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learn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6초

An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in E-learning based LEGO-Like Brick Assembling

  • Tran, Van Thanh;Kim, Dongho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83-786
    • /
    • 2016
  • E-learning is a new teaching model nowadays, and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reported that the use of virtual reality as an education tool can increase student interests, understanding, and creative learning because of encouraging students to learn by exploring and interacting with the information on the virtual environment. Besides that, LEGOs have long been the favorite of many children. LEGOs provide a mechanism to understand and do for many concepts from spatial relationships to robotics platfor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based on the assembly of LEGO-Like bricks to increase math and science learning by improving spatial thinking. It not only encourages students to pursue career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or mathematics but also enhances learner's ability to analyze and solve problems. The application is built by Processing 2.0 as the easier programming language which is a top-down approach to build the 3D interactive program.

An Intuitionistic Fuzzy Approach to Classify the User Based on an Assessment of the Learner's Knowledge Level in E-Learning Decision-Making

  • Goyal, Mukta;Yadav, Divakar;Tripathi, Alk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57-67
    • /
    • 2017
  • In this paper, Atanassov's intuitionistic fuzzy set theory is used to handle the uncertainty of students' knowledgeon domain concepts in an E-learning system. Their knowledge on these domain concepts has been collected from tests that were conducted during their learning phase. Atanassov's intuitionistic fuzzy user model is proposed to deal with vagueness in the user's knowledge description in domain concepts. The user model uses Atanassov's intuitionistic fuzzy set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linguistic rules for updating the user model. The scores obtained by each student were collected in this model and the decision about the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for each concept whether completely learned, completely known, partially known or completely unknown were placed into the information table.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fuzzy scheme.

Examining How Teacher Identities Explain Their Interactions with Students in Small Groups

  • Pak, Byung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17-133
    • /
    • 2022
  • Examining ways to interact with students in small groups is an important topic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Existing studies pertaining to the topic have not shed light on knowing why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in small groups the way they do. Given that teacher identity shapes teaching practices, this study explores how teacher identity shapes teachers'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small groups. Working with two beginning teachers, I conducted four interviews to collect the data related to reasons behind their interactions with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interview. I analyzed the interview transcripts using a thematic analysis. I found that one teacher's teacher identity was related to her personal experiences as a child and a learner and another teacher's teacher identity was related to her view of teachers' roles as a teacher. I provid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알파고와 이세돌의 챌린지 매치에서 분석된 인공지능 시대의 학습자 역량을 위한 토포필리아 융합과학 교육 (Topophilia Convergence Science Education for Enhancing Learning Capabilitie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Case of Challenge Match Lee Sedol and AlphaGo)

  • 윤마병;이종학;백제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23-131
    • /
    • 2016
  • 본 연구는 2016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에서 최고 수준의 딥러닝 인공신경망을 갖고 있는 인공지능 알파고와 인간지능의 대표로 상징되는 바둑 최고수의 대국 분석 및 문헌 연구로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학습자의 역량 교육에 대해 논의했다. 알파고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바둑의 정석과 상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바둑의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기발한 수를 두었고, 이세돌은 알파고도 생각하지 못한 '신의 한 수' 로 인공지능 수퍼 컴퓨터를 이길 수 있었다. 이는 인간의 집념과 도전, 인간 본성의 통찰과 직관의 승리였다. 인공지능 시대에 기계를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는 학습자 역량을 기르기 위한 융합과학 교육은 자연으로부터의 감성적 체험과 토포필리아 교육으로 인공지능이 갖지 못한 인간 본성의 다채로운 감성과 통찰, 긍정적 정서를 함양시킬 수 있는 방향이어야 한다.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별 집단구성방법이 수학적 태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Grouping Method by Personality Types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Achievement i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 오윤숙;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11-227
    • /
    • 2008
  • 수학과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을 포함한 유기적인 상호과정은 매우 중요하며, 소집단의 구성 방법은 학습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수학과 협동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소집단이 구성되어야 하며 이때에는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의적 요인도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요인 중, 학생이 어떻게 학습하고 무엇을 학습하는지의 개인차를 나타내주는 성격유형을 협동학습을 위한 소집단 구성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5학년을 대상으로 MMTIC 검사를 통해 성격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을 구성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격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 수학적 태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수학과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유형별 동질집단 구성이 수학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학생들의 수학 흥미와 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longitudinal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interest and achievement: Using multivariate growth mixture model)

  • 김래영;한수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19-33
    • /
    • 2024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수학 흥미와 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4-6차년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학 흥미와 성취도의 변화 양상에 이질적인 특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종단적인 변화 양상에 따라 학생들을 4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흥미와 성취도가 모두 낮은 저수준 유형, 모두 높은 고수준 유형,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중수준-증가 유형,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중수준-감소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유형마다 흥미와 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의 초기값과 기울기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학 흥미와 성취도는 초기값뿐 아니라 변화율에 있어서도 서로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수업방식, 가정 변인으로 나누어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고, 학생의 교육포부와 사교육 시간은 수학 흥미 및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선행학습의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학생이 인식한 수업방식의 경우, 교수자 중심 수업은 흥미와 성취도가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고, 학습자 중심 수업은 흥미와 성취도가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을 통해 수학교육에서 흥미와 성취도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에 대한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적분 단원에 관한 CAI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for Definite Integral)

