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검색결과 1,710건 처리시간 0.025초

고등학교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ology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in high school mathematics)

  • 김용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65-174
    • /
    • 1998
  • This is the study on a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If this method is performed step by step in solving problems, learners can approach problems in a variety of ways. This step-by-step teaching method will create some changes among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what effects resulted from this method, especially which effects arose in the affective areas of learning math. For the experiment, learning materials were divided into 73 parts. And the subjects, who are low-leveled and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exposed to this method for four months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group(control group) was not. According to the result, though there were few changes, the treatment group came to be more interested in math than before and also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 were reduced gradual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ree factors were investigated: interest in math, attitudes toward math,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ath.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wo factors: interest in math and learning-achievement in math.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area of attitudes towards math. In conclusion, if this method is adopted and performed regularly, it is likely that the problem-solving skills will be improved and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 will be reduced.

  • PDF

자기주도적 학습과 일제학습에서의 수학불안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Anxiety raised from Self-Directed-Learning and Learning in a Body)

  • 김동복;김인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39-457
    • /
    • 1999
  •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out what makes the students feel anxious to mathematics and the ways to decrease their anxiety by comparing two learning types, self-directed-learning and learning in a body, by means of continuous observation and interviews. To perform this study, two classes of self-directed-learning and other two classes of learning-in a body were chosen from the third year-students in Wando Middle School in Chollanamdo. In this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high group in math grade,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re less anxious than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2. In average group in math grade,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re much more anxious than students in learning-in a body. 3. In low group in math grade, both students in self-directed-learning and students in teaming-in a body feel anxious about math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m. 4. Anxiety about math hove positive influence on high group in math grade. 5. Anxiety about math have negative influence on average and low groups in math grade. Especially, low group students had no interests about mathematics because of their math anxiety. We observed that some students got over the math anxiety to some meaningful extent by means of interviews or appropriate advices, and became to have confidence and interests in mathematics.

  • PDF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for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 Cho Seok-Hee;Hwang Dong-Jo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55-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in order to identify the mathematically gifted on the basis of their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valuate the goodness of the test in terms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creativity in math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fluency in producing valid solutions. Ten open math problems were developed requiring math thinking abilities such as intuitive insight, organization of information,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generalization and applic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The 10 open math test items were administered to 2,029 Grade 5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teachers as candidate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Fluency, the number of valid solutions, in each problem was scored by math teacher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y BIGSTEPTS based on Rasch's 1-parameter item-response model. The item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blems were good in reliability, validity,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power even when creativity was scored with the single criteria of fluency. This also confirmed that the open problems which are less-defined, less-structured and non-entrenched were good in measuring math creativity of the candidates for math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discriminated applicants for two different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well.

  • PDF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수학적 이해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for Kindergarten's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계영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119-128
    • /
    • 2011
  • In this paper, we studied into a qualitative research to see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s teachers such as feeling attitude, parents' concern, difficulty of math teaching in kindergarten field, teacher's role, type of feed back, beauty of math, relationship of real life, and self philosophy of math education. We selected 10 teachers whose career was 7~10 years. Because this research way is qualitative, we can new aspect that teacher want to break their ignorance for math. Moreover, they would like to learn about math practicality, application, and beauty from art in professional training. Therefore we assert that fusion math lecture would support in the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 preschool or kindergarten's president training, and remuneration training.

어떻게 수학퍼즐을 제시할 것인가 (How to Present Math Puzzles in Classroom)

  • 홍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57-6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진정한 '수학수업'의 맥락에서 수학퍼즐을 어떤 방법으로, 어떤 관점에서 제시할 것인지 논의하였다. 우선, 수학퍼즐의 일반적인 특징을 추출하고 수업 안팎에서의 다양한 활용을 조사하였다. 둘째로, 수학퍼즐을 의미 있게 전달하기 위한 수업방법을 논의하였다. 셋째로, 수학퍼즐을 어떠한 관점에서 다룰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 퍼즐을 통한 수업은 학생들에게뿐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수학에 있어서의 여유'를 경험하게 해 준다는 점에 그 중요한 가치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의 운영 실태 조사 -부산광역시 방과후학교를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status and content of after-school mathematics class - Focusing to the elementary school in Busan -)

