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underachiever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8초

수학 기본학습부진아 프로그램이 수학 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athematics basis underachiever program on a mathematics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ttitudes.)

  • 한진규;서종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7-5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athematics basis underachiever program on a mathematics achievement and mathematics attitudes. For this investigation, twenty eight-grade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ed in a mathematics basis underachiever program by trained teachers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for a period of 8 weeks. Twenty eight-grade students in another middle school, serving as a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given a pretest and a posttest to check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spection tool(Likert-type Mathematics Attitude Survey; LTMAS) and a mathematics attitude inspection tool(KEDI, 2001). In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components of inequality equation, figure area and the whole in a mathematical achievement(p<.05).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mathematics attitude components of positive mathematics attitude, negative mathematics attitude and the whole in a mathematical attitude(p<.05).

  • PDF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Meta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by the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of learning mathematics)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31-45
    • /
    • 2020
  • 시대적 흐름과 정부의 정책 시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학습부진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원인을 밝혀내거나 교수학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49편을 메타분석하여 수학학습부진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큰 효과크기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수학학습부진아에게 교수학적 처치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러 중재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점도 얻을 수 있었다.

멘토링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태도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The Changes of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for Underachiever of Learning Mathematics Using Mentoring)

  • 권수진;임대근;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123-14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described the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to the underachiever's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a mentoring class had been carried out for 30 weeks, with two students who was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t was carried out contrastive analysis on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 in the math class before and after the mentoring, using a questionnaire of learning attitude in math with 40 questions, filling the blanks in sentence, recording files of class, and mentoring journals. As a result, before taking the mentoring class,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were negative and low in five subordinate concepts(learning attitude, such as their tendency, interest, desire, confidence, attitude, and studying habits in math). However, after the mentoring class, the two students were remarkably changed in positive way on the five concepts in learning mathematics. Therefore, it is helpful to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f the mentoring program is used since it yields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attitude.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활동 분석 (The Analysis of Metacognitive Activity Through Writing Using CAS Calculator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

  • 김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31-545
    • /
    • 2010
  •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가 대수 학습에서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을 하여 어떠한 메타인지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한 그룹은 처치그룹으로 지필과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그룹은 통제그룹으로 지필만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각 그룹 학생들의 활동지를 살펴본 결과, 처치그룹이 통제그룹보다 메타인지 활동이 더 활발히 일어났으며 몇 가지 측면에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수학학습부진아의 CAS을 도입한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한 성차분석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on mathematics achievement after learning using CAS on mathematics underachiever)

  • 김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7-180
    • /
    • 2011
  • 본 논문은 CAS 계산기를 사용한 학습을 하고난 후의 고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중 남녀 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처치집단으로 지필과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필만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이러한 학습의 전과 후에 지필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처럼, 처치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처치집단의 남학생과 통제집단의 남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비교와 처치집단의 여학생과 통제집단의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비교에서는 모두 처치집단의 학생들이 더 높은 성취를 이루었다.

학습 부진아의 수학적 성향 제고를 위한 수학캠프 (A Study on the Math. Camp to Improve Underachiever's Mathematical Disposition)

  • 박혜숙;박기양;김영국;박규홍;박윤범;임재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29-144
    • /
    • 1999
  • The purpose of our work is to developing the program of math. camp to improve underachiever's mathematical disposition. To do this, the following research were taken; (1)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programs for underachievers (2)Analysis of inclination to mathematics(We collected the data from 2 classes of middle schools) (3)Prepare and apply the program of math. camp for the students including underachievers, and then analysis the effect of the math. camp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Only 40% of investigated schools have their own programs for underachievers. But almost all general high schools do not have such programs because students do not want. More than half of the investigated teachers suggest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underachievers is the induction of motivation for mathematics. (2)Many students dislike mathematics from 5∼6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more than 50% of students think that 'measure' and 'equations' items are difficult. (3) After attending the math. camp based on the games and activities in small groups, the students in the middle-ranking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actions against the item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tests. The students in the row-ranking group were improved in the 'self-confidence' and 'will' item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test and in the 'superiority' and 'interest' items of mathematical attitude test.

  • PDF

수학 학습 부진아와 교사의 유관 조절식 상호작용의 효과 - Vygotsky 이론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on contingent regulation between teacher an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mathematics - Based on Vygotsky theory -)

  • 류성림;정윤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371-38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on contingent regulation between teacher an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ulcorner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ffectionate perspective\ulcorner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dult regulation\ulcorner Two classes of fifth grade Children(10 children) were sampl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city of Daegu. One of them was assigned to the contingent regulation group and the other to natural regulation group.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7 weeks. Two kinds of test instruments were used : pre-test and post-test. The pre-test scores guaranteed that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Post-test was used to identify two effects(research questions (1) & (2)) and the post-test scores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is means that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contingent regulation was higher in post-test. The self-control indicated in experiment group. (2) There was slight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ffectionate perspective. This means that experiment group turned to slightly positioner in post-test.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ingent regulation and natural regulation in adult regulation. In other words, level of contingent regulation changed depending on underachievers' ability but level of natural regulation didn't change. Therefore, I suggest that contingent regulation based on Vygotsky theory would provide effective mathematics education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 PDF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한 학생을 대상으로 - (A Case Study on Levels of Arithmetical Thinking of an Underachiever in Number and Operation - Focusing on a 6th Grader -)

  • 임미인;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489-508
    • /
    • 2016
  • 수와 연산은 초등수학에서 가장 기본이고 핵심이면서도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영역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학습의 어려움은 계산 방법이나 계산 기능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관련 사고의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대두된다. 본 연구는 Guberman(2014)에 기초하여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 및 산술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여 산술에 관한 어려움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학 학습 중 유독 수와 연산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이는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산술적 사고 수준 및 산술 개념 이해 검사를 실시하고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학생의 산술적 사고는 Guberman의 1수준에 해당하며 몇 가지 산술 개념과 관련하여 이해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구체적인 처방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학 교과에 대한 기본 학습 부진 요인 분석 (The Analysis in the Basic Cause of Learning-Stagnation on Mathematic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원;방승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49-270
    • /
    • 2006
  • 본 연구는 수학 교사가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부진 학생의 이해를 위하여 교수학습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학 교과에서 학습 부진을 나타내는 중학생 대상으로 이들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질적 자료를 중심으로 수학 부진 학생 중학교 남자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진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2가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학학습 습관, 수학적 태도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들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부진 요인을 조사하였다.

  • PDF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에서 단계 분기의 피드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p branch's feedback in teaching for mathematic s underachiever)

  • 서종진;변두원;김응석;김승동;노영순;박달원;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49-271
    • /
    • 2005
  • 본 연구는 단계 분기의 피드백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차 성취도, 수학에 대한 태도, 자기점검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전에 소재한 H중학교 2학년 수학 학습부진아 23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단계 분기의 피드백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일반적인 형성평가의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6 주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단계 분기의 피드백 집단이 일반적인 형성평가 집단에 비하여 수학 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효과(p<.05)가 있었으며, 자기점검 정도에서도 더 향상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