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item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PISA 2003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의 특징 (A Profile of Mathematical Literacy on Korean Students in PISA 2003)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7-176
    • /
    • 2005
  • 이 글에서는 PISA 2003(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03)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의 특징을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 평균 점수, 수학적 소양 수준의 분포, PISA 평가틀에 따른 수학적 소양 수준, 수학적 소양의 추이 분석, 남녀학생의 수학적 소양의 차이 등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의 인지적 측면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의 참여, 학생들의 자신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불안감, 수학 학습 전략 등을 중심으로 수학적 소양의 정의적 측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육 및 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초등학생용 공간 시각화 검사지 개발 및 표준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patial Visualization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59-171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를 개발하고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24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초등학생 148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의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alpha}$=.794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사지의 24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검사지의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검사지 24문항에 대한 문항난이도는 .200에서부터 .88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문항난이도는 .54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보이므로, 초등학생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수학적 과정의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using graphing calculators for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process -focused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 고상숙;주홍연;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163-18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using graphing calculators for the assessment of the mathematical process which was emphasized in 2009 reformed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ree sample calculator-based test items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process abilities and scoring rubrics for the paper and pencil assessment and assessment based on observation on each item.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assessment tools using graphing calculators and to show the procedures of assessment using technological devices, we also drew up assessment guidelines. We hop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assessment environment encouraging the use of graphing calculators in assessments.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TIMSS 8학년 수학 기하 영역의 성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Geometry of the TIMSS 8th Grade Mathematics Based on a Cognitive Diagnostic Modeling Approach)

  • 이현숙;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387-407
    • /
    • 2014
  • 수학에서의 성차는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 대한 공평성을 추구하는 맥락에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 왔다. 수학의 여러 영역 중 특히 기하 영역은 전통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성취를 보이는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성차가 완화되거나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경험적 증거들이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1년까지 3개 주기 동안 실시된 TIMSS 8학년 수학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기하 영역의 각 하위 인지요소에서 나타내는 성차를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인지진단모형 중 교육 전문가에게 유용하고 해석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Fusion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기하 영역의 세부 인지요소 중 '입체도형의 모양'에 있어서는 2003년과 2007년 각각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숙달 확률을 나타내었으나, 2011년에는 전체 인지요소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성차가 완화되고 있다는 최근 연구들을 지지하는 하나의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이밖에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성차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학생들의 인지요소 숙달 프로파일이 남녀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특정 문항을 푸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정의된 인지요소들이 성별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혹은 덜 중요하게 기능하는지 등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하 영역의 교수 학습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중학교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 강순자;장미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523-53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geometry classes which they had experienced during last 1 year, 2015.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validate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PACK framework in secondary geometry context.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28 items examining th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PACK. We conducted the item analysis with 28 items and then the exploring factor analysis. As a result, 28 items was categorized into 5 constructs, TPCK, TCK, TK, PCK, PK, different from Mishra and Koehler's categorization. We analyzed th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with respect to geometry classes based on 5 TPACK construc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But technology integrat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iffered significantly. The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eachers have, the lower level of TPCK and TK they have and the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eachers have, the higher level of PCK they hav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PCK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aking the technology courses during the time at university. Furthermore, we provide the implication for the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 for the mathematics teachers in middle schools.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

IMPROVING GLOBAL SUPPLY CHAIN RISK IDENTIFICATION USING RCF

  • MYUNGHYUN, JUNG;SEYEON, LEE;MINJUNG, GIM;HYUNGJO, KIM;JAEHO,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26권4호
    • /
    • pp.280-295
    • /
    • 2022
  • This paper contains an introduction to industrial problems, solutions, and results conducted with the Korea Association of Machinery Industry. The client company commissioned the problem of upgrading the method of identifying global supply risky items. Accordingl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pply and demand of imported items in the global supply chain were identified and the method of selecting risky items was studied and delivered. Through research and discussions with the client companies, it is confirmed that the most suitable factors for identifying global supply risky items are 'import size', 'import dependence', and 'trend abnormality'. The meaning of each indicator is introduced, and risky items are selected using export/import data until October 2022. Through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countries and companies will be able to identify global supply risky items in advance and prepare for risks in the new normal situation: the economic situation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export/import regulation due to geopolitical problems. The client company will include in his report,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and the risky items selected by the method.

초등학교 6학년 성취도평가 문항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분석 (The Analysis of Cause of Gender Gap in Items of 6th Grad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서보억;이광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1호
    • /
    • pp.13-29
    • /
    • 2012
  • 본 연구는 초동학교 6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남녀간 성차가 두드러진 문항에 대한 심층 분석 연구이다. 국가단위 시험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큰 문항들을 선택하고, 이러한 문항에서 어떤 수학 내적 원인이 성차를 유발하였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난 8년간의 성취도평가 문항 중에서 남녀 차가 현저한 문항들을 선택하고, 이러한 문항에 대한 문항 개념도를 작성한다. 문항 개념도를 바탕으로 본검사 문항을 개발하고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남녀 차가 발생한 원인을 수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 및 교과서 개발에 유의미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 평가 결과의 분석을 위한 인지 진단 이론의 활용 (Using Cognitive Diagnosis Theory to Analyze the Test Results of Mathematics)

  • 김선희;김수진;송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59-277
    • /
    • 2008
  • 본 연구는 인지 진단 이론을 활용하여 수학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교수 학습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3{\sim}2006$년에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중학교 3학년 수학 검사에서 30개의 선다형 문항을 선정하여 검사지를 재구성하고 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지 진단 이론의 한 모형인 Fusion Model을 적용하여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검사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숙달한 수학적 속성을 판별하고, 학생 전체와 성취수준별로 숙달한 속성과 그 속성의 개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 학생 개개인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진단과 처방, 추후 학습 지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교사 임용 시험에서 수학 교과 문항의 출제 동향 분석 (A Study on Mathematics Question Item Tren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 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31-448
    • /
    • 2015
  •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은 초등교사의 수학을 가르치기 위한 지식(MKT)을 의미 있게 측정하고, 나아가 MKT를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재까지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문항들에 대한 분석이 면밀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출제된 초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수학 교과 문항 84개의 출제 동향을 문항 유형, 대상 학년, 내용 영역, 주제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임용시험의 전체적인 경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초등 교사의 MKT와 관련하여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임용시험은 문항 유형에서 서답형(71.4%)이 주로 출제되었고, 대상 학년에서는 통합 학년(41.7%)의 문제 출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 영역의 측면에서는 수와 연산(31.0%), 측정(23.8%), 도형(15.5%) 영역의 순으로 출제 비중이 높았다. 주제별 동향에서는 교과서/지도서(34.5%), 문제해결(26.2%), 학습심리(13.1%)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지만, 평가와 관련된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용시험의 초등수학 출제 문항으로 2000년 이후의 모든 문항을 선행 연구의 기준을 구체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초등교사의 MKT와 관련하여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