  • 이영희;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85-40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수학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실태를 조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100개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강사 관련 실태, 학생 관련 실태, 수업 관련 실태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특히 수업 관련 실태의 경우 수업의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목표, 시간과 횟수, 교재와 내용, 평가에 이르기까지 강사들의 답변을 종합하였다. 또한 서술형 설문 문항을 통해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진행에서의 어려움과 함께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정리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경우 그 유형은 교과 중심의 예습 복습에 초점을 맞추는 교과수학, 교과와 함께 창의적 활동과 체험을 고려한 창의수학, 그리고 연산 중심의 주산/암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강사들의 공통 의견으로는 강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하여 수학과 방과후학교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수학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과 함께 학부모의 수학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학교의 방과후학교 지원 등을 꼽았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 수학과 프로그램이 방과후학교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가족단위 수학공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amily Math Program)

  • 장혜원;임미인;유미경;박혜민;남지현;김혜진;이혜원;신새미;정진환;이상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7-451
    • /
    • 2018
  • 이 연구는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따라 가족들이 참여하여 체험할 수 있는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가족단위를 대상으로 운영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수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구체적인 가족단위 수학공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령별로 유아 자녀, 초등 저학년 자녀, 초등 고학년 자녀, 중 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족들이 즐길 수 있는 수학나들이, 수학게임, 수학활동, 우리집수학, 역사속수학, e-세상수학의 6가지 유형으로 총 33개의 활동을 개발하였고, 8차에 걸쳐 175가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과정 분석,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학에 대한 긍정적 문화 확산을 위한 가족단위 수학공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수학 수업 중 계산기 사용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육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or in Mathematics Educations Between Korea and Singapore)

  • 최지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27-245
    • /
    • 2018
  • 우리나라는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2012)'과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2015)'을 시행하는 등의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를 잘 사용하지 않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를 많이 활용하는 나라에서도 수학 수업 중 계산기 사용에 대한 논쟁이 제기된다는 점에서,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 사용 실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학 수업에서의 계산기 사용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수학 수업에서의 계산기 사용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교육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싱가포르는 수학 수업에서 계산기를 우리나라와 다른 양상으로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수학 성취도와 수학 흥미가 높은 나라로, 우리나라 수학 교육에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비교할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두 국가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를 계산기 사용에 대한 문구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두 국가의 수학 수업에서의 계산기 사용 실태를 TIMSS 2015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수학 수업 중의 계산기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에 관한 종단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stress, math self-efficacy, and math class engagement : Using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59-373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5년(중1)부터 2017년(중3)까지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에 적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와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 상·하위집단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수학수업참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수업참여를 매개하여 수학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교사는 이와 같은 특성을 교수·학습전략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수학자기효능감 향상 및 수학수업참여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수학 수업방식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유형탐색: REBUS-PLS를 적용하여 (Detecting types for the influence of math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math self-efficacy: Using REBUS-PLS)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613-629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9년 고등학교 2학년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지각한 수학 수업방식(교수자중심, 학습자중심)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질적 잠재집단을 탐색하였다. 탐지된 잠재집단의 특징을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교수·학습 관련 변인들의 분포를 확인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개의 잠재집단이 탐지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교수자형 집단과 학습자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탐지된 교수자형과 학습자형 집단에서 교수자중심수업에 대한 지각과 학습자중심수업에 대한 지각, 그리고 수학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은 분포가 유사하였지만,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흥미, 수학수업참여의 경우 교수자형 집단이 학습자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형 집단은 학습자형에 비해 수학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학습자형 집단은 교수자형에 비해 수학흥미가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로모형기반의 단위 분할 탐색 REBUS-PLS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수학 수업방식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