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Achievement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 허양원;김선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37-35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량도형의 MTEBI 16개 문항을 수정하여 새롭게 구성된 15개 문항의 검사도구를 통하여 살펴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이 담임하고 있는 학급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수학교과에 대한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상위집단의 학급이 하위집단의 학급보다 학업성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학업적 자아개념 및 교사와 부모의 학업적 지원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에 대한 종단적 분석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upport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27-156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아개념 및 교사와 부모의 학업적 지원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그룹별 학업적 자아개념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부모의 학업적 지원은 학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학 수직척도점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은 부모의 학업적 지원 보다 교사의 학업적 지원이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 따른 교육적인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문제제기 전략을 강조한 수업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분석: 방정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f problem posing strategi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 전미라;허혜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709-722
    • /
    • 1998
  • This thesis is to see if the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tudents' grades in math. So I set up research subjects as follow. 1. Do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have any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ulcorner 2. Do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have any different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levels\ulcorner 3. Do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have any different influenc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categories in math\ulcorner I close four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K middle school in Kangnung, Kangwon province for this thesis. First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two classes. One is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is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ken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The comparative group was taken classes by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n I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 First, the classes focused on problem posing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chievement Second, both the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oesn`t affect to the advanced students. Third, the classes using problem posing is more effective to the intermediate students and lower level students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Especially it is very effective in teaching the students the linear equation.

  • PDF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 수학수업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취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Effects of learner-centered mathematical instru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math self-efficacy and class engagement: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achievement lev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493-508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 수학수업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의토론학습은 수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과 협동학습은 수업참여에 직접적인 영향과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취 상·하위집단 간 토의토론학습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자기주도학습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수학자기효능감이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 중심 수학수업을 위한 학습의 조력자로서 수학교사의 역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수학과 평가 문항의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 분석 (Feature analysis for competency and representation type of mathematics assessment)

  • 박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2호
    • /
    • pp.209-22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을 출제할 때 핵심적으로 고려되는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을 규명하고, 수학과 평가 문항에서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 분석 및 2차에 걸친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평가 문항의 특성으로 수학 역량 범주는 12가지, 표현 형식 범주는 8가지를 추출하고, 이 특성들로 구성된 문항 특성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또한 문항 특성 분석틀을 활용하여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분석한 결과, 중 고등학교의 수학 역량 및 표현 형식 특성에 대한 출제 경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TIMSS 수학 평가에서 학교급 전환에 따른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 분석 (Analysis of the trend of mathematical achie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grade change in TIMSS)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121-14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TIMSS 수학 평가에서 이전 주기 초등학교 4학년이 다음 주기 중학교 2학년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으로 학교급이 전환됨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TIMSS 수학 평가 주요 8개국(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 일본, 미국, 영국, 호주, 러시아 연방)을 선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학교급 전환에 따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 학생들의 학업성취 변화 추이는 전체뿐만 아니라 내용 영역(수, 도형과 측정(기하), 자료 표현(자료와 가능성/자료와 확률), 성별, 지역 규모 등에 걸쳐 분석하였고, 학업성취도 평균과 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급이 전환됨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균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성취수준별 비율에서 학업성취 격차가 심화되었다. 둘째, 학교급 전환에 따라 내용영역별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었으며, 평가 주기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셋째, 성별이나 학교 소재지의 지역 규모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가 학교급 전환에 따라 심화되었으며, 학업성취도의 성취수준, 수학의 내용영역, 학생의 성별 및 학교 소재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국가나 시도교육청의 정책 실행 이외에 좀더 내실 있는 연구와 지원을 제안한다.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A Statistical Survey of the Freshmen's Math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Subdivision Areas of KSAT)

  • 김영희;허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3-535
    • /
    • 2006
  • We surveyed statistically the freshmen's achievement of the first year mathematics courses in Kwangwoon University, which were opened at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06. In doing so, we classified the freshmen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Area 'ga' or 'na' and the Natural Science or Social Science Area of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which they have chosen. We found that the freshmen who have chosen the Mathematical Area 'na' and the Social Science Area have the serious problem in studying the freshmen's math courses.

  • PDF

고등학교 수학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DDIE 모형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for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of math in high school - On the case of ADDIE model -)

  • 오택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329-352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each process of demand analysis(A), design(D), development(D), implementation(I) and evaluation(E) of the program to support mathematics learning of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of math in high school. To analyze the dem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35 high school math teachers and 334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under-achieved in mathematics. To design and develope the program, this study linked middle school math to high school math so that the students with poor math learning could easily participate in mathematics learning.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implemented in three high schools, where separate classes were organized and run for students with poor math learning.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one in two ways. One was a quantitative evaluation conducted by five experts, and the other was a qualitative evaluation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poor mathematics learning were more motivated to learn, started to do mathematics, and encouraged to be confident when using learning materials that included easy problems and detailed solutions that they could solve themselves.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can be derived in developing a program to support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poor mathematics learning in high school. First, we should develop learning materials that link middle school mathematics to high school mathematics so that students can supplement middle school mathematics related to high school mathematics. Second, we ne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that include detailed solutions to basic examples and include homogeneous problems that can be solved while looking at the basic example's solution process. Third, we should avoid the challenge of asking students who are under-achieving to respond too openly.

웹 기반의 중학교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한 WBI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WBI Program and Application for Learn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Middle School)

  • 강청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49-60
    • /
    • 2001
  • This paper is dedica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second-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s and concepts of probability with the help of Web-browser-used WBI programs relating to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eaching them the unit of probability. I have come up with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ith a view to applying and analyzing the findings. (1) A web sites in relation to the learning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s to be developed with the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in mind.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exposed to web-sites-aided classes and the control group going through the conventional ways of math classes when the sites is made trial use of \ulcorner (3) What response do the learners show in regard to classes which makes use of the web sites when the sites is applied\ulcorner After making an experiment with the aid of the web sites and teaching plans, I made a measurement and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ubjects, their understanding of classes based on the web sites, the concentration of the learners, and their responses relating to the contents of web sites concentrating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asses of honor students and the classes of backward pupils when T-Test was made with regard to the achievement of the subjects who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ormer made use of the web sites whereas the latter stuck to the conventional way of teaching math. The former scored higher than the latter. Second, the research based on questionnaire findings shows that the web-site-aided experiment classe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ontrol classes. All in all, I think that web-aided classes will have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interest in math and on the scholastic achievement of math than conventional classes.

  • PDF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15-633
    • /
    • 2023
  •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련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자 2023년 8월까지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 197편의 국문 초록을 자료로 수집하여 빈도 분석 및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 및 TF-IDF 기준으로 '학업성취', '영향', '효과', '변인'은 모두 상위권에 위치하였다. 둘째,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기초학력 미달 발생 원인,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실태, 수학 학습부진학생 지도 교사의 전문성, 수학 학습부진학생 지원 프로그램,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로 5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학습부진학생의 성장에 초점을 둔 연구, 수학 교과에서 학습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 연구, 수학 교과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관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