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content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5초

수분손상에 민감한 포장된 제품의 저장수명 예측 (Shelf Life Prediction for Packaged Produce Sensitive to Moisture Damage)

  • 이종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32
    • /
    • 1997
  • The change in moisture content of moisture sensitive products in moisture-semipermeable packages wa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the shelf life of a product-package combination. A mathematical model, and a computer program based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and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package was developed. The moisture content for products in moisture-semipermeable packages was determined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by means of the simulation model. These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prediction of the change in moisture content of packaged products over time by the simulation model is accurate, within a practical rang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values. The developed semi-empirical model is considered to have applications in industry, since it provides product shelf life information for a rang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with a limited number of experimentally obtained data points.

  • PDF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국산 주요 수종의 섬유포화점 이하 함수율 예측 모델 개발 (Moisture Content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for Major Domestic Wood Species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양상윤;한연중;박준호;정현우;엄창득;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11-319
    • /
    • 2015
  • 근적외선 반사율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리기다 소나무, 소나무, 잣나무, 백합나무의 섬유포화점 이하 함수율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시편들을 다양한 평형함수율 상태로 유도한 후 1000 nm~2400 nm 파장영역의 반사율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최적 함수율 예측 모델을 선정하기 위해 5가지의 수학적 전처리(moving average (smoothing point: 3), baseline, standard normal variate (SNV), mean normalization, Savitzky-Golay $2^{nd}$ derivatives (polynomial order: 3, smoothing point: 11))를 8가지 조합으로 각 시편의 반사율 스펙트럼에 적용하였다. 수학적 전처리 후, 변형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P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적 함수율 예측 모델을 도출한 전처리 방법은 리기다 소나무와 소나무의 경우 moving average/SNV, 잣나무와 백합나무의 경우 moving average/SNV/Savitzky-Golay $2^{nd}$ derivatives이며, 모든 모델은 3개의 주성분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시마가루 첨가 발아현미 쿠키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Prepared with (Laminaria longissima) Seatangle Powder)

  • 표서진;이선미;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17-62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of three different amounts of seatangle powder, sugar, and butter in germinated brown rice cookie prepared with seatangle powder.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which showed 16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seatangle powder, sugar and butter. The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ach test were measured, and these values were applied to the mathematical models.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The L value, a value and b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seatangle powder content and increased with sugar content. The a value and b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butter content, whereas the L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butter content.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butter content.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very significant values for texture (p<0.001), taste (p<0.01), and overall quality (p<0.05).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to be seatangle powder 4.25 g, sugar 49.86 g, and butter 58.23 g.

교수법적 내용 지식: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 사례 연구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5-308
    • /
    • 2007
  •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에 나타나는 교수법적 내용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8학년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과 면담을 수집하고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참여자인 수학 교사의 교수법적 내용 지식은 첫째, 각 개념과 주제들 간의 연계성, 다양한 형태의 문제 해결력,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수학 교과 내용 지식, 둘째, 수학의 특정 개념과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생각과 일반적인 오류,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혼동을 이해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실제 상황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교수학적 지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ptimization of Mass cultivation Media for the Production of Biomass and Natural Colourants from Two Marine Cyanobacteria by a Mathematical Design of Experiments

  • Sekar, S.;Priya, S.Sri Lavanya;Roy, P.Wesley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57-163
    • /
    • 2000
  • Optimization of chemicals in the large scale sea water medium and inoculum for biomass and natural colourants production in the marine cyanobacteria, Phomidium tenue BDU 46241 (phycoerythrin producer) and P.valderianum BDU 30501 (phycocyanin producer) was carried out by experiments in L8 orthogonal array. Mathematical analysis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se factors. The factor(s) that critically control the yield varied with the organism and the end-product further, the desirable level of these factors between the normal and a higher level tested was identified and improved media were evolved. In both cyanobacteria, higher level of $K_2$$HPO_4$, $NaNO_3$ and inoculum with normal level of ferric ammonium citrate was found to be desirable for biomass production and additionally, higher level of $MgSO_4$ for pigment production. The level of other factors varied with the organism and the end-product. Confirm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the clues obtained based on mathematical experimentation are valid. In P.tenue, the medium optimized for biomass production increased the yield of biomass by 495% and the medium optimized for phycoerythrin production increased the yield of biomass by 408% with 30% increase in phycoerythrin content of the biomass. Similarly in P.valderianum, the medium optimized for biomass production increased the yield of biomass by 224% and the medium optimized for phycocyanin production increased the yield of biomass by 143% with 44% increase in phycocyanin content of the biomass.

