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thematics Question Item Tren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초등교사 임용 시험에서 수학 교과 문항의 출제 동향 분석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has to be implemented for knowledge(MKT) to estimate and to be a step in the expansionary direction. For this, It has to be analyzed closely in terms of teacher's MKT first that questions set from selection tests until now. In this research, some standards were established by type of question, grade, contents field and subject from 84 mathematics questions set at examinations. And it was analyzed concretely by general tendency and produced the results of analysis related to elementary teacher's MK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since year 2000. The results showed that descriptive and short answer type was mostly set(71.4%) in type of question and integrated grade type was mostly set(41.7%) in type of grad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And in type of contents field, rated from highest to lowest, number and operations(31.0%), measurement(23.8%), figure(15.5%) were set. Textbook/manual(34.5%), solution of problem(26.2%), learning psychology(13.1%) in status of subject were followed in order, but there's no relationship with estimation. This research was based on a standard of precedent study and made an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questions of selection test since year 2000. Therefore, it has a meaning because of produced results from analysis related to elementary teacher's MKT.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은 초등교사의 수학을 가르치기 위한 지식(MKT)을 의미 있게 측정하고, 나아가 MKT를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재까지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문항들에 대한 분석이 면밀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출제된 초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수학 교과 문항 84개의 출제 동향을 문항 유형, 대상 학년, 내용 영역, 주제별로 기준을 설정하여 임용시험의 전체적인 경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초등 교사의 MKT와 관련하여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임용시험은 문항 유형에서 서답형(71.4%)이 주로 출제되었고, 대상 학년에서는 통합 학년(41.7%)의 문제 출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 영역의 측면에서는 수와 연산(31.0%), 측정(23.8%), 도형(15.5%) 영역의 순으로 출제 비중이 높았다. 주제별 동향에서는 교과서/지도서(34.5%), 문제해결(26.2%), 학습심리(13.1%)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지만, 평가와 관련된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용시험의 초등수학 출제 문항으로 2000년 이후의 모든 문항을 선행 연구의 기준을 구체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초등교사의 MKT와 관련하여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고은아 (2011). 중등임용고사 수학교육학 분야 문항 분석.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희정 (2013). 고등학교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수학교수에 대한 지식(MKT)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신호, 전세경, 이명주 (2001). 초등교사 양성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초등교육연구, 14(3). 89-116.
  5. 김종명 (2011). 교직 적성에 맞는 교사 선발을 위한 초등교원신규임용제도 개선방안 탐색.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해규 (2012). J대학교 교육대학 3학년 학생들의 수와 연산 영역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91-509.
  7. 나귀수 (2005). PISA2003 수학 문항 정답률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학교수학, 7(3), 221-235.
  8. 도종훈, 박윤범, 박혜숙 (2014). 지방 중소도시 소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679-695.
  9. 박경미 (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48(1), 93-105.
  10. 방정숙, 김상화 (2008).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 교사 임용 시험 체제 개편.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 9, 71-93.
  11. 박정 (2010). 초등교사 임용시험의 타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821-842.
  12. 안병곤 (2009). 초등수학에서 연산 영역의 곤란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17-30.
  13. 왕몽매 (2014).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임용제도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재봉, 김흥수, 김선배 (1997). 초등교사 양성 및 임용체제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3-65.
  15. 이종학 (2014). 초등 예비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D교육대학에서 수학과 국어를 심화 전공하는 4학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교사교육연구, 53(4), 559-580.
  16. 조동섭, 김성기, 손민호, 전제상, 김국현 (2009). 교원임용시험 소수인원 선발과목의 전형체제 개선방안(연구보고 RRO 2009-6).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최민정 (2015).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 교사의 수학적 지식(MKT)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돈형, 권동택, 김경철, 김성혜, 김정환, 김진수, 박병기, 박선화, 박소영, 박영민, 박종률, 조난심, 조성기 (2010).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 과정과 교사 임용시험 체제의 연계성 강화방안 연구(연구 보고 RRI 2010-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최승현, 구자형, 양희정, 조성민, 황혜정, 김효숙, 이경은, 조혜정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연구 보고 RRI 2007-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49(1), 67-83.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009학년도 프랑스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제(연구 보고 ORM 2009-1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황혜정, 최승현, 조성민, 박지현 (2013). 수학 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23.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4). 신규임용의 의의와 기능. 인천교육대학교 출판부.
  24.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4554
  25.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NJ: Erlbaum.
  26.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2307/1175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