및 영양섭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Food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al Knowledges and Nutrient Intakes of Middle-aged Women)

  • 최미숙;김명숙;김기남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14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food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al knowledges and nutrient intakes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209 females aged $30{\sim}64yrs$. The subjects helped by trainers filled the questionnaire about demographic information, food habits, dietary behavior,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intake before and after three months of nutrition education. All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paired t-test using the SAS program. The subjects who didn't drink alcoho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p<0.001). The largest meal of the day was lunch and the amount consume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p<0.05). Dietary attitud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p<0.001). The percentages of subjects who didn't have processed foods, sweets and salty foods frequent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p<0.05). The subjects who answered correct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en out of fifteen nutrition knowledge items related to obesity and in four out of five nutrition knowledge items related to nutrients after the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p<0.01), calcium(p<0.05) and cholesterol intakes(p<0.01)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 education can improv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knowledge.

  • PDF

의왕시 어린이집 아이들의 식습관 조사 (Dietary Habit Survey of Preschool Children in Uiwang-si, Gyeonggi-do)

  • 김혜원;길복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4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subjects were 291 parents whose children went to daycare centers in Uiwang.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5 items for children's dietary habits and six items for parents' nutritional attitudes.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f children's dietary habits were as follows: 63.9% of children ate meals regularly, however breakfast (46.4%) was usually skipped; 44.0% of children ate a snack more than twice per day; 56.7% did not have late night meals; 49.5% ate out once to twice per week; 89.7% had dinner with family more than three times per week; and 43.6% had picky eating habits.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did not eat vegetables and seaweed was the highest among other food groups. Intake frequencies were low in fatty foods, instant foods, and fast foods. Som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icky eating habits and other dietary habits by cross-tabulation analysis. Intake frequency of non-picky eating children was lower for late night eating and fatty foods but higher for vegetables and seaweed compared to picky eating children. Parents answered that their nutritional knowledge level was normal (72.2%), and nutritional information was collected using the Internet (36.0%). Nutritional value was the most considered point in meal preparation of parents (43.3%), and the most difficult factor in child's diet management was lack of time due to working (36.1%). Parents cited method of creating a menu (27.0%) and table manners (25.3%) as topics of nutrition education by professionals. Therefore, various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healthy dietary habits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he Development of Cereal Bars with Dried Anchovy for Chinese Customer Using Check All That Apply (CATA) Analysis for Liking and Disliking

  • Oh, Ji Eun;Yoon, Hei-Ryeo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7-255
    • /
    • 2021
  • Today, energy bars are consumed not only as snacks but also as meal replacement foods. Convenience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are the main factors accounting for the increasing use of energy bars. Two hundred Chinese customers who attended the China Fisheries & Seafood Exposition in China, and had no inhibitions about consuming cereal bars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CATA choices that selected both the reasons for liking and disliking four different types of cereal bars, namely topokki flavor (hot pepper paste), seaweed flavor, kimchi flavor, and ginseng flavor cereal bars with 10% of dried anchovy content produced by BadaOne Co.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consumer's attitudes and acceptance of different flavored cereal bars containing protein and calciumrich anchovy. For the selected Chinese customers, the acceptance score for the seaweed flav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opokki, red ginseng, and kimchi. The acceptance for the topokki flavor was higher than for seaweed for the attributes of color except for general acceptance, flavor, aroma, and textur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acceptance of kimchi was the lowest, contrary to earlier predictions. The results of the Check All That Apply (CATA)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s for liking the seaweed & anchovy flavor were the most diverse, and there was no reason chosen for disliking this flavor. The reasons for liking this flavor were listed as sweet flavor, healthy, seafood flavor, malty flavor, texture, new/unique, and umami. In the case of topokki and kimchi, the reason for disliking the flavor was umami, and in the case of red ginseng, the ginseng flavor was the reason for both likes and dislikes. CA analysis showed that both the flavor and emotional factors were positive for seaweed & anchovy and topokki, but negative for red ginseng. As a result, seaweed & anchovy flavor, which is familiar to the Chinese people, should be the first cereal bar considered for a launch.