  • PDF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답사활동 수행 결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thematics Field Trip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현장을 교실이 아닌 교실 밖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최근 수학교육은 다양한 현장체험활동,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답사활동을 진행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리 고유의 역사적 문화재 속에서 실시한 예비교사의 수학답사활동 전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학답사활동의 목적인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문화-수학적 효과, 수학수업 개선 효과 및 수업목표지식, 수업내용지식 측면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답사활동은 예비수학교사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기하 영역에 대한 지식 해석 : 미국 예비교사들의 사례 (Interpretation of Teacher Knowledge in Geometry with Shulman - Fischbein Framework: Cases of US Preservice Teachers)

  • 김지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3-139
    • /
    • 2018
  • 많은 사람들이 교수에서 교사의 지식이 중요다고 동의하고, 이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정량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잘 가르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지식의 요소와 특징을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본 논문은 기하 영역에서 예비 교사의 지식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7명의 여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에 자원하여 참여하였고, 각 예비교사는 지필 형식으로 된 일련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예비교사의 지식은 수학적 알고리즘적 SMK, 형식적 SMK, 직관적 SMK, 알고리즘적 PCK, 형식적 PCK, 직관적 PCK로 분석되었다. 해결결과 예비 교사들은 강한 SMK를 갖고 있고, 그들의 뿌리깊게 자리잡은 SMK는 변하지 않으며, 그들의 SMK와 PCK는 상당한 관련이 있고, 그들은 학생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적절한 PCK를 갖고 있지만, 교수학적 전략을 제시함에 있어 직관적 PCK에 상대적으로 덜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하여 분석해 드러난 예비교사들의 지식은 향후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초.중등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 방정숙;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17-338
    • /
    • 2012
  •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 수업을 알아보기 위해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48개 하위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223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151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영역을, 중등 교사는 교수 학습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부 요소 별로 살펴보면, 초 중등 교사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등 교사는 좋은 수학 수업과 관련된 23개 요소에 대해서 중등 교사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중등 교사는 수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동기 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의 2개 요소에 대해서만 초등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본연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만들기에 관한 예비교사 지식 조사 연구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Story Problem for Division of Fractions)

  • 노지화;고호경;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지식 중 분수 나눗셈 스토리 문제 제기(problem posing)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눗셈에 관한 스토리 문제 제기 능력은 나눗셈의 개념을 실생활 맥락에서 유연하게 사용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초등 예비교사들이 향후 교실에서 실생활 소재를 통해 나눗셈 교수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치는데 있어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연수 나누기 분수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틀 기준에 따라 '수학적 정교성'과 '주요 오류 유형' 그리고 '나눗셈 연산 모델'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초등 예비교사의 나눗셈 교사 지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 문제제기 과제 분석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roblem-Posing Tasks in 7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2015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박미미;이은정;조진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23-139
    • /
    • 201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 수학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문제제기 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주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문제제기 과제를 내용 영역, 과제 유형, 과제 맥락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2015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포함된 문제제기 과제의 수는 적은편이며, 내용 영역별로 과제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문제제기 과제의 수학적 제약의 정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학적 제약 조건이 강하거나 약한 과제보다는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제약 조건을 가지는 문제제기 과제가 더 많았다. 맥락 구성 요구에 따른 분석 결과, 학생들에게 새로운 맥락을 요구하지 않는 문제제기 과제가 더 많았고, 이러한 과제들은 주로 가장된 맥락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서에서의 문제제기 과제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