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ching points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31초

동적계획법 기반의 스테레오영상의 대응점 탐색 (Extraction of Corresponding Points of Stereo Images Based on Dynamic Programming)

  • 이기용;이준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97-404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capable of extracting corresponding points between a pair of stereo images based on dynamic programming. The purpose of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points is to provide the stereo disparity data to a road-slope estimation algorithm with high accuracy and in real-time. As the road-slope estimation algorithm does not require dense disparity data, the proposed stereo matching algorithm aims at extracting corresponding points accurately and quickly. In order to realize this contradictory goal, this paper exploits dynamic programming, and minimizes matching candidates using vertical components of color edges. Furthermore, the typical occlusion problem in stereo vision is solved. The proposed algorithm is proven to be effective through experiments with various images captured on the roads.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특징점 정합 (Matching Of Feature Points using Dynamic Programming)

  • 김동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1호
    • /
    • pp.73-8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기준영상과 탐색영상 사이의 대응되는 특징 점을 정합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두 영상에서 특징 점을 찾기 위하여 Harris의 코너 점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기준영상의 각 특징 점에 대해, 정규상관계수가 임계치 이상인 탐색영상의 특징 점들로 후보 정합 점을 구한다. 최종적으로 동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후보 정합 점들 중에서 대응되는 특징 점을 구한다. 실험으로 인위적인 영상과 실제 영상에서 특징 점을 정합 하는 결과를 보였다.

공간 영상 처리를 위한 SIFT 매칭 기법의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IFT Matching on Simulated Geospatial Image Differences)

  • 오재홍;이효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49-457
    • /
    • 2011
  • As automate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required in multi-temporal/multi-sensor geospatial image applications, use of automated but highly invariant image matching technique has been a critical ingredient. Note that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geometric and spectral differences between multi-temporal/multi-sensor geospatial images due to differences in sensor, acquisition geometry, season, and weather, etc. Among many image matching techniques, the 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is a popular method since it has been recognized to be very robust to diverse imaging conditions. Therefore, the SIFT has high potential for the geospatial image processing. This paper presents a performance test results of the SIFT on geospatial imagery by simulating various image differences such as shear, scale, rotation, intensity, noise, and spectral differences. Since a geospatial image application often requires a number of good matching points over the images, the number of matching points was analyzed with its matching positional accuracy.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SIFT is highly invariant but could not overcome significant image differences. In addition, it guarantees no outlier-free matching such that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se outlier removal techniques such as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기하 위상 정보를 이용한 고속 영상 정합 기법 (High-Speed Image Matching Method Using Geometry - Phase Information)

  • 정민영;오재용;이칠우;배기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195-120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기하 위상 정보를 이용한 영상 정합 기법에 관해 기술한다. 기존의 특징 점 기반 대응점 검색 기법들이 주로 평행 이동 형 형태나 약간의 회전 및 상하 이동요소가 포함된 영상만을 처리하는 것과 달리 큰 회전이나 상하이동요소가 포함된 입력영상들의 정화한 중첩영역을 자동으로 빠르게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영상내의 특징 점들의 기하 위상 정보와 특징점 사이의 거리 정보를 가지는 DT(Distance Transform) map을 이용하여 정합 위치를 찾기 위한 계산 량을 크게 감축시키고 특히 회전이나 상하 이동요소가 포함된 영상들 간의 정합영역을 검색하는데 있어서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 PDF

Setting of the Operating Conditions of Stereo CCTV Cameras by Weather Condition

  • Moon, Kwang;Pyeon, Mu Wook;Lee, Soo Bong;Lee, Do Rim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91-597
    • /
    • 2014
  • A wide variety of image application methods, such as aerial image, terrestrial image, terrestrial laser, and stereo image point are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to develop three-dimensional 3D geo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matching points, which are needed to build a 3D model, were examined under diverse weather conditions by analyzing the stereo images recorded by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cameras installed in the U-City. The tests on illuminance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matching points were very sen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the illuminance levels.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the CCTV cameras used in the test,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optimal values of the shutter speed and iris. As a result, compared to an automatic control mode, improved matching points may be obtained for images filmed us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this test in relation to different weather and illuminance conditions.

