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symbol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19초

교과서에 표현된 복소수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분석 (Complex number on textbooks and Analysis on understanding state of students)

  • 박선호;표성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1호
    • /
    • pp.1-19
    • /
    • 2012
  • In this study, content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andbook' and 16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state of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s by making questionnaires to survey the understanding state on contents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in textbook was not logically organized. In the introduction of imaginary number unit, two kinds of marks were presented without any reason and it has led to two kinds of notation of negative square root. There was no explanation of difference between delimiter symbol and operator symbol at all. The concepts were presented as definition without logical explanations. Second, students who learned with textbook in which problems were pointed out above did not have concept of complex number for granted, and recognized it as expansion of operation of set of real numbers. It meant that they were confused of operation of complex numbers and did not form the image about number system itself of complex number.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we came over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were too abbreviated to have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chapter in order to remove the burden for learning. Therefore,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logical configuration fit to the level for high school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formal operating stage are required for correct configuration of contents of chapter. Second,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hapter of complex number and reconstruct the contents of chapter to let students think conceptually and logically.

등호 해석의 두 시간적 차원인 읽기.쓰기의 불일치와 그 해소 (Discrepancy between Reading and Writing Equality Number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 임재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7-223
    • /
    • 2013
  • 이 논문은 5+2=7과 같은 등호가 들어 있는 식의 읽기와 쓰기라는 두 행위 사이의 불일치 및 그 해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 관하여 논한 것이다. 기호 이해의 시간적 차원과 등호 개념의 이중성을 바탕으로, 초등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등식 읽기와 쓰기 방법을 분석하였다. 교사는 수업에서 기호 읽기와 기호 쓰기를 통해 무시간적인 차원의 기호를 시간 속에 펼쳐 놓는 시간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읽기 순서와 쓰기 순서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교사가 어떻게 해소하는가는 학생들의 기호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등식 읽기를 쓰기 관습에 종속시켜 이 불일치를 해소하면, 관계적 관점을 나타내고 있는 교과서의 등식 읽기를 조작적 관점의 읽기로 변환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등호의 관계적 의미 이해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보면, 쓰기를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 방식에 종속시키는 방향으로 불일치를 해소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등호의 읽기 쓰기를 부등호의 읽기 쓰기와 통합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 PDF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학습전략 -함수중심으로- (Design of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gifted student and Teaching-learning strategy - Focusing on functions -)

  • 이중권;이재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61-73
    • /
    • 2006
  • 함수는 학교수학의 전반에 걸쳐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학교수학에서의 함수영역은 통합적 사고를 향상 시키고 다양한 수학적 표현을 통해 학생들은 수학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단원이다. 함수에 대한 학습은 수학적 기호체계를 사용하여 복잡한 사회 현상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거나 서로 다른 현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수학의 기초 단계의 학습이다. 또한,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학교수학에서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함수 영역을 통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교수-학습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 영재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전략을 세워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입하여 적절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수학영재 학습자들의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력향상을 위하여 실생활과 관련이 많은 문제를 도입하였고 교수-학습 전략은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모둠별 학습이나 토론, 발표 수업을 위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함수영역에서 실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영재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교수-학습전략을 세움으로써 수학영재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실생활의 문제들을 설계하고 해결함으로서 수학영재학습자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향상 시키고자 한다.

  • PDF

A SUMMATION FORMULA FOR THE SERIES 3F2 DUE TO FOX AND ITS GENERALIZATIONS

  • Choi, Junesang;Rathie, Arjun 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03-108
    • /
    • 2015
  • Fox [2] presented an interesting identity for $_pF_q$ which is expressed in terms of a finite summation of $_pF_q$'s whose involved numerator and denominator parameter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tarting one. Moreover Fox [2] found a very interesting and general summation formula for $_3F_2(1/2)$ as a special case of his above-mentioned general identity with the help of Kummer's second summation theorem for $_2F_1(1/2)$. Here, in this paper, we show how two general summation formulas for $$_3F_2\[\array{\hspace{110}{\alpha},{\beta},{\gamma};\\{\alpha}-m,\;\frac{1}{2}({\beta}+{\gamma}+i+1);}\;{\frac{1}{2}}\]$$, m being a nonnegative integer and i any integer, can be easily established by suitably specializing the above-mentioned Fox's general identity with, here, the aid of generalizations of Kummer's second summation theorem for $_2F_1(1/2)$ obtained recently by Rakha and Rathie [7]. Several known results are also seen to be certain special cases of our main identities.

칠성화(七星畵)의 그래픽체계 분석 (Graphic system analysis on the Chil Sung Hwa(seven stars picture))

  • 나윤화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22-29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시각 조형적인 입장에서의 '칠성 화(七星畵)'를 대한(大韓)민족 고유의 시각전달체계의 한 심벌(symbol)로서 이해하였다. 또한 그것에 대한 그래픽분석을 통해 토속적인 민족의 정서를 단순하고 그래픽한 선과 색채로써 수학적인 그리드(grid)안에 규격있게 표현하였음을 분석하였다. 이에 칠성 화를 조상의 시각 조형물로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한 분야로 정착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에 그래픽 측면 구조분석의 구체적 내용을 요약하면 1) 동양의 수학적 사고와 공간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양의 공(空)과 허(虛)로 일컬어지는 0(zero)의 개념과 수학의 무한(無限)의 수(數)개념을 설명하였으며, 이것을 근거로 음양론(陰陽論)을 기초로 한 대칭 개념의 발전으로 대각선 전개 법을 유추하여 방위개념에 의거한 공간분할 방식을 설명하였다. 2) 비례분석에서는 황금 분할비 구형을 기준하여 현대적 레이아웃에 있어 시각중심 위치를 잡고 분석하였는데 이에 칠성화의 존상(尊像)의 미간중심을 그 비례 중심적으로 지정하였다. 3) 수학적 구조 분석은 균형있는 배열 및 그 형태법칙에 어떠한 통일된 원칙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황금 분할 비에 의거하여 분할한 그리드를 적용시켜 그 위에 주(主)인물과 부(副)인물의 기본적인 움직임에 인체모듈(module)에 기준한 형태법칙을 유추 분석하였다. 이에 칠성화의 경우 만다라(曼茶羅) 도형의 기본 분할 방법과 그 맥을 같이 하여 두 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 PDF