  • 우제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97-109
    • /
    • 1998
  •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to try to reach the lesson object most closely in many ways. Considering that the lesson objects are to get the principle or law of a concept, to acquire the mathematical function, to master it through repeated exercises and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we need many ways to reach such objects. Among the many ways, we can first think of one: the students will learn with curiosity and according to their own ability or advancing level in learning when teachers study and prepare necessary contents enough in advance by using computers, showing the right program to learners' needs. For example, defining definite integral by measuration by parts will help understand measuration by parts well and know the meaning of definite integral correctly, In teaching and learning by the use of this program, the educational effects are expected as follows. 1. It is thought that this program will stimulate the desire for and interest in learning because it used animation and acoustic effect. And voluntary and positive thinking activity will be shown. 2. It is expected that the conviction of formulas will be got and the concept of definite integral will be remembered firmly by showing how to measure the width of circle with the use of measuration by parts in various other ways instead of the ways used at present. 3.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feel the pleasure of mathematics in life when they recognize mathematical facts scattered really in our life rather than mathematical difficulties. 4. It is expected that the repeated review of programs already designed will remove the fear of incomplete parts and help review again. 5. It is certain that positive attitude in life will be formed as teacher-centered class is changed into learner-centered class and unwilling study is changed into self-oriented study. However, I think this program is insufficient for humanbeing-centered education given directly in contact with students on the ground of the variety in mathematical education and applications in many ways. And mechanically inhuman computers leave some solutions to be desired

  • PDF

반영적 추상화와 조작적 수학 학습-지도 (Reflective Abstraction and Operational Instruction of Mathematics)

  • 우정호;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383-404
    • /
    • 1999
  • This study began with an epistemological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al cognition in relation to the learner's activity. Therefore, by examining Piaget's 'reflective abstraction' theory which can be an answer to the question, we tried to get suggestions which can be given to the mathematical education in practice. 'Reflective abstraction' is formed through the coordination of the epistmmic subject's action while 'empirical abstraction' is formed by the characters of observable concrete object. The reason Piaget distinguished these two kinds of abstraction is that the foundation for the peculiar objectivity and inevitability can be taken from the coordination of the action which is shared by all the epistemic subjects. Moreover, because the mechanism of reflective abstraction, unlike empirical abstraction, does not construct a new operation by simply changing the result of the previous construction, but is forming re-construction which includes the structure previously constructed as a special case, the system which is developed by this mechanism is able to have reasonability constantly. The mechanis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intellectual system through the reflective abstraction can be explained as continuous spiral alternance between the two complementary processes, 'reflechissement' and 'reflexion'; reflechissement is that the action moves to the higher level through the process of 'int riorisation' and 'thematisation'; reflexion is a process of 'equilibration'between the assimilation and the accomodation of the unbalan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l. The operational learning principle of the theorists like Aebli who intended to embody Piaget's operational constructivism, attempts to explain the construction of the oper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of the action, but does not sufficiently emphasize the integration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coordination' of the action and the ensuing discontinuous evolvement of learning level. Thus, based on the examination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reflective abstraction and the mechanism, this study presents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as following; $\circled1$ the principle of the operational interpretation of knowledge, $\circled2$ the principle of the structural interpretation of the operation, $\circled3$ the principle of int riorisation, $\circled4$ the principle of th matisation, $\circled5$ the principle of coordination, reflexion, and integration, $\circled6$ the principle of the discontinuous evolvement of learning level.

  • PDF

동료를 지도하는 수학 학습 능력 우수 학생의 학습 과정 탐색 (Exploring on Learning Process of Higher-Level Performers during Peer Tutoring in Mathematics)

  • 이환철;허난;강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177-191
    • /
    • 2010
  • 많은 교육학자들은 학교 수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소집단 협력 학습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 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면에서도 도움을 준다. 학습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생들은 개념, 원리, 법칙들을 이해하면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됨을 스스로 느끼는데 반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은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학습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이 부진한 학생과의 상호작용 특히 부진한 학생에게 수학을 지도하면서 어떤 수학 학습 과정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은 동료를 지도함으로 인해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높은 수준의 수학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 PDF

초등 수학 4-나 단계 6, 7, 8 단원 교사용 지도서의 재구성 (A Reconstructed Version of Teachers' Manual of Elementary Mathematics for Units 6, 7 and 8, Textbook 4 na)

  • 김해규;김현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47-177
    • /
    • 2006
  •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존중'의 정신을 기본적인 방향으로 설정하고, '수학적인 힘'을 기르는 것을 수학과의 우선적인 목표로 진술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교사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교사용 지도서가 학교 현장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4-나 단계 6, 7, 8 단원의 수학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도 방법과 활동 내용을 보다 더 상세하게 제시하고, 보조적인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한 후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재구성한 교사용 지도서의 미흡한 점을 수정 보완하여, 보다 더 개선된 교사용 지도서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