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yield strength of shear reinforcemen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7초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보강철근의 최대 항복강도 및 전단거동 평가 (Evaluation of the Maximum Yield Strength of Steel Stirrups and Shear Behavior of RC Beams)

  • 이정윤;최임준;강지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11-718
    • /
    • 2010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에서 제한하는 전단보강철근의 최대 항복강도와 ACI 318-08 기준식, EC2-02 기준식, CSA-04 기준식, JSCE-04 기준식에서 요구하는 전단보강철근의 최대 항복강도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18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을 통하여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부재의 전단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에 의하면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에서 요구하는 전단보강철근의 최대 항복강도보다 최대 약 1.88배까지의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배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험결과는 전단보강철근이 항복한 이후에 부재가 최대 내력에 도달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체의 전단 내력은 전단보강철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사인장균열에 대해서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균열의 수가 증가하였고, 동일한 하중비에 대하여 보통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보의 사인장균열 폭과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보의 사인장균열 폭은 거의 유사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보에 사용된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 제한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the Maximum Yield Strength of Steel Stirrup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 이진은;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85-693
    • /
    • 2012
  • 현재 콘크리트설계기준에서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ACI318-08, EC2-02, CSA-04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설계기준을 이용한 계산값과 예제 실험체 데이터 값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 기준의 전단보강철근 항복강도 제한의 상향조정에 대하여 판단해 보았다. 실험값과 계산값의 비교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 강도를 제한하지 않았을 경우와 항복강도를 제한하였을 경우, 항복강도 및 철근비를 제한하였을 경우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를 제한하지 않았을 경우가 가장 실험값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복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기준에서 제한하고 있는 항복강도 이상의 고강도에서도 실험값에 가까운 값을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전단설계수식에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의 강도를 적용하더라도 수식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으며 기준상에서 제한하고 있는 항복강도를 상향조정하여도 적용상의 불리함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포스트텐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 평가 (Shear Behavior of Post-tensioning PSC Beams with High Strength Shear Reinforcement)

  • 전병구;이재만;임혜선;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33-40
    • /
    • 2016
  • 현재, 국내외 전단 설계기준에서 RC 및 PSC 부재의 전단보강철근의 최대항복강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는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RC 부재의 전단거동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비해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PSC 부재의 전단거동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며, PSC 부재는 긴장력에 의한 축압축력에 의해 RC 와는 다른 전단거동을 나타내므로 국내 기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고강도 철근을 PSC 부재에 적용할 경우 강도의 추가적인 상승분을 내력에 포함시킬 수 없어 고강도 재료의 사용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8개의 고강도 재료를 사용한 포스트텐션 PSC 보 전단실험을 실시하여 KCI-12 기준 및 ACI 318-14 기준의 항복강도 및 사인장균열의 폭을 검토하였다. ACI 318-14에서 요구하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 제한값(420 MPa) 이상인 모든 PSC 실험체의 전단보강철근이 항복한 이후에 최대 내력에 도달하였으며, 실험 전단내력 또한 KCI-12 기준식의 전단강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성 측면에서도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모든 실험체가 ACI 224위원회의 허용 균열폭(0.41 mm)을 초과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KCI-12 기준에서 제한하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는 PSC 부재에 대해서 전단내력 및 균열의 사용성 측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ACI 318-14의 전단보강철근 제한 기준은 다소 안전측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RC보의 최대철근비 (Maximum Shear Reinforcement of RC Beams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 이정윤;황현복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839-842
    • /
    • 2008
  • 현행 기준식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취성적 전단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보강철근이 항복한 이후에 복부 콘크리트가 압축파괴하도록 최대전단철근비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다. 최대전단철근비에 대한 제한은 각 기준식마다 매우 상이하다. ACI 318-05, CSA-04 와 EC2-02기준에서는 최대전단철근비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따라서 변화하지만, 일본기준식은 압축강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값이다. 고강도콘크리트가 사용될 경우에 CSA-04와 EC2-02기준에서 요구하는 최대전단철근비는 ACI 318-05의 두 배 이상으로 기준식마다 상이하게 최대전단철근비를 제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10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을 통하여 최대철근비가 미치는 보의 거동 및 내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ACI 318-05에서 요구하는 철근비보다 많은 전단보강철근이 배근된 보에서도 전단보강철근이 항복한 이후에 콘크리트가 압축파괴하였다.

  • PDF

FEM Analysis of RC Deep Beam Depending on Shear-Span Ratio

  • Lee, Yongtaeg;Kim, Seongeun;Kim, Seunghu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17-124
    • /
    • 2017
  •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ut finite element analysis depends on the variations such as the strength of the main bar, concrete, shear-span ratio(a/d) and existence of shear reinforcing bar. Throughout the results of FEM analysis, we were able to figure out how each variation can effect on shear performance. As the strength of concrete increased, the maximum shear force enhancement effect of each specimen was evaluated. As a result, the shear strengthening effect was 51~97% for shear reinforced specimens, and 26~44% for non-shear reinforced specimens. As the yield strength of reinforcing bars increases, the shear reinforcement effect of the specimen the specimen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were 3%~6% higher than those with shear reinforcement. Theoretical and analytical values were compared using the design equations obtained from the CEB code. Theoretical and analytical values were compared using the design equations obtained from the CEB code. As a result, the error rate was the highest at 3.64 in the S1.0-C0 series and the lowest at 1.46 in the S1.7-C1 series. Therefore, the design equation of the CEB code is estimated to underestimate the actual shear strength of deep beams that are not subjected to shear reinforcement.