구체적 조작.실험을 통한 탐구활동이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 및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quiring Activities through Manipulative Materials-Experiment on Geometrical Properties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 임근광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01-722
    • /
    • 2010
  • 기하를 학습하기 위해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해서 조사하고, 실험하고, 탐구해 보아야 한다. 구체적 조작활동은 수학적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이나 절차를 이해하게 하고 이것을 기호로 나타내 주는 것을 도와주고 컴퓨터를 활용한 실험활동은 추상적인 학습내용을 시각화하여 직관적, 탐구적 활동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체물과 탐구형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체적 조작 실험 활동을 할 수 있는 활동지를 개발하여 평면도형의 성질을 탐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 조작 실험의 수업은 중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평면도형의 성질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상위수준 및 하위수준의 학생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조작 실험 활동을 할 때 활동에 필요한 자료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활동을 선택하게 할 때 교사의 치밀한 계획과 관찰이 요구된다. 또한 조작활동 후 수학적 의미를 연결짓기 위한 토론 활동이 요구된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변수 개념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Concepts of Variable)

  • 하수현;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2호
    • /
    • pp.213-2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variable on various aspects of school algebra. For this purpose, the test of concepts of variable targeting a sixth-grade class was conducted and then two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 The lev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two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s of variabl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little basic understanding of the variables and they had many cognitive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Second, the students were familiar with only the symbol '${\Box}$' not the other letters nor symbols. Third, students comprehended the variable as generalizers imperfectly. Fourth, the students' skill of operations between letters was below expectations and there was the student who omitted the mathematical sign in letter expressions including the mathematical sign such as x+3. Fifth, th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reason the patterns inductively and symbolize them using variables. Sixth, in connection with the variables in functional relationships, the students were more familiar with the potential and discrete variation than practical and continuous vari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gives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arly algebra education, especially the teaching methods of variables.

다양한 형태의 등비급수 과제들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과 표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tudent's thoughts and expressions on various types of geometric series tasks)

  • 이동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353-369
    • /
    • 2018
  • This study start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Suppose that students do not accept various forms of geometric series tasks as the same task. Also, let's say that the approach was different for each task. Then, when they realize that they are the same task, how will students connect the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is a process of pro-actively confirming whether or not such a question can be made. For this purpose, thre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teaching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also confirmed how the students think about the various types of tasks in the geometric series. For example, students have stated that the value is 1 in a series type of task. However, in the case of the 0.999... type of task, the value is expressed as less than 1. At this time, we examined only mathematical expressions of students approaching each task. The problem of reachability was not encountered because the task represented by the series symbol approaches the problem solved by procedural calculation. However, in the 0.999... type of task, a variety of expressions were observed that revealed problems with reachability. The analysis of students' expressions related to geometric serie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infinite concepts and limit conceptual research. The problems of this study may be discussed through related studies. Perhaps more advanced research may b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se discussions, I expect that the contents of infinity in the school field will not be forced unilaterally because there is no mathematical error, but it will b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think about the learning method in a natural way.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ifficulties in the Area of Function Suffered by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s)

  • 진선미;송영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87-20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이에 대한 지도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좀 더 심층적인 학습 부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인터뷰, 녹음과 관찰 등을 통한 사례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음으로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차이를 보이는 어려움으로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어려움, 형식화하여 답을 찾으려고 하는 어려움, 대수 기호의 구분을 정확히 하지 못함으로써 겪는 어려움 그리고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COMPLETE GENERALIZED τ-HYPERGEOMETRIC AND SECOND τ-APPELL FUNCTIONS

  • Parmar, Rakesh Kumar;Saxena, Ram Kishore
    • 대한수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363-379
    • /
    • 2016
  • Motivated mainly by certain interesting recent extensions of the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 [Integral Transforms Spec. Funct. 23 (2012), 659-683] and the second Appell function [Appl. Math. Comput. 219 (2013), 8332-8337] by means of the incomplete Pochhammer symbols $({\lambda};{\kappa})_{\nu}$ and $[{\lambda};{\kappa}]_{\nu}$, we introduce here the family of the incomplete generalized ${\tau}$-hypergeometric functions $2{\gamma}_1^{\tau}(z)$ and $2{\Gamma}_1^{\tau}(z)$.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se extensions and investigate their several properties including, for example, their integral representations, derivative formulas, Euler-Beta transform and associated with certain fractional calculus operators. Further, we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family of incomplete second ${\tau}$-Appell hypergeometric functions ${\Gamma}_2^{{\tau}_1,{\tau}_2}$ and ${\gamma}_2^{{\tau}_1,{\tau}_2}$ of two variables. Relevant connections of certain special cases of the main results presented here with some known identities are also point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