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disposition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의견교환을 통한 교수.학습활동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s of Application of Communica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on Number and Operation, Mathematical disposition)

  • 이중희;최창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223-24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ffect on formation of computational abilities and dispositions to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pplying of communica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s a result of analysis, we could get some suggestive points and also we could make sure that computational abilities and dispositions of the first grade students are formed by applying of communica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However, help and control of teacher have to be with it.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 고창수;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7-370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에게 8가지 주제로 총 16차시의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모델링 중심의 수학 수업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수업에 비해서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의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수학적 모델링 활동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추론, 반성적 사고와 같이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수학에 대한 긍정적 성향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학적 모델링 중심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양적 및 질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서 추후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모델링의 적용 가능성 및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 학습방법 연구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문제해결에서 생산적 실패의 경험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Experiences of Productive Failure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 박유나;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23-1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에서 생산적 실패를 한 경험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생산적 실패를 경험할 수 있도록 수업 과정을 고안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 은평구 Y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반은 생산적 실패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비교반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수학 개념이해 검사, 다양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검사,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t-검정하였으며, 학생들의 토의과정 및 활동지, 면담 등을 활용하여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성향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적 실패를 경험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실패를 통해 수학 개념을 스스로 구성하면서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보인다. 심층적인 추후 연구로 수학교과서 개발 및 수업 방법 개선에서 이를 활용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한 비율그래프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of Ratio Graph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 윤재훈;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1호
    • /
    • pp.39-5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실주의 수학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비율그래프' 단원을 재구성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교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6학년 학생 68명(실험반 34명, 비교반 34명)이었으며, 수업은 MiC 교재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하여 재구성한 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하여 재구성한 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ncorporating Coding on Student Experience: Lessons Learned from an Action Research

  • Schultz, Meghan;Noh, Jihwa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317-33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project was to study the effects of incorporating coding into the middle school math classroom affected student dispositions with math and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The project, involving a total of 107 US middle school students, used five data sources to examine these effects: a survey, a chart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a pre- and post-assessment before and after the coding project, and teacher observation with reflection forms. After analyzing the data, it was found that incorporating coding into the middle school math classroom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 math dispositions and their understanding of math concepts.

학습자와 함께 하는 수학게임 및 퍼즐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thematical Game and Puzzles With Learners)

  • 김상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67-58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학게임과 관련한 장 단점, 수학게임 적용 시 유의사항 등을 살펴보고, 몇 가지 수학게임의 적용 실제 또는 수학적 사고 능력 함양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의 발달과 수학적 성향을 개선시키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Elementary Teachers' Use of Mathematical Textbooks in Korea

  • Lee, Kwang-Ho;Ha, Su-H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261-29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Korean teacher textbook use and explore the effective use of textbooks. The researcher surveyed teachers to obtain information relative to their dispositions and views of textbook use, and a subset interviewed to obtain additional insight about these views. For the sample, 2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and a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teachers teach all the students simply by following the textbook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effective us of textbooks, teachers need to understand how to reconstruct the textbook within an understanding of the textbook authors' intension for the textbook content.

중학교 학습부진아의 수학 기피성향 치유방안 (On the Scheme to Cure the Mathematics Disliking Disposition of Underachievers in the Middle School)

  • 박혜숙;박기양;김영국;박규홍;박윤범;권혁천;박노경;백은정;황정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115-137
    • /
    • 2004
  • In this paper, we verified the effect and appropriateness of the scheme to cure the math. disliking disposition which is the cause of underachievement in learning. We choose 3 middle schools as the subject of experiment for this research. Each experiment class consists of 27∼30 students(underachievers) whose final test results of 1st school year in the middle school are 30∼60 points. In this case, we also select some middle level students whose test results are more than 60 points for the normal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suitable test materials to cure the mathematics disliking disposition of underachievers. We applied those test materials to the experiment schools during 2.5 months and we analysed the variation of disliking disposition, the variation of math. dislike students' number and the cure rate of the math. disliking disposi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we find that the factors of teacher and math recognition environment have on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math. disliking disposition between experiment class and comparison class under the 5% significance level in one middle school. We understand that this results caused by teachers' careful advice and guidance in that middle school. We also find that the number of student who dislike mathematics decreased in two middle schools. Furthermore 50% of math. disliking dispositions are cured for 9 disliking factors in the lower grade group(the group of underachievers) and as a whole, we can see that 50% of cure rate for the 7 factors of math. disliking in two middle schools. So we can understand that the experiment of our research was performed successfully in two middle schools. In this research, we find out that the scheme to cure the disliking dispositions for the factors of math. disliking depends on the factors of teacher who take charge of cure. So teachers must take interest in and must have careful concern to students and their math. disliking.

  • PDF

수학교과에서의 자기평가 (Self-Assessment in Mathematics)

  • 최승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123-133
    • /
    • 1999
  • For an appropriate assessment in mathematics, students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their learning by becoming aware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mathematics and by being able to assess their attainment of mathematical knowledge. The process of actively examining and monitoring students' own progress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process, and attitude is called self-assessment, Resear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found some important facts about the meta-cognitive process which is related to self-assessment : i. e. meta-cognition progress is composed of being aware of ones' own personal thinking of content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self-awareness) and engagement in self-evaluation. Tipical method for self-assessment in mathematics developed upon above finding about meta-cognitive progress is describing about students' knowledge and their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the beginning of the description in mathematics about themselves, students are required to answer which part they know and which part they don't know. Self-assessment of students' attitudes and dispositions can be just as important as assessment of their specific mathematical abilities. To make the self-assessment method a success, teachers should let students' have confidence and earn their cooperation by let them overcoming fear to be known the their ability to other students. In conclusion, self-assessment encourages students to assume an active role in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For teachers, student self-assessment activities can provide a prism through which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power can be viewed.

  • PDF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Focused on the Geometry and Measurement Strand)

  • 최병훈;방정숙;송근영;황현미;구미진;이성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45-68
    • /
    • 2006
  • 본 연구는 싱가포르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해 최근 고조된 국제적 관심을 바탕으로,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단원의 전반적인 전개방식 및 각 학년별 학습 내용과 주요 학습 주제 도입 시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교과서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구체적인 교과서 사례를 바탕으로 학습 내용 구성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블럭 학습형태인 반면에, 싱가포르는 반복 학습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싱가포르는 다각적인 분류 활동을 강조하여 도형의 핵심적인 속성을 파악하도록 교과서를 구성한 점이 돋보였다. 우리나라는 전형적인 모델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에, 싱가포르는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여 개념 형성에 폭넓은 기회를 주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