초·중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식생활 관리 역량 (The Awareness of the Dietary Education and Dietary Management Competency of (Preliminary)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5-231
    • /
    • 2018
  • 교사의 건강과 식생활에 대한 태도는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식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 식습관, 식생활 관리 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서울·경기, 충청, 전라, 강원, 경상 지역의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와 초·중·고등학교 교사 812명을 대상으로 5-Likert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4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다. Varimax 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식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 식습관, 식생활 관리 역량의 일반사항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와 Ryan-Einot-Gabriel-Welsch F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요인분석 결과 식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식생활 관심도와 식생활 관리 스트레스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식습관은 건강 식습관과 나쁜 식습관의 2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식생활 관리 역량은 식생활 지식, 조리, 식생활 위생 및 안전, 환경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식생활 관심도 평균은 3.81±0.73점, 식생활 관리 스트레스 3.09±0.95점이었다. 건강 식습관은 3.39±0.77점, 나쁜 식습관 3.31±0.91점, 식생활 관리 역량 평균 점수는 3.29±0.73점이었고, 식생활 지식 요인 3.29±0.67점, 조리 요인 3.02±0.82점, 식생활 위생 및 안전 요인 4.16±0.63점, 환경 요인 3.12±0.89점이었다. 예비교사와 교사는 식생활 관리 역량의 환경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식생활 관심 요인은 성별, 전공, 나이, 건강상태, 비만도, 식사준비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식생활 관리 역량의 평균점수는 성별, 전공, 나이, 건강상태, 식사준비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예비교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 교육은 일반사항에 따른 차이점을 고려하고, 식사준비에 참여하는 횟수를 높여 식생활 관리 역량을 강화하며,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가 요구되었다. 또한 식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 교육을 도울 수 있는 자료 개발이 요구되었다.

현대인의 혼밥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dern People's Hon-Bob Behavior)

  • 이정숙;오종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2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사의 간편성, 개인 가치관, 비인간 관계, 태도형성, 인지가 혼자 식사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업체의 경영성과 향상을 극대화 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판단 표본 추출법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유효 표본은 판별 타당성과 수렴타당성의 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외식 자영업자는 혼밥족을 대상으로 식사의 간편성을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혼밥족의 개인 가치관이 태도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 홍보 전략을 통해 태도 형성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식 자영업자는 혼밥족이 태도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혼밥족의 매장 방문 시 고객만을 위한 아주 특별한 서비스 제공 등 이벤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식 자영업자는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혼밥 행위의 편리함, 간편함, 시간의 활용 등 장점을 집중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고객 증가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 유형,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충남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식행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Chungnam Area According to the School Food Service Type, Gender and Grade)

  • 장혜순;김명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08-617
    • /
    • 2006
  • This study compared the food habits and attitudes towards dietary life culture in types of feeding management, gender and grade. The subjects were 3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Seocheon, Chungnam. The independently managed school students were better than jointly managed school students in food habits (p<0.05). In skipping school meals, upper grade students were skipped more than lower grade students (p<0.05). In rate of eating school meals, boys were faster than girls (p<0.001). The independently managed school students and the jointly managed school students were different on distasteful food. Boys disliked vegetables and girls disliked cereals and beans (p<0.05). Upper grade students ate more well-balanced meals than lower grade students (p<0.05). As for the question 'what you will do if the distasteful foods are provided through school meals', they responded. the highest percent of students, 'I will try once or twice'. And the response 'I have them for health' was higher independently in managed school students than the jointly managed school students (p<0.05), girls than boy (p<0.05), and the lower grades than the upper grades (p<0.05). As for the question 'what you will do if the distasteful foods are provided, after the guide for school meals was performed', the response, 'I will make an effort to have it'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lower grade students who were high percents than upper grade students (p<0.01). As for the recognition for unbalanced diets,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it is a 'bad habit'; the girl students accounted for more percentage than boys (p<0.05). The criterion of food choice were different in gender and grade (p<0.01). As for the factor of influences for the food habits formation, lower grade students were 'school education' and upper grade students were 'parents' (p<0.05). Thus, the systematic guide for proper intakes of nutrition should be performed. Also, the time when students can be educated by an expert of nutritional education, which is connected with school meals and students can grow healthily.