특징점 및 방향 특징에 기반한 멀티모달 지문 매칭 (Multimodal Fingerprint Matching Based on Minutiae Points and Directional Features)

  • 송영철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12호
    • /
    • pp.2529-2531
    • /
    • 2009
  • A simple multimodal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wo types of feature vectors such as minutiae points and directional features is proposed, where Directional Filter Bank (DFB) is used to extract directional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ffectively combine minutiae- and DFB-based methods and produce a better matching capability in the poor quality fingerprint image.

SURF와 지역적 위상 상관도를 활용한 광학 및 열적외선 영상 간 정합쌍 추출 (Matching Points Extraction Between Optical and TIR Images by Using SURF and Local Phase Correlation)

  • 한유경;최재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88
    • /
    • 2015
  • 위성센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가시광선, 적외선, 열적외선 영역 등의 파장대를 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발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중센서 영상의 융합 및 통합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중센서의 정합이 필수적이다. 위성영상의 정합 및 자동기하보정을 위하여 SIFT, SURF와 같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광학영상과 열적외선 상의 경우 다른 분광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영상정합기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SURF를 이용하여 참조영상의 특징점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특징점의 위치를 기반으로 지역적 상관도를 추정하여 정합쌍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지역적 상관도의 경우에는 퓨리에 변환을 기반으로 하는 위상 상관도 기법을 적용하였다. 가상의 고해상도 다중센서 영상과 Landsat-8, ASTER 영상을 이용한 실험결과, 기존의 SURF를 활용한 정합기법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두 영상 간 정합쌍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점 변화에 강인한 특징점 정합 기법 (Feature Matching Algorithm Robust To Viewpoint Change)

  • 정현조;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2호
    • /
    • pp.2363-237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특징점 검출기와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특징점 서술자(descriptor)를 사용하여 시점 변화에 강인한 특징점 정합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FAST 기법은 영상의 에지 부분을 따라서 불필요하게 특징점을 많이 추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점을 주곡률(principal curvatures)을 적용하여 개선한다. 추출된 특징점을 SIFT 서술자를 통해 기술하고 시점이 다른 두 영상으부터 구해진 정합쌍에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기법을 통하여 호모그래피(homography)를 계산한다. 시점 변화에 강인한 특징점 정합을 위해서 기준 영상의 특징점들을 호모그래피 변환을 통해 변경된 좌표와 시점이 다른 영상의 특징점 좌표간의 유클리디언(Euclidean) 거리를 통해 정합쌍을 분류한다. 같은 물체나 장소에 대해 시점이 변화된 여러 영상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정합 기법이 적은 계산량으로 기존의 특징점 정합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니키 모멘트 기반 지역 서술자를 이용한 실시간 특징점 정합 (Real-Time Feature Point Matching Using Local Descriptor Derived by Zernike Moments)

  • 황선규;김회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4호
    • /
    • pp.116-123
    • /
    • 2009
  • 서로 다른 시점의 두 영상에서 동일한 점들을 정합하는 특징점 정합은 다양한 영상 처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특징점 정합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저니키 모멘트 기반의 지역 서술자를 이용하여 특징점을 실시간으로 정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빠른 모서리 점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각 특징점에서 저니키 모멘트를 이용한 지역 서술자를 생성한다. 저니키 모멘트 기반의 지역 서술자는 특징점 주변의 부분 영상을 적은 차수의 특징 벡터로써 효율적으로 표현하며, 영상의 회전과 밝기 변화에 강인하다. 본 논문에서는 저니키 모멘트 계산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고정된 크기의 저니키 기저 함수를 미리 계산하여 이를 룩업 테이블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특징점 정합 단계에서는 근사 최근방 이웃(ANN) 방법을 사용하여 초기 정합 결과를 얻고, 이 중 잘못된 정합은 RANSA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최종 정합 결과를 얻는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다양한 변환이 존재하는 영상에 대하여 실시 간으로 특징점 정합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the Minutiae and Singular Point for Fingerprint Matching

  • Na Ho-Jun;Kim Chang-S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761-767
    • /
    • 2005
  • The personal identif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fingerprints is divided as the classification process by the type of the fingerprints and the matching process to confirm oneself. Many existing researches for the classification and the matching of the fingerprint depend on the number of the minutiae of the fingerprints and the flow patterns by their direction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focus on extracting the singular points by using the flow patterns of the direction information from identification. The extracted singular points are utilized as a standard point for the matching process by connecting with the extracted information from the singular point embodied. The orthogonal coordinates which is generated by the axises of the standard point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fingerprints matching because of minimizing the effects on the location changes of the fingerprint images.

  • PDF