Strength Demand of Hysteretic Energy Dissipating Devices Alternative to Coupling Beams in High-Rise Buildings

  • Choi, Kyung-Suk;Kim, Hyung-Joo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07-120
    • /
    • 2014
  • A Reinforced concrete (RC) shear wall system with coupling beams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structural systems for high-rise buildings. However, significantly large flexural and/or shear stress demands induced in the coupling beams require special reinforcement details to avoid their undesirable brittle fail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of promising candidates is frictional hysteretic energy dissipating devices (HEDDs) as an alternative to the coupling beams. The introduction of frictional HEDDs into a RC shear wall system increase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and maintains the frame action after their yield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ength demands (specifically yield strength levels) with a maximum allowable ductility of frictional HEDDs based on comparative non-linear time-history analyses of a prototype RC shear wall system with traditional RC coupling beams and frictional HEDD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C shear wall systems coupled by frictional HEDDs with more than 50% yield strength of the RC coupling beams present better seismic performance compared to the RC shear wall systems with traditional RC coupling beams. This is due to the increased seismic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frictional HEDD. Also, it is foun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at the maximum allowable ductility demand of a frictional HEDD should increase as its yield strength decreases.

Thickness of shear flow path in RC beams at maximum torsional strength

  • Kim, Hyeong-Gook;Lee, Jung-Yoon;Kim, Kil-Hee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9권 5호
    • /
    • pp.303-321
    • /
    • 2022
  • The current design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torsional capacity of RC members underestimate the torsional strength of under-reinforced members and overestimate the torsional strength of over-reinforced members. This is because the design equations consider only the yield strength of torsional reinforcement and the cross-sectional properties of members in determining the torsional capacity. This paper presents an analytical model to predict the thickness of shear flow path in RC beams subjected to pure torsion. The analytical model assumes that torsional reinforcement resists torsional moment with a sufficient deformation capacity until concrete fails by crushing. The ACI 318 code is modified by applying analytical results from the proposed model such as the average stress of torsional reinforcement and the effective gross area enclosed by the shear flow path.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and observed torsional strengths of existing 129 test beams showed good agreement. Two design variables related to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 the proposed model are approximated for design application. The accuracy of the ACI 318 code for the over-reinforced test beams improved somewhat with the use of the approximations for the average stresses of reinforcements and the effective gross area enclosed by the shear flow path.

고강도 재료가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파괴모드 (Shear Failure Mode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with High-Strength Materials)

  • 이정윤;김경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53-60
    • /
    • 2006
  • 고강도 재료(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철근)가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파괴모드는 보통강도 재료를 사용한 부재의 전단파괴모드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고강도 재료가 사용될 경우에 구조설계기준식에서 요구하는 전단보강철근이 먼저 항복한 후에 콘크리트가 압축파괴하는 것과는 다르게, 철근이 항복하기 이전에 콘크리트가 압축파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강도 재료가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최대철근비를 균형파괴시의 재료의 응력 및 변형률 상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제안식에서 최대철근비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전단보강철근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변화하였다. 제안식은 97개의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실험결과 및 계산결과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파괴모드가 전단보강철근의 양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고강도 비틀림보강철근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파괴모드 (Failure Modes of RC Beams with High Strength Reinforcement)

  • 윤석광;이수찬;이도형;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43-150
    • /
    • 2014
  • 콘크리트의 압축파괴에 의한 취성적인 비틀림파괴와 사인장균열의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구조기준은 비틀림보강철근의 항복강도를 제한하고 있다. 2012년에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는 비틀림보강철근의 항복강도를 400 MPa에서 500 MPa로 상향하였다. 그 이유는 500 MPa의 비틀림보강철근을 사용한 비틀림부재의 경우에도 전단파괴하는 부재와 유사하게 기준에서 요구하는 비틀림파괴모드, 사용성, 경제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고강도 비틀림보강철근을 사용한 비틀림부재에 대한 연구는 전단부재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340 MPa, 480 MPa, 667 MPa의 비틀림보강철근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틀림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에 의하면 비틀림보강철근의 파괴모드는 비틀림보강철근의 항복강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비틀림보강철근의 항복강도가 400 MPa이하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무관하게 한 곳 이상에서 비틀림보강철근이 항복강도에 도달하여 비틀림인장파괴하였지만, 항복강도가 480 MPa 이상인 경우에는 비틀림보강철근이 항복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휨과 전단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방호벽 성능에 관한 연구 (Bending and Shear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Protective Wall)

  • 권영범;박종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4-51
    • /
    • 2023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gas energy use, risk management for explosion accidents has been emphasized. Protective walls can be used to reduce damage from explosions. The KOSHA GUIDE D-65-2018 suggests the minimum thickness and height of protective walls, minimum reinforcement diameter, and maximum spacing of reinforcements for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rotective walls. However, no related evidence has been presented. In this study, the blast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protective wall was analyzed by the pressure-impulse diagrams while changing the yield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reinforcement ratio, protective wall height, and thickness, to check the adequacy of the KOSHA GUIDE. Results show that failure may occur even with design based on the criteria presented by KOSHA GUIDE. In order to achieve structural safety of protective walls, additional criteria for minimum reinforcement yield strength and maximum height of protective wall are suggested for inclusion in KOSHA GUIDE. Moreover, the existing value for minimum reinforcement ratio an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all should be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