서울.경기지역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및 급식만족도 -미국계 외국인 학교를 중심으로- (Dietary Habits and Foodservice Attitudes of Students Attending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 김옥선;이영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44-757
    • /
    • 2012
  •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설립자 국적이 미국인으로 영어권 학교이면서 인가를 받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외국인 학교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 중 고등학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으며, 급식소를 위탁운영하고 있는 3개교의 5학년에서 12학년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급식 메뉴 및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A학교의 학생은 129명, B학교의 학생은 136명, C학교의 학생은 137명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130명(32.3%), 여학생은 272명(67.7%)로 나타나 여학생의 응답비율이 높았다. 학년에서는 우리나라의 중학교 1~3학년에 해당하는 7~9학년이 191명(47.5%)으로 가장 많았다. 2. 외국인 학교 학생들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는 평균 3번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평균 3.39번, 여학생이 2.95번으로 나타나 여성의 하루 평균 식사횟수가 남학생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0~12학년의 하루 식사횟수가 3.13회로 가장 많았으며, 7~9학년이 3.08회로 적었다. 한 끼 식사를 위해 소요하는 시간은 대략 23~30분으로 조사되었으며, 식사할 때 행동은 학교, 성별, 학년 모두 가족과 대화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하루 중 가장 과식하는 식사는 학교, 성별, 학년에서 모두 저녁으로 조사되었다. 아침식사 빈도에 대한 질문에서 학교에 따라서는 평균 5.10회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평균 5.35회, 남학생은 4.59회로 조사되어 남학생의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외식에 대한 빈도는 일주일에 평균 1.78회로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은 평균 2.15회로 여학생 1.60회보다 외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5~6학년이 1.87회로 가장 많았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외식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을 하는 이유는 학교, 성별, 학년 모두 과자를 먹고 싶어서라고 응답하였으며, 간식을 하는 시간은 점심과 저녁시간 사이라고 하였으며, 간식 아이템으로는 쿠키와 칩이 많았다. 편식을 하는 이유는 학교, 성별, 학년 모두에서 입맛에 맞지 않아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으며, 편식을 하는 식품은 모두 생선이라고 응답하였다. 3. 외국인 학교별 급식 메뉴 만족도 모든 항목에서 세 학교 중 외국인 학생 비율이 많은 A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급식 메뉴 만족도 항목에서 온도의 적절성, 맛, 메뉴의 다양성, 음식 재료의 신선도 순으로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급식 메뉴 만족도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음식재료의 신선도가 여학생의 경우는 메뉴의 다양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급식 메뉴 만족도에서 5~6학년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온도의 적절성, 맛, 메뉴의 다양성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급식 메뉴 만족도는 전 항목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외국인 학교별 급식서비스 만족도 결과에서 A학교의 만족도가 B와 C학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학교의 경우 급식종사원이 고객에게 항상 친절하다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 분석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식당의 위생 및 청결상태를 나타내는 테이블과 트레이가 청결하다 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불평처리가 신속하다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급식서비스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도 '테이블과 트레이가 청결하다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급식서비스 모든 항목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외국인 학교별 식습관 비교를 통하여 하루 식사 횟수와 아침식사의 빈도가 높을수록 외식과 간식의 빈도가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식사의 횟수가 부족할 경우 비만 및 과체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1일 3끼의 규칙적인 식사의 중요성 인지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기호와 관능적요소를 만족시키는 메뉴 개발로 식사의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간식의 경우 학교 매점 등에 비치되어 있는 식품의 구성을 제 2의 성장기인 청소년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건강한 식품으로 바꾼다면 올바른 간식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점심식사 한 끼를 제공하는 학교급식은 정상적 발육을 위한 충분한 영양공급을 해야 하나 영양적인 급식이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실제 학생들이 제공된 음식을 다 섭취하지 않는다면 의도하는 영양소 섭취와 음식을 접할 기회 및 경험, 급식을 통한 교육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감수성이 예민한 식습관 형성 시기에 있음을 고려하여 이들의 정확한 식습관 파악과 식단 작성 시 메뉴 및 서비스 품질 속성을 명확히 규명하고, 의사소통의 도구를 개발하여 전반적인 만족도 상승을 위해 급식업체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